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십니까?
SRT-6로 요즘 고속의 재미를 알아가고 있는 윤중이라고 합니다.
제 차량은 32AMG의 파워트레인을 가진 400마력정도의 즐기기 딱 좋은 입문용 스포티카입니다.
제가 평소 주행시 연비모드로 운전을 해서인지 2500rpm을 넘길일 없이 계속 변속이 되도록 유도하고, 실속(GPS) 100Km/h에서도 2200rpm정도를 유지하는지라 3000rpm까지 사용하는 일이 거의 없습니다.(나이트라이더가 되어 외곽순환 고속도로를 타임어택할때 제외하고는 말입니다.) 그런데 얼마전 택시를 타보니 3000~4000rpm까지 사용하시며 주행하시더군요. 제 운전습관이 너무 연비위주의 운행습관이 아닌지, 아니면 다른 회원 분들께서도 저처럼 2000rpm대의 운전을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아래 댓글로 답글 부탁드리겠습니다.
SRT-6로 요즘 고속의 재미를 알아가고 있는 윤중이라고 합니다.
제 차량은 32AMG의 파워트레인을 가진 400마력정도의 즐기기 딱 좋은 입문용 스포티카입니다.
제가 평소 주행시 연비모드로 운전을 해서인지 2500rpm을 넘길일 없이 계속 변속이 되도록 유도하고, 실속(GPS) 100Km/h에서도 2200rpm정도를 유지하는지라 3000rpm까지 사용하는 일이 거의 없습니다.(나이트라이더가 되어 외곽순환 고속도로를 타임어택할때 제외하고는 말입니다.) 그런데 얼마전 택시를 타보니 3000~4000rpm까지 사용하시며 주행하시더군요. 제 운전습관이 너무 연비위주의 운행습관이 아닌지, 아니면 다른 회원 분들께서도 저처럼 2000rpm대의 운전을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아래 댓글로 답글 부탁드리겠습니다.
2009.01.28 11:34:34 (*.232.171.208)

평범한 국산 2.0 가솔린은 2500~3000 정도 에서 변속하구요... (평균연비 11.XX km/l)
기어비때문에 고속도로타면 3000rpm 은 기본으로 넘깁니다. (5단 100km/h 에서 2900rpm)
1.6 디젤은 2300~2600 정도에서 변속합니다... (아직 새차라 평균연비라 할수는 없지만 17.XX km/l)
저도 큰 엔진 달고 2000rpm으로만 편안하게 운전하고 싶어요 (3)
기어비때문에 고속도로타면 3000rpm 은 기본으로 넘깁니다. (5단 100km/h 에서 2900rpm)
1.6 디젤은 2300~2600 정도에서 변속합니다... (아직 새차라 평균연비라 할수는 없지만 17.XX km/l)
저도 큰 엔진 달고 2000rpm으로만 편안하게 운전하고 싶어요 (3)
2009.01.28 11:49:49 (*.198.34.50)
제가 가장 부러워 하는 형태의 운전을 하고 계시네요.^^
저회전수 에서도 충분한 힘이 나오니 아무래도 일상적인 주행에선 나름 편안하니까요...
전에 TG3.3을 탔을때, 2000rpm 내외에서 아주 가뿐하게 가속 되던 걸 보고 놀랐던 적이 있습니다.
아마도 제가 다른차를 거의 타 본적이 없었기 때문이겠지요.
제가 모는 차는 1.5리터 오토인데, 나름 깊게(?) 밟는지라 보통 3000rpm 내외에서 변속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끔 가속이 더디다 싶으면 변속레버를 움직여서 강제로 4000rpm 정도 까지 올리기도 합니다.^^;
저도 큰 엔진 달고 2000rpm 으로만 편안하게 운전하고 싶어요 (4)
저회전수 에서도 충분한 힘이 나오니 아무래도 일상적인 주행에선 나름 편안하니까요...
전에 TG3.3을 탔을때, 2000rpm 내외에서 아주 가뿐하게 가속 되던 걸 보고 놀랐던 적이 있습니다.
아마도 제가 다른차를 거의 타 본적이 없었기 때문이겠지요.
제가 모는 차는 1.5리터 오토인데, 나름 깊게(?) 밟는지라 보통 3000rpm 내외에서 변속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끔 가속이 더디다 싶으면 변속레버를 움직여서 강제로 4000rpm 정도 까지 올리기도 합니다.^^;
저도 큰 엔진 달고 2000rpm 으로만 편안하게 운전하고 싶어요 (4)
2009.01.28 12:32:37 (*.138.171.53)
S2000 보통 시내에선 3000에서 변속 합니다. 좀 답답하다고 생각되면 대략 4~5000 정도에서 변속 합니다. 답답하다고 저단에서 6000 이상 밟으면 가끔 예상치 못하게 뒤가 날라 버려서 시내에선 5천 한정으로 운전 하고 있습니다. 토크가 너무 약해서 3000에서 변속하면 요즘 6기통 페밀리세단에도 밀리는 현실 마음 아픕니다.
2009.01.28 12:40:34 (*.216.136.184)

택시기사가 rpm을 높이 쓰는 스타일이라 그런게 아니라 요즘 택시( NF 등)는 엑셀을 조금만 깊이 밟아도 4000rpm까지 지나서 변속되는 똑똑한 차라서 그럴 겁니다.^^ 요즘은 택시도 대부분 오토이니까요...하지만 NF 수동 택시를 타보면 역시나 2000rpm도 안되게 변속하더군요.
저도 평상시에는 연비를 위한 깃털 액셀링에 신경씁니다. 가급적 브레이크를 안밟고 차간거리 유지하고 신호주기 이용하고..ㅋㅋ 그러다 추월하거나 그러면 뭐 레드존 부근까지도 써야죠.
저도 평상시에는 연비를 위한 깃털 액셀링에 신경씁니다. 가급적 브레이크를 안밟고 차간거리 유지하고 신호주기 이용하고..ㅋㅋ 그러다 추월하거나 그러면 뭐 레드존 부근까지도 써야죠.
2009.01.28 13:09:29 (*.155.92.165)

미국애들하고 같이 차를 타고 다니는데.. 그러더군요. 왜 넌 그리 악셀을 깊게 밟냐고 ^^;; 아니 늬들 차는 배기량 기본 v6 v8 3천~5천cc인데 내 차랑(2.3리터 4기통) 같겠니? 라고 답했답니다.
아무래도 운전하는 습관도 그렇지만 엔진의 출력이나 특성도 중요하지 않을까 싶어요.
아무래도 운전하는 습관도 그렇지만 엔진의 출력이나 특성도 중요하지 않을까 싶어요.
2009.01.28 13:46:43 (*.67.88.3)

느긋하게 연비주행시...
국도나 올림픽대로에서 80키로 주행시 1450RPM, 자유로나 고속도로 100키로 주행시 1850RPM으로 다닙니다...
3210CC, 5단 자동, 세단 차량이고 연비주행하면 리터당 14키로 정도 나오더군요... ^^;;;
국도나 올림픽대로에서 80키로 주행시 1450RPM, 자유로나 고속도로 100키로 주행시 1850RPM으로 다닙니다...
3210CC, 5단 자동, 세단 차량이고 연비주행하면 리터당 14키로 정도 나오더군요... ^^;;;
2009.01.28 17:46:08 (*.217.176.167)

윤중 님의 운전방법은 연비운전이기도 하겠지만 성능이 좋은 차량에서는 웬만한 추월시에도 킥다운을 할 필요가 없어서 쉽게 가속이 되니 rpm을 높게 쓸 필요가 없지요.
그런 것을 "effortless driving performance" 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
그런 것을 "effortless driving performance" 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
2009.01.28 18:28:38 (*.162.58.20)

2002년에 운전면허 따고 처음 구입한 스펙트라윙 1.5 A/T로
2000rpm 안넘기고 시내 주행 하고 다녔었는데...
모든 차들이 저를 추월해 지나갔고 지나 가면서
다들 한번씩 저를 쳐다 보았던 기억이 나네요...^^
2000rpm 안넘기고 시내 주행 하고 다녔었는데...
모든 차들이 저를 추월해 지나갔고 지나 가면서
다들 한번씩 저를 쳐다 보았던 기억이 나네요...^^
2009.01.28 19:55:43 (*.172.24.50)

예전에 타본 대형 트레일러들 보니 1000알펨으로 100킬로 항속하고 계시더군요....
엔엡 수동차량에 슈퍼차져 달으니 60킬로만 넘으면 벌써 5단 기어로 모든 시내길을 커버하고 다닙니다..
엔엡 수동차량에 슈퍼차져 달으니 60킬로만 넘으면 벌써 5단 기어로 모든 시내길을 커버하고 다닙니다..
2009.01.29 08:40:45 (*.230.114.49)
정말 평범한 2.0 so A/T 중형세단인데... 느긋하게 다닐때는 1900~2100RPM 정도로 다니며...
워낙 부족한 출력이다보니 킥다운 후 치고 나갈때는 3500~4000RPM 까지 쓰게 되더군요-_-;
개인적으로 고 RPM 에서의 엔진음이 너무 매력적이라 습관적으로 깊게 악셀링 할 때가 더러 있습니다.
저도 큰 엔진 달고 2000rpm으로만 편안하게 운전하고 싶어요 (5)
워낙 부족한 출력이다보니 킥다운 후 치고 나갈때는 3500~4000RPM 까지 쓰게 되더군요-_-;
개인적으로 고 RPM 에서의 엔진음이 너무 매력적이라 습관적으로 깊게 악셀링 할 때가 더러 있습니다.
저도 큰 엔진 달고 2000rpm으로만 편안하게 운전하고 싶어요 (5)
2009.01.30 00:15:13 (*.123.35.121)

1.6 가솔린 수동차량 탑니다.
기본적으로 3000에서 변속하구요.
거의 매일 몇번씩은 5000이상까지 씁니다.
고속도록 가면 3000에 100킬로가 나오기 때문에 150이상 항속하면 5000정도 꾸준히 쓴다고 보면 되지요.
연비는 별로 안나오더군요.
심할때는 10킬로밖에.
기본적으로 3000에서 변속하구요.
거의 매일 몇번씩은 5000이상까지 씁니다.
고속도록 가면 3000에 100킬로가 나오기 때문에 150이상 항속하면 5000정도 꾸준히 쓴다고 보면 되지요.
연비는 별로 안나오더군요.
심할때는 10킬로밖에.
2009.02.01 01:20:46 (*.11.80.100)

전 아침일찍 나가서 밤 늦게 들어오는 편이라 6000까지 아주 자주... 항상 씁니다.
그래도 8km/l 정도 이상은 나와줘서 참 감사하다는..
그래도 8km/l 정도 이상은 나와줘서 참 감사하다는..
2009.02.01 18:56:50 (*.143.38.224)
항상 4000rpm 정도 사용하고 다닙니다 (마티즈입니다-_-;)
그 이하로는 답답해서 홧병나겠던데요..
2리터 중형 세단에서 넘어온거라 앞으로도 이렇게 운행할거 같습니다.
그 이하로는 답답해서 홧병나겠던데요..
2리터 중형 세단에서 넘어온거라 앞으로도 이렇게 운행할거 같습니다.
2009.02.01 19:24:42 (*.140.111.89)

부럽네요.
차에 짐을 많이 싣는지라 저도 나름 고알피엠이네요.
저도 큰 엔진 달고 2000rpm으로만 편안하게 운전하고 싶어요 (6) <=== 요거 나름 잼있네요...
차에 짐을 많이 싣는지라 저도 나름 고알피엠이네요.
저도 큰 엔진 달고 2000rpm으로만 편안하게 운전하고 싶어요 (6) <=== 요거 나름 잼있네요...
엔진 특성에 따라 토크밴드를 최대한 활용해야 좋겠지만 그렇다고 차량 흐름을 깨면서 혼자 날뛰는건 더 위험하니까요... 저를 비롯한 대부분의 운전자들은 토크밴드까지 rpm을 올려야 만족할만한 출력이 나오기 때문에 어쩔수없이 올린다고 보셔도 무방할듯..
저도 큰 엔진 달고 2000rpm으로만 편안하게 운전하고 싶어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