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항상 테드에서 알찬 정보를 습득하고 있는 회원 입니다
제 차량이 .6국산 터보 맵차라서 문의 드립니다
배기온이 지나치게 높으면 안된다고 하는데 이유가 멀까요? 현제는 부스트게이지만 달려있어서 배기온 모니터링은 힘든데 주로 고속항속을 많이해서 우려스럽기도 하고요
수동 250마력 고급유맵에 인쿨업 다운파이프는 플랜지직관 2차촉매는 스촉만 하나 달아놨구 흡배기는 순정입니다 고온의 배기온에 장기 노출시 우려되는 상황이 무엇인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제 차량이 .6국산 터보 맵차라서 문의 드립니다
배기온이 지나치게 높으면 안된다고 하는데 이유가 멀까요? 현제는 부스트게이지만 달려있어서 배기온 모니터링은 힘든데 주로 고속항속을 많이해서 우려스럽기도 하고요
수동 250마력 고급유맵에 인쿨업 다운파이프는 플랜지직관 2차촉매는 스촉만 하나 달아놨구 흡배기는 순정입니다 고온의 배기온에 장기 노출시 우려되는 상황이 무엇인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017.03.27 07:53:12 (*.7.15.3)
기본적으로 TIT라고 하여, 터빈 인렛 템포러처,
터빈으로 들어가는 기체의 온도가 정해져있습니다.
전투기엔진들도 대략 1500K 정도가 마지노선에 근접합니다. 소재에 따라 다르지만 표면온도와, 소재의 물성치는 밀접한 연관이 있구요. 온도가 오를수록 물러지고 약해집니다. 터빈의 사이즈와 터빈 형상에따른 백프레셔도 당연히 달라지구요... 배기온은, 연소실 상태의 지표쯤으로 생각하셔도 되구요...
터빈으로 들어가는 기체의 온도가 정해져있습니다.
전투기엔진들도 대략 1500K 정도가 마지노선에 근접합니다. 소재에 따라 다르지만 표면온도와, 소재의 물성치는 밀접한 연관이 있구요. 온도가 오를수록 물러지고 약해집니다. 터빈의 사이즈와 터빈 형상에따른 백프레셔도 당연히 달라지구요... 배기온은, 연소실 상태의 지표쯤으로 생각하셔도 되구요...
2017.03.27 09:59:24 (*.46.104.211)
가장먼저 피스톤이 녹습니다. 배기온이 높아지면 연소실 온도가
높다라는 것이고, 연소실 온도가 높아지면 압축된 혼합기가
자기발화 합니다. 즉... 노킹이지요.
자기발화 하면서 피스톤 및 실린더에 불규칙 충격파를 만들고
곧 피스톤이 깨지거나 구멍이 뚫리거나 합니다.
엔진오일 점도하락, 터빈사망보다 실린더와 피스톤에 치명적
입니다.
높다라는 것이고, 연소실 온도가 높아지면 압축된 혼합기가
자기발화 합니다. 즉... 노킹이지요.
자기발화 하면서 피스톤 및 실린더에 불규칙 충격파를 만들고
곧 피스톤이 깨지거나 구멍이 뚫리거나 합니다.
엔진오일 점도하락, 터빈사망보다 실린더와 피스톤에 치명적
입니다.
2017.03.27 13:10:59 (*.219.46.67)
엔진동력계로 감마 전자식 터보엔진으로 풀부스트(WG Fully closed)로 30분간 돌려보니까 배기매니온도 기준 1200도 이상, WCC 전단온도 1000도 정도 찍던데, 매니에 장착된 3.2파이 k타입 온도센서 파손, 터빈과 shaft 절단되서 터빈이 촉매쪽까지 날라가더군요 . 촉매는 melting되지는 않았지만 aging되구요.
다행히 시험 중 연소해석기, EMS상 Knoking은 계측되지는 않았습니다.
순정기준으로 배기온계산값, 부스트 등 여러변수를 통해 출력제한을 걸리기때문에 안전한데,
맵핑차면 보통 매니기준 1,000도 이하로 잡지 않나요? ADS기준 WCC Melting온도가 970도정도 되므로 촉매전단 온도생각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2017.03.27 23:33:28 (*.61.242.82)

배기온센서를 매니에 다느냐 터빈과 촉매 사이에 다느냐에 따라 유추할수 있는 트러블은 전혀 다릅니다
매니 기준 1천도 이상이면 고급유 넣고도 노킹이 생긴다는것이니 압축비와 오일점도에 유의 하시고 터빈이후 라면 무조건 오일교환하시고 재차 테스트후 원인 잡아야합니다
참고로 배기온게이지를 두개를 달고 있는 오너도 많습니다
매니 기준 1천도 이상이면 고급유 넣고도 노킹이 생긴다는것이니 압축비와 오일점도에 유의 하시고 터빈이후 라면 무조건 오일교환하시고 재차 테스트후 원인 잡아야합니다
참고로 배기온게이지를 두개를 달고 있는 오너도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