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젠쿱의 지름신을 떨쳐내지 못하고 있는 1인입니다^^
우연히 웹서핑 도중 재밌는 기사거리가 있어 공유해보고자 글을 올립니다.
젠쿱 3.8 수동 차량인데, 달리는 도중 다운포스의 힘만으로 트렁크가 찌그러졌다는 내용입니다.
오토조인스의 김기태PD가 쓴 시승기 일부를 발췌해봤습니다.
[ 이번 튜닝카의 시승은 처음이 아니다. 첫 시승때 현재와 같이 고속주행 안정감서 만족 한 바 있지만 몇차례 주행을 하면서 다시금 예전처럼 고속 주행서 불안한 느낌으로 변해가는 주행감에 의아해 한적이 있다. 상식적으로 이해가가지 않는 부분이다. '같은 하드웨어 인데 달리면서 느낌이 변하다니.'
시승 코스에 도착해 세차를 하면서 원인을 찾아낼 수 있엇다. 처음 고속 영역으로 달릴때는 안정감이 높아 만족했지만 강력한 다운포스로 눌려진 트렁크 리드가 찌그러졌고 이에 밸런스가 훼손되었기 때문이다. 덕분에 주행이 힘들어져 스포일러를 분리시킨 후 업체에 차를 반납시킨 바 있다. 제네시스 쿠페의 트렁크 리드를 눌러보면 생각보다 얇은 철판으로 제작되어 있다. 스포일러 제작 업체측에 따른 데이터를 참고하면 시속 200km/h에서 260Kg 이상의 다운포스를 발생시킨다니 트렁크 부분의 찌그러짐이 이상할 이유는 없어 보인다.]
대강 이런내용입니다만, 물론 저는 관련지식이 매우 얕기 때문에 자세한 매커니즘은 알길이 없습니다만, 상식적으로는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완성차업계에서 자동차를 만들면서 거치는 수많은 실험중에 저런부분이 고려되지 않았을리가 만무한데, 시승차만의 문제일까요..?
트렁크를 찌그러뜨릴만한 다운포스를 이끌어 낸 차량성능향상에 박수를 쳐줘야 하는 것인지..
다운포스로 찌그러지는 3천만원짜리 차의 트렁크 강판 두께를 비난해야되는 것인지..
이유야 어찌됐건 사실이라면 난감하기 짝이 없는 일입니다.
회원님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아래는 기사 원문 링크입니다.
http://news.joins.com/article/aid/2009/01/14/3289833.html?cloc=nnc
우연히 웹서핑 도중 재밌는 기사거리가 있어 공유해보고자 글을 올립니다.
젠쿱 3.8 수동 차량인데, 달리는 도중 다운포스의 힘만으로 트렁크가 찌그러졌다는 내용입니다.
오토조인스의 김기태PD가 쓴 시승기 일부를 발췌해봤습니다.
[ 이번 튜닝카의 시승은 처음이 아니다. 첫 시승때 현재와 같이 고속주행 안정감서 만족 한 바 있지만 몇차례 주행을 하면서 다시금 예전처럼 고속 주행서 불안한 느낌으로 변해가는 주행감에 의아해 한적이 있다. 상식적으로 이해가가지 않는 부분이다. '같은 하드웨어 인데 달리면서 느낌이 변하다니.'
시승 코스에 도착해 세차를 하면서 원인을 찾아낼 수 있엇다. 처음 고속 영역으로 달릴때는 안정감이 높아 만족했지만 강력한 다운포스로 눌려진 트렁크 리드가 찌그러졌고 이에 밸런스가 훼손되었기 때문이다. 덕분에 주행이 힘들어져 스포일러를 분리시킨 후 업체에 차를 반납시킨 바 있다. 제네시스 쿠페의 트렁크 리드를 눌러보면 생각보다 얇은 철판으로 제작되어 있다. 스포일러 제작 업체측에 따른 데이터를 참고하면 시속 200km/h에서 260Kg 이상의 다운포스를 발생시킨다니 트렁크 부분의 찌그러짐이 이상할 이유는 없어 보인다.]
대강 이런내용입니다만, 물론 저는 관련지식이 매우 얕기 때문에 자세한 매커니즘은 알길이 없습니다만, 상식적으로는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완성차업계에서 자동차를 만들면서 거치는 수많은 실험중에 저런부분이 고려되지 않았을리가 만무한데, 시승차만의 문제일까요..?
트렁크를 찌그러뜨릴만한 다운포스를 이끌어 낸 차량성능향상에 박수를 쳐줘야 하는 것인지..
다운포스로 찌그러지는 3천만원짜리 차의 트렁크 강판 두께를 비난해야되는 것인지..
이유야 어찌됐건 사실이라면 난감하기 짝이 없는 일입니다.
회원님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아래는 기사 원문 링크입니다.
http://news.joins.com/article/aid/2009/01/14/3289833.html?cloc=nnc
2009.01.14 15:11:42 (*.32.126.154)

스포일러 장착 위치와도 관계가 있지않을런지... 본넷이나 트렁크 안쪽에 보면 힘을 분산시킬수있도록 그물처럼 보강물이 덧대여져있는데 스포일러의 위치가 애매하게 힘을 못받는 트렁크부분에 장착되었거나 차체설계가 힘을 잘 못받게 되어있거나 둘중 하나겠네요..
2009.01.14 15:14:35 (*.7.3.74)
시속 200키로에서 260kg 이상의 누르는 힘이 작용한다면 잘못 설계된거 아닌가요?
엄청난 저항으로 작용할것 같고, 트렁크 안찌그러질 차 없을것 같네요.
상식적으로 이해가 가지 않는군요 @_@;;
엄청난 저항으로 작용할것 같고, 트렁크 안찌그러질 차 없을것 같네요.
상식적으로 이해가 가지 않는군요 @_@;;
2009.01.14 15:36:13 (*.223.118.53)

정말로 260kg중의 다운 포스가 발생 한다면 윙의 한쪽 마운트에 걸리는 무게가 130kg중 (마운트가 두개라면)일텐데 운나쁘게 보강재가 덧대어져 있지 않은 부분에 마운트가 위치해 있다면 찌그러질만 하겠네요. 130kg의 무게가 넓은 면적에 깔려 하중이 분산되는 것도 아니고 아주 좁은 부분에 집중해서 작용할테니까요.
위 기사와 같은 상황을 차체 설계시에 고려하려면 트렁크의 아주 좁은 부분에 작용하는 130kg의 무게를 군데 군데 올려봐야 할텐데 (아니면 시뮬레이션 하던가) 전혀 그럴 필요가 없다고 생각되네요^^
위 기사와 같은 상황을 차체 설계시에 고려하려면 트렁크의 아주 좁은 부분에 작용하는 130kg의 무게를 군데 군데 올려봐야 할텐데 (아니면 시뮬레이션 하던가) 전혀 그럴 필요가 없다고 생각되네요^^
2009.01.14 15:39:54 (*.203.102.15)

일단 윙 제작업체에서 차량의 구조를 감안한 설계가 이루어져야 함이 당연하다고 볼때 윙 제작업체의 책임으로 봐야 하지 않나요?.. 체결부위가 약한구조라면 당연히 그에 상응하는 브라켓구조를 고려 하여야 겠죠..
근데 윙의 형상이 상당히 과격한 편이더군요.. 잘못하면 지나가는 사람의 어께나 옷에 걸릴것 같던데.. 상상만 해도 끔찍..
근데 윙의 형상이 상당히 과격한 편이더군요.. 잘못하면 지나가는 사람의 어께나 옷에 걸릴것 같던데.. 상상만 해도 끔찍..
2009.01.14 15:56:05 (*.207.128.143)
윙의 장착단계에서 보강이 안된게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그게 제네시스 쿠페의 강성문제로 방향을 잡는다면 말그대로 현대죽이기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닐것이라
생각되고요 그정도 다운포스발생하는 스포일러 달고양산차중 트렁크가찌그러지지 않을차는
원래 부터 다운포스용 스포일러가 설치된 차량밖에없을거라생각합니다.
3d 시뮬레이션까지 해서 설계된 날개더군요
저라면 그런 윙 장착하지않지만
그성능에 박수를 쳐주고싶네요 제 심정은며
그게 제네시스 쿠페의 강성문제로 방향을 잡는다면 말그대로 현대죽이기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닐것이라
생각되고요 그정도 다운포스발생하는 스포일러 달고양산차중 트렁크가찌그러지지 않을차는
원래 부터 다운포스용 스포일러가 설치된 차량밖에없을거라생각합니다.
3d 시뮬레이션까지 해서 설계된 날개더군요
저라면 그런 윙 장착하지않지만
그성능에 박수를 쳐주고싶네요 제 심정은며
2009.01.14 15:59:29 (*.169.21.48)
스포일러 자체는 튼튼해도 차와 연결되는 부위가 적절하지 못하게 설계/ 마운팅되었을 가능성이 꽤 있을듯 싶습니다. 단지 붙이는 정도가 아니라 힘을 제대로 받을수 있는 부분에 붙였어야할테니까요. 어떤 차라도 힘을 받는 부분을 제외하고 임의로 힘주면 해당 부분이 찌그러져 내려갈수는 있습니다.
특히나 순정처럼 접합면이 넓지 않고 좁게 볼트로 결합된다면 충분히 변형이 가해질수 있겠죠.
특히나 순정처럼 접합면이 넓지 않고 좁게 볼트로 결합된다면 충분히 변형이 가해질수 있겠죠.
2009.01.14 16:00:57 (*.218.52.117)

아는형님의 350Z(노비텍 F360 트윈차쳐와 같이 달리는..)도 트렁크에 그리 크지 않은 스포일러가 달려 있는데, 300Km/h 언저리에서 트렁크가 찌그러지던데요. 장착위치도 트렁크 가장자리쪽으로 알고 있는데요..
2009.01.14 16:09:24 (*.68.61.62)

시승차에 장착된 윙을 직접 봤습니다. 찌그러진 트렁크는 못보고 새로 교체된 트렁크만 잠깐 봤는데요....
일단 GT윙의 크기가 경기차에 장착될만큼 큽니다. 젠쿱의 좌우폭과 딱 맞아떨어지게 되어있죠.
(트렁크의 좌우폭이 아니라 가장 넓은 부분의 폭이라....)
윙의 각도도 상당히 과격한 것이 스트리트용으론 과한 느낌이 있어서
개인적인 취향으론 크기와 각도를 줄였으면 좋겠다 싶더군요.
어쨌든 실물을 보니 왠만한 차들 모두 찌그러질 정도의 다운포스가 나오겠다 싶었습니다.
현재는 마운팅 부위가 넓어져서 문제가 해결됐다고 시승기에 나와있네요.
2009.01.14 16:31:11 (*.131.231.173)

99년도인가 gt 윙을 처음 달아봤습니다. 무게도 상당했고 크기도 ^^;;
차체의 철판강성이 문제가 아니라 윙의 무게와 크기 그리고 브라켓의
접지면의 면적에 따른 찌그러짐으로 보입니다.
어느업체인지는 모르겠지만 브라켓 접지면을 넓히고 해결 됐다면
힘의 분산에 대해서 좀 더 깊이있게 설계를 하지 못했다는
느낌이 강합니다. 그로 인해서 차량 자체의 약함과 결함으로 치부하는건
조금 옳지 못한 판단이 아닌가 생각합니다만...,
차체의 철판강성이 문제가 아니라 윙의 무게와 크기 그리고 브라켓의
접지면의 면적에 따른 찌그러짐으로 보입니다.
어느업체인지는 모르겠지만 브라켓 접지면을 넓히고 해결 됐다면
힘의 분산에 대해서 좀 더 깊이있게 설계를 하지 못했다는
느낌이 강합니다. 그로 인해서 차량 자체의 약함과 결함으로 치부하는건
조금 옳지 못한 판단이 아닌가 생각합니다만...,
2009.01.14 17:10:36 (*.216.136.107)

양상규님 의견에 전적으로 동감합니다. 260키로면 쌀 세가마니 무게인데 그걸 좁은 면적의 브라켓으로 누르면 찌그러지는 건 당연하겠죠. 그게 아니더라도 건장한 성인 3명이 트렁크에 올라간 셈인데 그래도 안찌그러지는 차가 있나요?
2009.01.14 17:29:09 (*.39.68.165)

처음 장착되었던 마운트 부분이 센터쪽으로 몰려있었는데, 이후 재장착된 부분이 리어휀다에 바짝 붙여서 바깥쪽으로 수정이 되었네요.. 보강도 더 추가된것 같구요.
완성차 메이커에서 지티윙을 사제로 장착했을 경우를 대비해 트렁크를 설계하지는 않겠죠?
2009.01.14 17:55:02 (*.117.99.154)
처음부터 다운포스를 발생시키는 윙이 달린 차량들은 트렁크가 다른 차와 달리 상당한 보강이 들어갑니다. 랜서evo같은 차들이 그렇죠.
2009.01.14 18:20:51 (*.134.65.216)

좋게 말하면 트렁크 경량화고 나쁘게 말하면 원가절감인데, 기자님은 "정확히는 스포일러가 아닌 제네시스 쿠페 바디의 문제였지만" 이라면서 메이커측에 모든 책임을 전가하는군요.
튜닝이라는건 하나부터 열까지 메뉴얼에 쓰이지 않은대로의 사용법인데, 그것을 못 받아 낸다 하여 바디의 문제로 치환하는건 좀 문제가 있는 표현법이라고 생각되네요.
2009.01.14 18:28:01 (*.148.159.138)

이번 코멘트는 아무래도 좀 잘못된 발언이 아니었나 싶네요...
완성차 업체에서 에프터마켓 제품군을 미리 감안해놓고 설계를 할 리가 만무하지 않을까요? (저라도... ㅡ.ㅡ;;)
차라리 장착된 윙이 팩토리 사양이 아니라서 발생할 수 있는 이슈였다...정도로 언급했었으면 더 좋았을 것 같다는...
완성차 업체에서 에프터마켓 제품군을 미리 감안해놓고 설계를 할 리가 만무하지 않을까요? (저라도... ㅡ.ㅡ;;)
차라리 장착된 윙이 팩토리 사양이 아니라서 발생할 수 있는 이슈였다...정도로 언급했었으면 더 좋았을 것 같다는...
2009.01.14 19:53:27 (*.215.1.235)

객관적인 비교를 위해서는 동일 GT윙을 장착한 타차종들도 비슷한조건에서 트렁크의 찌그러짐이 있었는지를 알아보면되겠죠..
완성차 메이커에서 튜닝파츠까지 고려해서 설계를 해야할 의무는 없겠지만, 젠쿱의 경우 발표단계부터 애프터마켓시장과 윈윈 전략으로 가겠다고 했던 튜닝시장을 겨냥한 전략적 모델이라는점은 한번 되짚어볼만하네요..
물론 그만큼 내구한계를 높여서 설계했을거라는 기대감을 소비자로써 당연히 가지게 되었던 모델이구요.. (사실상 실비아와 수프라의 자리를 대체할 차종으로 나온 격이니까요..)
완성차 메이커에서 튜닝파츠까지 고려해서 설계를 해야할 의무는 없겠지만, 젠쿱의 경우 발표단계부터 애프터마켓시장과 윈윈 전략으로 가겠다고 했던 튜닝시장을 겨냥한 전략적 모델이라는점은 한번 되짚어볼만하네요..
물론 그만큼 내구한계를 높여서 설계했을거라는 기대감을 소비자로써 당연히 가지게 되었던 모델이구요.. (사실상 실비아와 수프라의 자리를 대체할 차종으로 나온 격이니까요..)
2009.01.14 19:58:14 (*.64.142.163)

저도 권용진님의 말에 동감합니다.. 양산업체에서 그런것까지 생각하면서 낼이유는없겠죠,,
그리고 박승준님 윙의 형태는 좀 과격한 편인데 윙에 사람몸이나 옷이 닿아서 상해를 입기전에
이미 차 팬더에 몸이 날라간이후가됄듯합니다.
윙이 뒷바퀴 팬더보다 좁기때문에 상해를 입으려면 이미 몸이 팬더안쪽까지 들어와야합니다 ^^
그리고 박승준님 윙의 형태는 좀 과격한 편인데 윙에 사람몸이나 옷이 닿아서 상해를 입기전에
이미 차 팬더에 몸이 날라간이후가됄듯합니다.
윙이 뒷바퀴 팬더보다 좁기때문에 상해를 입으려면 이미 몸이 팬더안쪽까지 들어와야합니다 ^^
2009.01.14 20:05:23 (*.220.109.1)
처음 스포일러의 위치가 트렁크 중간에 연결하는 형태더군요.
그 부분은.. 거의 모든 차가 아이가 밟고 올라서도 찌그러지 않나요?
스포일러 제작시의 실수라 생각합니다.
현대가 트렁크를 약하게 만들었다기 보다는...
어째건.. 스포일러에 대한 평이 좋군요. 뭐.. 외관은 저도 마음에 들지 않습니다.(너무 튀어 보여서.^^)
그 부분은.. 거의 모든 차가 아이가 밟고 올라서도 찌그러지 않나요?
스포일러 제작시의 실수라 생각합니다.
현대가 트렁크를 약하게 만들었다기 보다는...
어째건.. 스포일러에 대한 평이 좋군요. 뭐.. 외관은 저도 마음에 들지 않습니다.(너무 튀어 보여서.^^)
2009.01.14 20:24:26 (*.80.44.134)
저 윙은.........카본웍스에서 나온 제품이라면 현재 피아GT GT1에 나가는 윙과 동일합니다. 폭이 2m 에 달하죠. 또한 공기역학적 설계마저 다 된 제품입니다. 그 윙이라면 트렁크가 찌그러졌다고 해서 전혀 이상하지 않은 제품입니다. 거니플랩도 붙어 있죠.
정말 어마어마한 다운포스가 나옵니다. 윙 또는 브라킷 제조사의 문제가 아니라, 장착 단계에서 안쪽에 보강재를 덧대서 장착해야 하는데 그렇지 않아 찌그러진 겁니다.
아래의 것과 동일한 제품입니다.

윙 달아서 트렁크 찌그러졌다고 차량 제조사를 탓하는건 초딩만도 못한 생각입니다. 트렁크는 차체강성과 관련없는 부분이라 어느 회사도 두껍게 만들지 않습니다. 트렁크는 손바닥으로 싸대기 때리듯이 쳐도 푹 들어갑니다.
정말 어마어마한 다운포스가 나옵니다. 윙 또는 브라킷 제조사의 문제가 아니라, 장착 단계에서 안쪽에 보강재를 덧대서 장착해야 하는데 그렇지 않아 찌그러진 겁니다.
아래의 것과 동일한 제품입니다.

윙 달아서 트렁크 찌그러졌다고 차량 제조사를 탓하는건 초딩만도 못한 생각입니다. 트렁크는 차체강성과 관련없는 부분이라 어느 회사도 두껍게 만들지 않습니다. 트렁크는 손바닥으로 싸대기 때리듯이 쳐도 푹 들어갑니다.
2009.01.14 21:17:29 (*.80.53.106)

카본웍스 직원은 아니지만 제작당시 근처에서 어슬렁댔었던 관계로 줏어들은 이야기를 잠깐 끄적여 보겠습니다
드라이 카본 소재로 만든 리어 윙 스포일러 입니다. 공기역학에 의거한 데이터로 시뮬레이팅하여 제작했고
그냥 넓직한 판때기 갖다 붙인 형상은 아닙니다. 실제로 보시면 날개면이 역할에 맞는 형태를 가지고 있구요.
전폭은 1820mm 입니다. 젠쿱 전폭은 1865mm으로 불법 장착물은 아닙니다.
현재 저 윙은 다른 일반인이 사가서 제네시스 쿠페에 장착중이구요.
처음에는 별다른 보강없이 블라켓 폭을 좁게 잡아 장착했는데 김피디님 시승이후 찌그러졌구요.
그 이후 블라켓 폭을 넓혀 그 점을 보완했더군요.
카본웍스 측에서는 블라켓 위치에 무관하게 트렁크가 다운포스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트렁크 안감을 보강하거나 아니면 트렁크 자체를 카본으로 제작하는 방법도 있다고 하더군요.
드라이 카본 소재로 만든 리어 윙 스포일러 입니다. 공기역학에 의거한 데이터로 시뮬레이팅하여 제작했고
그냥 넓직한 판때기 갖다 붙인 형상은 아닙니다. 실제로 보시면 날개면이 역할에 맞는 형태를 가지고 있구요.
전폭은 1820mm 입니다. 젠쿱 전폭은 1865mm으로 불법 장착물은 아닙니다.
현재 저 윙은 다른 일반인이 사가서 제네시스 쿠페에 장착중이구요.
처음에는 별다른 보강없이 블라켓 폭을 좁게 잡아 장착했는데 김피디님 시승이후 찌그러졌구요.
그 이후 블라켓 폭을 넓혀 그 점을 보완했더군요.
카본웍스 측에서는 블라켓 위치에 무관하게 트렁크가 다운포스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트렁크 안감을 보강하거나 아니면 트렁크 자체를 카본으로 제작하는 방법도 있다고 하더군요.
2009.01.14 21:20:44 (*.80.53.106)

그리고 이번에 제가 후진하다가 접촉사고가 나서 공업사에 입고시켰는데
제네시스 쿠페 트렁크가 꽤나 무겁습니다.. 크기도 작은편이 아니구요.
가격도 상당히 비싸더군요... 일단 딱 봐도 철이 많이 들어가 있습니다..
현대에서 결코 제네시스 쿠페 트렁크를 원가 절감할려고 대충 만든건 아니였습니다. ^^;
제네시스 쿠페 트렁크가 꽤나 무겁습니다.. 크기도 작은편이 아니구요.
가격도 상당히 비싸더군요... 일단 딱 봐도 철이 많이 들어가 있습니다..
현대에서 결코 제네시스 쿠페 트렁크를 원가 절감할려고 대충 만든건 아니였습니다. ^^;
2009.01.14 22:52:14 (*.186.137.4)

튜닝이라는게 뭐하러 하는건지도 모르는 사람들이나 할만한 이야기를 기자는 하는군요.
잘못 달았으니 찌그러지지... 전에 스포일러 달아본적도 없는 사람인것 같습니다.
이건 뭐 서스 해놓고 차 튄다고 차를 잘못만들었다고 하는것과 같네요.
이 글을 보니 확실히 김기태 기자는 객관적이지 못한것 같습니다.
잘못 달았으니 찌그러지지... 전에 스포일러 달아본적도 없는 사람인것 같습니다.
이건 뭐 서스 해놓고 차 튄다고 차를 잘못만들었다고 하는것과 같네요.
이 글을 보니 확실히 김기태 기자는 객관적이지 못한것 같습니다.
2009.01.14 23:14:18 (*.229.107.156)

냉정한 얘기지만, 최재훈님 생각처럼.. 필자의 평가가 편협하다는 생각이 좀 듭니다.
완성차 메이커나 스포일러 제작업체나 둘 다 잘못이 없습니다. 튠은 말 그대로 '조율'의 의미이고.. 일정컨셉은 한방에 정리되는게 아니지요. 한대의 GT카가 경기와 서킷특성에 맞게 세팅되는데에도 고도의 전문미캐닉이 몇번의 경기를 치루면서..혹은 한시즌을 다 소모하고도 제대로 완성도를 높이지 못하는데, 스포일러 장착위치나 방법은 수시로 변경해가며 시도해볼 수 있는겁니다. 써스펜션 셋업도 마찬가지지요. 필자분의 시승기와 영상을 간간이 지켜보고있는데.. 그냥 생각나는대로 즉발적으로 쓴다는 생각이 지워지질 않네요.
티뷰론, 투스카니에 달렸던 스포일러가 왜 BK에선 안달려 나왔을까..를 메이커 프로세스 상의 문제로 던져놓는 설정도 참~ 단편적인 발상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젠쿱은 2천만원대 중반이 넘는 차로, 수요고객이 다릅니다. 청년기를 지난 매니아지향 오너층에, 중장년까지 타겟한 차종으로 적당히 보수적인 디자인을 시발점으로 하고, VDC와 LSD 등을 적용하며 '안전한 스포츠드라이빙'에 포커싱해 시작차를 내보낸걸로 생각이 되는데.. 후륜의 다운포스를 지나치게 높이면 전자제어장치의 개입이 늦어질거고, 이는 곧 고속에서의 사고율로 직결될 수 있습니다.
티뷰론때만 해도 도로의 이슬로 사라진 차들이 얼마나 많고, 안전장치가 부족한 투스카니 세대까지도 사고율은 일반 승용차에 비해 현저히 높은면을 보더라도, 후륜에..비싸진 가격대에, 전자제어장치가 증가한 젠쿱의 레벨로 보면, 간단하게..리어스포일러가 장착되지 않은 부분 한가지에도 여러가지 유추가 가능해집니다. 스포일러 장착시 쌩철판 위에 고정하고 밥상만한 스포일러를 달아 트렁크가 찌그러지는 사항에 대해, 강판의 두께를 의심하는 듯한 언급은 솔직히 말하면 상식이하의 추론이라는 얘기지요.. 윙 스포일러를 장착할때 안팎의 브라켓을 덧대어야 하는건 기본적인 에어로파트 튠의 초보단계임에, 한심하다는 생각까지 드네요.
완성차 메이커나 스포일러 제작업체나 둘 다 잘못이 없습니다. 튠은 말 그대로 '조율'의 의미이고.. 일정컨셉은 한방에 정리되는게 아니지요. 한대의 GT카가 경기와 서킷특성에 맞게 세팅되는데에도 고도의 전문미캐닉이 몇번의 경기를 치루면서..혹은 한시즌을 다 소모하고도 제대로 완성도를 높이지 못하는데, 스포일러 장착위치나 방법은 수시로 변경해가며 시도해볼 수 있는겁니다. 써스펜션 셋업도 마찬가지지요. 필자분의 시승기와 영상을 간간이 지켜보고있는데.. 그냥 생각나는대로 즉발적으로 쓴다는 생각이 지워지질 않네요.
티뷰론, 투스카니에 달렸던 스포일러가 왜 BK에선 안달려 나왔을까..를 메이커 프로세스 상의 문제로 던져놓는 설정도 참~ 단편적인 발상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젠쿱은 2천만원대 중반이 넘는 차로, 수요고객이 다릅니다. 청년기를 지난 매니아지향 오너층에, 중장년까지 타겟한 차종으로 적당히 보수적인 디자인을 시발점으로 하고, VDC와 LSD 등을 적용하며 '안전한 스포츠드라이빙'에 포커싱해 시작차를 내보낸걸로 생각이 되는데.. 후륜의 다운포스를 지나치게 높이면 전자제어장치의 개입이 늦어질거고, 이는 곧 고속에서의 사고율로 직결될 수 있습니다.
티뷰론때만 해도 도로의 이슬로 사라진 차들이 얼마나 많고, 안전장치가 부족한 투스카니 세대까지도 사고율은 일반 승용차에 비해 현저히 높은면을 보더라도, 후륜에..비싸진 가격대에, 전자제어장치가 증가한 젠쿱의 레벨로 보면, 간단하게..리어스포일러가 장착되지 않은 부분 한가지에도 여러가지 유추가 가능해집니다. 스포일러 장착시 쌩철판 위에 고정하고 밥상만한 스포일러를 달아 트렁크가 찌그러지는 사항에 대해, 강판의 두께를 의심하는 듯한 언급은 솔직히 말하면 상식이하의 추론이라는 얘기지요.. 윙 스포일러를 장착할때 안팎의 브라켓을 덧대어야 하는건 기본적인 에어로파트 튠의 초보단계임에, 한심하다는 생각까지 드네요.
2009.01.14 23:26:10 (*.229.107.156)

'튠에 있어 필자의 취향, 지양점' 등으로 언급하는 점도 프로답지 못한 발언입니다.
튜닝팩토리의 지향 컨셉을 정확히 알고, 존중하는 입장에서 언급되어야 하는 부분이고.. 튠품목의 데코레이션에 대한 소견도 옳지못해 보입니다. 튜닝카의 데코레이션(스티커류) 는 상업성과 마케팅 측면의 필연성에 의해 붙여지는 것이고, 시승기 쓰는 양반의 취향으로 평가되어서는 안되는 부분이지요. 무조건 시니컬한 평가나 하드보일드 스타일의 글투가, 명쾌한 시승기라는 생각이야말로 지양되어야 한다는 생각이 듭니다. 추상적인 표현이 많고, 전문성이냐 일반매니아 위주이냐가 모호한 설정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튜닝팩토리의 지향 컨셉을 정확히 알고, 존중하는 입장에서 언급되어야 하는 부분이고.. 튠품목의 데코레이션에 대한 소견도 옳지못해 보입니다. 튜닝카의 데코레이션(스티커류) 는 상업성과 마케팅 측면의 필연성에 의해 붙여지는 것이고, 시승기 쓰는 양반의 취향으로 평가되어서는 안되는 부분이지요. 무조건 시니컬한 평가나 하드보일드 스타일의 글투가, 명쾌한 시승기라는 생각이야말로 지양되어야 한다는 생각이 듭니다. 추상적인 표현이 많고, 전문성이냐 일반매니아 위주이냐가 모호한 설정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2009.01.15 10:12:48 (*.49.219.170)
와...댓글이 많이 달렸네요. 제가 올린 글, 기사 원문, 그리고 달린 댓글들을 처음부터 다시 읽어보니 일단 제가 참 모른다는것과..ㅎ 시승기 내용중의 '찌그러짐=얇은 강판' 으로 직선 연결 시켜서 이해한 후에 글을 올린것이 원문의 의도를 훼손하지 않았을까 합니다. 원래 불펌은 잘 안하는지라, 짧게 필요하고 궁금한 부분만 발췌했는데, 오늘 다시 보니 창피한 수준의 글이 되었군요. 어쨌든 궁금증은 풀렸네요~ 젠쿱 살려고 여기저기 알아보다보니 별게 다 신경이 쓰여서 말입니다..^^
2009.01.15 10:27:06 (*.111.201.195)
앗! 그래도 실명을 직접 거론하시는것은...
우리 회원이실수도 있는데...그리고,테드도 여러사람의 의견이 모아지고 몰랐던 상황들이 알려지면서 이해가
가게되는경우가 많더군요. 누구나 순간적으로는 저렇게 생각할수도 있지않을까요?
이렇게 얘기하면서 틀린부분을 지적하는것은 괜찮지만,해당기자라는 표현을 써도 괜찮을것 같은데,대놓고 실명을
거론하면서 비판하는것은 테드스럽지는 않은것 같습니다.^^
우리 회원이실수도 있는데...그리고,테드도 여러사람의 의견이 모아지고 몰랐던 상황들이 알려지면서 이해가
가게되는경우가 많더군요. 누구나 순간적으로는 저렇게 생각할수도 있지않을까요?
이렇게 얘기하면서 틀린부분을 지적하는것은 괜찮지만,해당기자라는 표현을 써도 괜찮을것 같은데,대놓고 실명을
거론하면서 비판하는것은 테드스럽지는 않은것 같습니다.^^
2009.01.15 10:51:37 (*.132.122.157)
저도 그 동영상을 봤는데 트렁크 부분이 찌그러졌다는 에피소드가 있었다는 것만으로 나왔었는데 시승글에서는 차체 운운을 했었나 보죠? 그런데 기자라도 모든 부분을 다 알수 없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단순히 그렇게 글을 썼다고 한순간에 아마추어라고 보기에는 심한거 같습니다. 김기태 기자는 차량문의 게시판을 따로 만들어 사람들의 궁금증을 풀어줄려고 노력을 합니다만 다른기자들도 그런가요? 어떤 시승기를 봐도 저는 그렇게 그 느낌을 잘 준다고 느낌이 온적이 별로 없었습니다. 냉정하게 보자면 일반 유저 분들이 더 느낌을 잘 전해주는게 크더라구요 한 순간의 실수로 남을 그렇게 깍아 내리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2009.01.15 11:08:51 (*.229.107.156)

물론 보는시각에 따라 유익한 부분이 있을겁니다.
위필자분의 의견에 이의가 되는건 단지 젠쿱에 한해서이지요. 관심도와 최대공약수가 높은 차종에 있어서는, 편파성과 비전문성이 쉽게 드러나므로, 더욱 주의를 요해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위필자분의 의견에 이의가 되는건 단지 젠쿱에 한해서이지요. 관심도와 최대공약수가 높은 차종에 있어서는, 편파성과 비전문성이 쉽게 드러나므로, 더욱 주의를 요해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2009.01.15 11:55:46 (*.80.53.106)

개인적으로는 해당 기자님의 작은 팬이기는 하지만
운전자의 습관이나 운전방식에 따라 오히려 크나큰 장점이 될 수 있는 부분을 단순히 결함등의 단점으로 치부한
몇몇 부분이 보여, 중립적인 입장을 고수해야하는 전문 기자가 설마 정말 몰라서 그런 멘트를 한것일까? 하는
의문도 잠시 들긴 했었습니다만, 마치 찬양수준으로 현대에서 사주 받은듯한, 제네시스 쿠페 오너조차도 눈쌀이
찌푸려지는 수준의 다른 시승기들보다는 훨씬 유익했습니다.
하지만 전문성 또는 중립성 둘 중 하나는 해당 기자님이 지금껏 써온 시승기와 비교해서
제네시스 쿠페 시승기에서만큼은 다소 결여된듯한 모습이 보이는 것 또한 부정할수는 없네요.
(브레이크 패드, 수동 미션, 서스펜션, VDC 개입 범위, 디퍼런셜 기어 고정 볼트 와 관련해
현대에서 원가절감이나 기술부족이 아닌 안전성 및 편의성을 위해 적절히 스포츠쿱의 특성에서 절충하여
세팅한 부분을 단지 단점 및 결함으로만 치부한점 )
운전자의 습관이나 운전방식에 따라 오히려 크나큰 장점이 될 수 있는 부분을 단순히 결함등의 단점으로 치부한
몇몇 부분이 보여, 중립적인 입장을 고수해야하는 전문 기자가 설마 정말 몰라서 그런 멘트를 한것일까? 하는
의문도 잠시 들긴 했었습니다만, 마치 찬양수준으로 현대에서 사주 받은듯한, 제네시스 쿠페 오너조차도 눈쌀이
찌푸려지는 수준의 다른 시승기들보다는 훨씬 유익했습니다.
하지만 전문성 또는 중립성 둘 중 하나는 해당 기자님이 지금껏 써온 시승기와 비교해서
제네시스 쿠페 시승기에서만큼은 다소 결여된듯한 모습이 보이는 것 또한 부정할수는 없네요.
(브레이크 패드, 수동 미션, 서스펜션, VDC 개입 범위, 디퍼런셜 기어 고정 볼트 와 관련해
현대에서 원가절감이나 기술부족이 아닌 안전성 및 편의성을 위해 적절히 스포츠쿱의 특성에서 절충하여
세팅한 부분을 단지 단점 및 결함으로만 치부한점 )
2009.01.15 15:59:01 (*.162.58.20)

최홍준님이 정리하여 올려 주신 내용으론 트렁크 강도가 낮음을
비판하는것 같지는 않아 보이네요
"그냥... 밸런스가 안좋은것 같아 뒤를 보니 리어윙이 제대로
장착되지 않았다 " 라는 사실을 말한걸로 생각 됩니다.
비판하는것 같지는 않아 보이네요
"그냥... 밸런스가 안좋은것 같아 뒤를 보니 리어윙이 제대로
장착되지 않았다 " 라는 사실을 말한걸로 생각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