Boards
그저께(일요일) 서울-해남-목포-서울로 당일여행을 다녀왔습니다.
목포에서 사람들을 만나고 좀 놀다가, 저녁 9시가 좀 안되서 출발을 했습니다.
전라북도쪽에 눈이 많이 온다길래, 서해안을 타고 광주-무안을 통해 호남선, 천안-논산을 타고 서울로 올라오려고 생각을 했습니다.
서해안 타고 가는데... 장난 아니더군요 -_-;;
차들이 모두 비상등 켜가며 40키로 정도로 주행...
시야는 눈이 하도 많이 오다보니, 안개 많이 낀 영종대교나 서해대교의 그것과 흡사할 정도였습니다.
광주-무안 고속도로를 타니 상황은 더욱 스팩타클해지며 가끔 1차선으로 쓩쓩 지나가는 고속버스나 화물차들이 밉더군요.
약간의 오르막이 나오면 275/40/19의 수명이 거의 다된 컨티넨탈 SC2는 그립을 잃어가며, 차가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밀리면서 그냥 놔두면 스핀을 할 것 같더군요...
계기판에 ESP경고등은 깜빡거리지만, 그래도 어느정도의 카운터가 필요합니다. 액셀은 떼버리면 속도가 줄어, 어느정도 탄력은 유지시켜야 언덕을 올라갈 수 있을것 같고...
그런데 제 옆을 구형 산타페가 60km정도로 지나가더군요. 그러곤 20분정도 뒤에...
약간 내리막에서 앞차들이 갑자기 속도를 줄이더군요. 모두들 차간거리를 상당히 두고, 속도도 40km이하였습니다만...
빙판이라 ABS만 걸리고 속도는 줄 생각을 안하더군요. 40km가 20km까지 되는데 거의 한 80m는 밀린듯 합니다...
게다가 제 앞차이던 스타렉스는 약간 오른쪽으로 밀리더니, 결국 90도 회전하면서 갓길로 밀리더니, 가드레일과 키스 직전에 멈춘 것 같더군요. 그래서 1차선쪽으로 가는데, 빙판이니 먹힐리가...
아무튼 "드득 드득"해가면서 ESP가 작동해가며 1차선쪽으로 변경하니, 스타렉스 앞에있던 세피아는 왼쪽으로 미끄러지고 있네요 ㅡ.ㅡ;; 아 쒸 이건 또 !@#%$^#&*&^(...
다시한번 ESP의 도움을 얻어 2차선으로 복귀하고 사이드 미러로 보니, 세피아는 1차선 왼쪽의 방호벽(?)과 키스를 하고는, 차가 돌아서 세피아의 테일램프가 보이더군요.
차들이 급하게 멈추려던 이유는, 아까 그 산타페가 1차선에서 반파가 되서 있었고, 갓길에는 1t트럭과 승용차 몇대가 사고가 있었는지, 서있었습니다. 결국 1차선으로 주행하던 차는 2차선으로 변경해야하고, 2차선에 오던 차 역시 차간이 좁아지니 브레이킹을 하는데 내리막 빙판이라 밀리면서 스핀나기 쉬운 상황이니 ABS가 장착되지 않은 차는 100% 사고난다고 보면 되는 상황이었습니다.
간담이 서늘해져서, 트렁크에 싣어놓은 스파이더를 꺼내서 장착하고 주행하는데, 범퍼에 닿는지 주기적으로 "퉁 탕 퉁 탕"소리가 나더군요 ㅠ.ㅠ
암튼 우여곡절끝에 오다가, 전주쯤 오니 눈이 그쳤습니다.
눈이 어느정도 왔는지는, 아래에 광주에서 찍은 사진을 올리겠습니다^^;
그래도 도로에 눈이 쌓이니, 헤드램프의 빛이 반사되어
평상시같으면 매우 어두울 환경에서도 거의 대낮 수준으로 밝습니다^^;
타이어에 붙은 눈이 얼고 녹다를 반복하다보니 타이어와 한몸이 되어, 접지력은 거의 제로에 가까웠습니다.
타이어가 밟고 지나간 자리를 보면, 하~얀 눈 밑에는 빙판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진촬영후 재출발시, 스파이더를 채우고 출발해야 했습니다 -_-;;
눈이 15cm정도 이상 쌓인 모습은, 제 경우엔 스키장 말고는 처음인 것 같습니다 ㅠ.ㅠ (감격의 눈물)
그것도 자연설이!
아직 아무도 밟지 않은 눈밭에서 잠시나마 걸어보니, 기분전환이 금방 되더군요^^
서울에서 눈이 이정도 왔으면 도넛 그리고 드리프트 연습한다고 방방대고 다녔겠지만, 상황이 상황인지라...
아무도 밟지 않는 곳을 밟는건 좋으나, 신발은 눈속에 파묻힌지 오래고, 바지 밑단 이상으로 올라오는 눈 때문에 가는 길에는 발목이 축축했습니다...
서울에 올라오니 눈이 내린 흔적은 찾아볼 수도 없던데, 우리나라같이 땅덩어리가 좁은 나라에서도 이정도 차이가 난다는게 신기합니다^^;
아무쪼록 눈이 이정도 내렸으면, 월요일 아침 출근대란이 예상되는데 별다른 언급이 없길래 한번 올려봅니다*^^*


함평에 스키장 만들어도 되겠더군요.^^
무사히 눈길을 탈출하셔서 다행이네요.
그런데..프로필이 너무 재밌어요.
싸니...H사 저주..ㅋㅋㅋ 사무실에서 웃었습니다.

예전부터 아는 현대 영업소장에게 구입했는데, 그분이 몇일뒤 전화오셨습니다. "아이고, 이거 죄송하게 됐습니다"라면서요... 영업소장님도 "회사가 장사를 뭐 이따위로 하는지... 저도 몰랐습니다.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라며 신형이 나왔다고 -_-;;
2009년형이 나온지 6개월이 안됐길래, 어차피 내년에 단종되고 신모델이 나올 예정이니 구입하자! 라고 샀는데, 월요일날 출고받으니 금요일날 2009 업그레이드~ 라고 판매가 되더군요. 현대의 옵션 장난질이 나타난게, 기본 차값은 조금 인상했지만 가죽시트가 기본 옵션에 포함되었기 때문에, (제 경우는 71만원 주고 옵션으로 단 케이스이기에) 결과적으로 신형을 사면 더 저렴할뻔 했습니다.
각설하고, 싸니 하면 큰 싸니(싼타페)와 작은 싸니 (투싼)으로 구분하죠~ㅎㅎ
저희 집 싸니는 후자인데, 전륜구동이라 그냥 내비두고 갔습니다. 가솔린이라 정숙성은 매우 뛰어난 편입니다만(디젤대비) 2000cc치고는 상식 밖의 연비를 보여주는 느낌입니다. 뭐 란에보보다야 좋겠지만^^;

저희 어머니는 결국 자가차량(NF) 출근을 포기하시고 시외버스를 타고 출근해버리셨는데, 대형버스나 트럭이 이런 동계 악천후에 장점이 있나요?

승용차는 바퀴가 4개= 차가 무거워봐야 타이어 1개가 500kg정도 부담.
고속버스는 바퀴가 6개(뒤에 2개씩) = 5천kg만 잡아도 타이어 한개가 거의 800kg이상 부담.
25톤 트럭은 타이어가 몇개인지 잘은 모르겠지만, 하다못해 25개라고 치더라도 타이어 한개가 1t을 부담하네요... 근데 생각해보니, 25t을 싣을 수 있다는 것이지, 차 무게가 25톤이 아니군요. ㅡ.ㅡㅋ
결국 타이어 한개가 부담하는 하중이 높기때문에 그립이 좀 더 높아지고, 또 타이어 개수도 많기때문에 좀 덜 미끄러지는거 아닐까요?^^;



대형 버스는 동절기가 되면 무조건 스노우 타이어를 끼운다고 들었습니다.
벌써 10년 전이니깐 지금은 어떻게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제 아버지도 벤츠 좋아하셔서 S 클래스 구입계획이신데 꼭 4륜으로 구매하신다하네요...후륜보단 4륜이 한국에 딱이다 하시면서요~~ ^^


수 많은 차량들이 고장나고, 앞바퀴 차량들이 바로 앞에서 눈떄문에 휙휙 돌아버리는데도... 지금은 없지만
예전차인 프린스를 몰던 아버지께서 차량관리며 드라이빙 테크닉(?)도 어느정도 있으셨는듯 하네요....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