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퇴근을 3시반에 해서 얼렁 집으로 달려와
그간 미루고 미루던 '찐빠잡기' 에 나섰습니다.
엔진부조, 즉 찐빠가 간헐적으로 아무 RPM에서나
뒤에서 머리끄댕이를 살짝살짝 잡아댕기듯 나는 상황이였습니다.
아이들링시에도 갑작스레 차가 덜덜덜덜 거리거나
핸들로 전해오는 엔진의 진동이 일정치 않고
가끔씩 탁, 탁 진동이 튀곤 했습니다.
아무래도 차가 인증 문제로 오래 서있었기에
손볼 구석들이 하나하나씩 수면위로 올라오더군요.
그래서 이 추운날씨에 엔진뚜껑을 열었습니다.
나사가 잘 안풀려서들 손 찢어지는줄 알았습니다.ㅠㅠ
점화코일을 다 내리고
플러그를 뽑았습니다. 이 플러그가 도통 풀리질 않아서 정말 애를 먹었습니다.
꽉 쪼여놓은건지 뭔지. 준 미케닉이 설마 플러그를 과도하게 심어놓지는 않았을테고,
하튼 꼽혀있던 시간이 있어서 그런지 고생좀 했습니다.
JUN STAGE-1 의 에프콘 세팅이라지만 제가 한게 아니라
플러그도 뭐가 꼽혀있는지 처음 알았네요. 아펙시 열가 9짜리. 순정이 6짜리니까....음.
찐빠의 원인으로 여러가지 의심이 가는 상황이였지만 아무래도 점화코일이나 플러그 간극이
제일 의심이 갔었습니다. 상규님도 간극을 이야기 하셨구요.
그런데 간극은 둘째치고, 플러그를 뽑아보니......
환장하겠더군요. 완전 숯덩이가 되서는.ㅡㅡ;;;;;;
코일엔 또 뭔 녹이 이렇게 붙었는지......
이거 뭐 단순 불완전연소로 덮여있는정도의 카본이 아니더군요......
아주 껍질처럼 둘러싸고있더라구요.
그래서 일단 방으로 가지고 들어와
좀 씻어주고 1000방짜리 사포로 곱게 갈아주고
점화코일 녹은 뭐 겉에 붙은것들이라 별 상관없겠다싶어 대충 닦아주고
그러고 다시 넣어줬습니다.
플러그를 새걸로 갈아버리고 싶었지만
가격이....11번째길가에서 18만원이더군요... 보류죠 뭐.....
시동을 걸었는데. 좀 시간이 걸린다 싶었는데 딱 걸리고 나니
아이들이 완전 부드러워졌습니다.!
예열좀 한후 데리고 나왔더니 얼마나 부드러워졌는지.....
찐빠는 일단은 말끔히 사라졌습니다.
이차가 이렇게 조용한 놈이였구나. 싶은게 참.....
간단히 잡혀서 기분은 좋습니다만
이게 또 언제 다시 카본으로 둘러쌓여 찐빠를 일으킬지 불안하기도 합니다.
그래도 지속적으로 움직여주고 하면 괜찮겠죠.
(인증때 에프콘을 떼어내고 다른 GTR ECU를 넣고 달린적이 있습니다만
그때 맛이 갔다고 생각하렵니다^^;;;;;)
참. 이젠 시동도 깔끔하게 한방에 걸리네요. 시동이 항상 약간 힘겹게 걸렸었는데 말이죠.
하튼. 요놈 잡아놓고 나니 속이 시원합니다.
부스트 0.94바 띄우며 좀 밟았는데 인라인6의 파워가 이젠 고스란히,
그것도 부드러우면서도 힘차게 전해지는게 속이 뻥 뚤리네요.
참. 그나저나 점화코일은 저래도 괜찮은건가요?ㅡㅡ;;;;;
작동이야 전혀 문제없이 되고있습니다만.
본넷이 오픈되어있어서 그런지 참. 꼬라지가 난감합니다...



그간 미루고 미루던 '찐빠잡기' 에 나섰습니다.
엔진부조, 즉 찐빠가 간헐적으로 아무 RPM에서나
뒤에서 머리끄댕이를 살짝살짝 잡아댕기듯 나는 상황이였습니다.
아이들링시에도 갑작스레 차가 덜덜덜덜 거리거나
핸들로 전해오는 엔진의 진동이 일정치 않고
가끔씩 탁, 탁 진동이 튀곤 했습니다.
아무래도 차가 인증 문제로 오래 서있었기에
손볼 구석들이 하나하나씩 수면위로 올라오더군요.
그래서 이 추운날씨에 엔진뚜껑을 열었습니다.
나사가 잘 안풀려서들 손 찢어지는줄 알았습니다.ㅠㅠ
점화코일을 다 내리고
플러그를 뽑았습니다. 이 플러그가 도통 풀리질 않아서 정말 애를 먹었습니다.
꽉 쪼여놓은건지 뭔지. 준 미케닉이 설마 플러그를 과도하게 심어놓지는 않았을테고,
하튼 꼽혀있던 시간이 있어서 그런지 고생좀 했습니다.
JUN STAGE-1 의 에프콘 세팅이라지만 제가 한게 아니라
플러그도 뭐가 꼽혀있는지 처음 알았네요. 아펙시 열가 9짜리. 순정이 6짜리니까....음.
찐빠의 원인으로 여러가지 의심이 가는 상황이였지만 아무래도 점화코일이나 플러그 간극이
제일 의심이 갔었습니다. 상규님도 간극을 이야기 하셨구요.
그런데 간극은 둘째치고, 플러그를 뽑아보니......
환장하겠더군요. 완전 숯덩이가 되서는.ㅡㅡ;;;;;;
코일엔 또 뭔 녹이 이렇게 붙었는지......
이거 뭐 단순 불완전연소로 덮여있는정도의 카본이 아니더군요......
아주 껍질처럼 둘러싸고있더라구요.
그래서 일단 방으로 가지고 들어와
좀 씻어주고 1000방짜리 사포로 곱게 갈아주고
점화코일 녹은 뭐 겉에 붙은것들이라 별 상관없겠다싶어 대충 닦아주고
그러고 다시 넣어줬습니다.
플러그를 새걸로 갈아버리고 싶었지만
가격이....11번째길가에서 18만원이더군요... 보류죠 뭐.....
시동을 걸었는데. 좀 시간이 걸린다 싶었는데 딱 걸리고 나니
아이들이 완전 부드러워졌습니다.!
예열좀 한후 데리고 나왔더니 얼마나 부드러워졌는지.....
찐빠는 일단은 말끔히 사라졌습니다.
이차가 이렇게 조용한 놈이였구나. 싶은게 참.....
간단히 잡혀서 기분은 좋습니다만
이게 또 언제 다시 카본으로 둘러쌓여 찐빠를 일으킬지 불안하기도 합니다.
그래도 지속적으로 움직여주고 하면 괜찮겠죠.
(인증때 에프콘을 떼어내고 다른 GTR ECU를 넣고 달린적이 있습니다만
그때 맛이 갔다고 생각하렵니다^^;;;;;)
참. 이젠 시동도 깔끔하게 한방에 걸리네요. 시동이 항상 약간 힘겹게 걸렸었는데 말이죠.
하튼. 요놈 잡아놓고 나니 속이 시원합니다.
부스트 0.94바 띄우며 좀 밟았는데 인라인6의 파워가 이젠 고스란히,
그것도 부드러우면서도 힘차게 전해지는게 속이 뻥 뚤리네요.
참. 그나저나 점화코일은 저래도 괜찮은건가요?ㅡㅡ;;;;;
작동이야 전혀 문제없이 되고있습니다만.
본넷이 오픈되어있어서 그런지 참. 꼬라지가 난감합니다...



2009.01.14 02:20:18 (*.131.231.173)

음 한신님 고생하셨네요 코일접점에도 고운 사포로 녹을 제거해 주시면 좋을듯 합니다.
저도 야근중입니다. 속썩히는 엔진 하나가 있어서 마무리중 추워서
잠시 몸 녹이며 접속했네요 ㅎㅎ 오랜만에 열정을 피워봅니다.
저도 야근중입니다. 속썩히는 엔진 하나가 있어서 마무리중 추워서
잠시 몸 녹이며 접속했네요 ㅎㅎ 오랜만에 열정을 피워봅니다.
2009.01.14 10:38:13 (*.160.160.40)

차종이 어떤차종인지 모르나..튠사양이라면 ngk 레이싱콤피티션 추천드립니다.
실화도 적고 수명도 괜찮습니다.
플러그는 차량에따라 jis와 iso 규격이 있으니 확인하시고 구입하시길..
실화도 적고 수명도 괜찮습니다.
플러그는 차량에따라 jis와 iso 규격이 있으니 확인하시고 구입하시길..
2009.01.14 11:41:57 (*.92.196.17)

아무리 1000방이라 하더래도 사포보다는 성철님 말대로 초음파 청소기 같은것이 낳지 않을까 싶습니다. 사포의 스크래치 부분이 카본같은 이물질 적제를 더 빠르게 하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
2009.01.14 13:03:07 (*.148.159.138)

추운 날씨에 고생 많으셨네요... (일전에 도움 주셨던 한신님이 맞으신지... ^^;;)
저도 얼마전 엄청난 부르르~~~ 진동이 갑자기 강림하셔서 점화플러그/배선을 교체했습니다...
저 또한 상규님의 조언을 받아 다행히도 무탈하게 넘겼네요...
플러그 사진을 보니 지난주 겪었던 불안함이 기억나네요... ㅡ.ㅡ;;
암튼 GTR 잘 관리하시고요, 나중에 기회되면 인사 드리겠습니다... ^^
저도 얼마전 엄청난 부르르~~~ 진동이 갑자기 강림하셔서 점화플러그/배선을 교체했습니다...
저 또한 상규님의 조언을 받아 다행히도 무탈하게 넘겼네요...
플러그 사진을 보니 지난주 겪었던 불안함이 기억나네요... ㅡ.ㅡ;;
암튼 GTR 잘 관리하시고요, 나중에 기회되면 인사 드리겠습니다... ^^
2009.01.14 13:19:06 (*.200.171.200)

겨울철 준스포츠엔진들은 힘들죠....특히 냉간시 터보엔진형 냉형 플러그가 자기청정온도까지 올라가려면 아무래도.... 요즘같이 추운겨울철에는 열형 일반엔진용 플러그가 차라리 효과가 있지 않을까 합니다.....코일에도 문제도 없고, 가격도 저렴하니 실화 걱정이라면 다극 플러그도 효과적입니다....
2009.01.14 22:57:00 (*.200.171.200)

ECU 튠과는 그리 상관이 없습니다... 플러그 간극(0.9~ 1.1mm)하고, 내부저항만 정도 맞아도 충분합니다... 특별히 진각이나 지각에 영향을 주지 않을것 같습니다... 인라인 6기통이니 탈부착에 어려움이 없구요 기통당 다이렉트코일타입이라면 1.1mm짜리를 권합니다.... 넓은 간극이 스파크와 혼합기의 접촉면이 넓어서 실화방지에 도움이 되고요...혹시나 하이캠 터보엔진 특성상 저회전영역부분 실화를 일으키는 단점이 있으니 저회전영역부분 실화가 발생이거나 가속시 발생(일명 진빠)한다면.... 다극 플러그타입이 실화부분 커버에 도움이 됩니다.... 다만 연소실 온도나 배기온이 터보엔진 경우에는 적절하지만 인터쿨러의 과냉각된 흡입공기에 연료의 혼합비가 좀 틀어지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최적의 흡기온도는 25도 정도라고 하지만 아무래도 40~50도 현실적인 온도가 아닐런지요 물론 높은 흡기온도는 출력저하를 나타내지만 연료의 무화가 제일 촉진된 온도이기도 합니다... 다만 연료냉각을 고려 한다며 다른 이유도 있지만 우리나라처럼 4계절 타입에서는 애매한 셋팅이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점화시기 부분은 순정플러그 간극 1.1mm 정도에서 약간 커지는 부분은 괜찮을 것입니다...
2009.01.14 13:37:57 (*.241.151.50)

고생하셨네요, 그런데 얼마나 파워업이 되어있는지 모르겠습니다만, 순정 열가 6이면 순정대비 300마력이 상승해야 열가 9를 사용해도 카본 빌드업이 없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NGK사의 추천) GT-R 마력이야 워낙 잘 올라가니깐 ^^ 순정대비 100마력 상승기준으로 저라면 열가 7짜리를 사용할 것 같습니다. 꼭 고가의 레이싱 플러그는 필요없다고 생각합니다.
2009.01.16 10:44:46 (*.241.151.50)

네, 잘지냅니다. ^^ 제 동생처럼 대국민서비스로 병역을 하고 계시는군요. ^^ ECU 튠과 점화플러그 열가자체는 크게 상관이 없을 듯 합니다. ECU 튜닝을할 때 마력이 많이 올라간 경우 스파크 플러그 열가가 충분히 높지 않으면 핫스팟으로 작용하여 노킹을 발생시키게 되고, 결국 노킹을 줄이기 위해서 점화시기를 뒤로 당기거나 공연비를 높여야 하는 등의 출력희생이 따르기 때문에 그것을 막고자 점화플러그 열가를 높이는 것입니다. 결국 만약에 ECU 튜너가 열가 9 짜리를 써야할 마력이 아닌데, 노킹을 잡으려고 점화플러그만 9로 바꿨다면 실력을 의심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실제로 점화플러그만 무조건 열가 높은 것으로 바꾼다고 노킹이 무조건 줄어드는 것은 아니구요. ^^ 카본 낀 상태를 보니 너무 오버해서 콜드한 플러그란 생각이 들어서 그렇습니다. 저는 에보에 순정열가 7짜리 아직 사용중입니다. ^^
아는분이 그걸로 돈 좀 버는걸 본지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