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요세 쏘고 다니는 것보다 뒷바퀴 미끄러트리는게 더 재밌네요
와인딩하며 제대로 된 드리프트를 하는것은 아니구요 아직 걸음마 단계의 초보입니다
하루에 대략 10번 정도 하는데요 (물론 새벽시간 인적 드문 공터에서요)
주위 의견은 무리 없다라는 사람도 있고 하면 차 버린다는 사람도 있는데요
솔직히 차에 무리가 안가는지 살짝 걱정되기는 합니다
드리프트로 인해 구동축이나 부싱류 같은 곳에 문제가 생길 소지는 있는걸까요?
ps: 드리프트시에 뒷바퀴가 미끌리다가 그립을 잡으며 주행을 하는 순간에 제가 카운터를 잘 못쳐서
그런지 차가 양옆으로 심하게 흔들리며 기우뚱거리는데요 이거 스무스하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요세 쏘고 다니는 것보다 뒷바퀴 미끄러트리는게 더 재밌네요
와인딩하며 제대로 된 드리프트를 하는것은 아니구요 아직 걸음마 단계의 초보입니다
하루에 대략 10번 정도 하는데요 (물론 새벽시간 인적 드문 공터에서요)
주위 의견은 무리 없다라는 사람도 있고 하면 차 버린다는 사람도 있는데요
솔직히 차에 무리가 안가는지 살짝 걱정되기는 합니다
드리프트로 인해 구동축이나 부싱류 같은 곳에 문제가 생길 소지는 있는걸까요?
ps: 드리프트시에 뒷바퀴가 미끌리다가 그립을 잡으며 주행을 하는 순간에 제가 카운터를 잘 못쳐서
그런지 차가 양옆으로 심하게 흔들리며 기우뚱거리는데요 이거 스무스하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2009.02.01 05:31:25 (*.236.17.123)
극단적인 얘기지만, 엔진 회전 3000rpm만 넘겨도 엔진에 큰 무리가 간다고 생각하는 사람들 많습니다.
타인의 말, 특히 자동차에 대해 경험이 적은 분들의 말에 너무 귀기울일 필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차량 관리의 경우... 평소 정비만 충실히 하시면 문제 없다고 봅니다.
타인의 말, 특히 자동차에 대해 경험이 적은 분들의 말에 너무 귀기울일 필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차량 관리의 경우... 평소 정비만 충실히 하시면 문제 없다고 봅니다.
2009.02.01 06:28:10 (*.122.244.159)

엔진 냉각을 위한 주행풍 없이 고회전을 유지하면, 바로 오버히트와 유막손실에 의한 엔진손상을 야기합니다.
젠쿱 출시행사에서 드리프트 데모를 보이던 모선수의 차량도 오버히트로 행사를 마쳤죠.
(스페 7전을 검색해보세요.)
드리프트는 일반적인 서킷 주행에 비해 훨씬 엔진에 무리가 많이가는 행동입니다.
하지만, 출고사양에서는 이런 부분을 막기위해 많은 제한을 걸어두었죠.
일본의 유명한 드리프트 머신들의 베이스 차량들도 출고 상태로는 드리프트 안됩니다.
물론, 몇십분간 도넛 그리는게 아닌 살짝 미끄러트려 보는 수준에서는 걱정안해도 되구요.
이런 상황이 걱정되면 연습 조금하시고, 정속주행 조금 해 주시는 것을 반복하면 됩니다.
주행풍을 자주 맞게 해주라는 말씀입니다.
참고로, 500마력대 차량이 난무하는 드리프트 축제 D1GT 머신들은 엔진도 소모품입니다.
젠쿱 출시행사에서 드리프트 데모를 보이던 모선수의 차량도 오버히트로 행사를 마쳤죠.
(스페 7전을 검색해보세요.)
드리프트는 일반적인 서킷 주행에 비해 훨씬 엔진에 무리가 많이가는 행동입니다.
하지만, 출고사양에서는 이런 부분을 막기위해 많은 제한을 걸어두었죠.
일본의 유명한 드리프트 머신들의 베이스 차량들도 출고 상태로는 드리프트 안됩니다.
물론, 몇십분간 도넛 그리는게 아닌 살짝 미끄러트려 보는 수준에서는 걱정안해도 되구요.
이런 상황이 걱정되면 연습 조금하시고, 정속주행 조금 해 주시는 것을 반복하면 됩니다.
주행풍을 자주 맞게 해주라는 말씀입니다.
참고로, 500마력대 차량이 난무하는 드리프트 축제 D1GT 머신들은 엔진도 소모품입니다.
2009.02.01 08:00:58 (*.5.3.161)

e46m3 smg로 원돌이부터배워서 6만~10만키로 가까울때까지 드리프트 흉내댄다고 열심히? 이리저리 돌아다니며 연습하고 다녔습니다. 물론 8천rpm까지 항상? 골고루 사용해주구요~ 당연히 고질적인 m3의 뒷데후 차대연결부위 찢어짐 그리고 엔진 바노스 그리고 테핏,메탈베어링 손상,smg기어 빠짐 증상으로 인한 smg 모튤,미션통째로교환을 해보왔지만 지금 생각해보면 어설픈 실력으로 오버스티어상태를 만드려고 억지고 악셀링 했던 기억이 차에 무리를 많이 주었던거 같습니다. 그래도 고질적인 뒷대후 연결부위 찢어짐이나 부씽정도.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어느정도 실력이 늘면 차라리 한계점 그림주행보다는 드립이 차량이 400~500마력 오버세팅이 아닌이상 완전 슬라이드상태인 드립이 무리가 덜하지안을까합니다..ㅋ다판식클러치 lsd달고 해보면 바로 느낌이 물 흐르듯한 부드러움만..
2009.02.01 09:36:56 (*.45.238.98)

드리프트로 인해 야기되는 차량데미지 정도는 순전히 드라이버의 재량에 달려 있다고 생각됩니다. 일본의 유명 드라이버 옆에 동승할 기회가 있었는데, 차는 엄청난 속도로 미끌어지고 있는데 드라이버는 너무 편안한 모습이었습니다. 전혀 바쁘지 않더군요.. 너무나 자연스럽게 미끌어지고 있어서 차량에 입는 데미지는 드리프트를 이제 갓 배우기 시작한 분들보다 훨씬 적을거란 생각을 해봅니다..
비교가 될수 있을지 모르지만 모터바이크의 경우 윌리나 잭나이프를 하면 능숙한 분들은 살짝 떨어트립니다만 익스퍼트가 아니신 분들은 강하게 떨어텨려서 리테이너가 터지기도 하죠..
비교가 될수 있을지 모르지만 모터바이크의 경우 윌리나 잭나이프를 하면 능숙한 분들은 살짝 떨어트립니다만 익스퍼트가 아니신 분들은 강하게 떨어텨려서 리테이너가 터지기도 하죠..
2009.02.01 09:48:14 (*.204.232.105)

드리프트하고 자세잡을 시기에 차가 기우뚱하는건 자세잡기 바로직전 핸들조타각도는 최소여야하며
보통 처음 드리프트 하는분들은 자세잡기 바로전 엑셀에서 발을 떼버려서 그렇습니다....
자세를 완전히 잡을때까지 엑셀전개 해보세요 .이때 마력이 낮은 차일수록 힘부족으로 그립을 빨리 잡아버려 기우뚱하기 쉬워집니다...그렇다고 그립이 나쁜타이어를 쓰면 접지력이 나빠져서 드리프트 유지가 힘들어지구요..
드리프트가 차를 미끄러 트리는것이지만 타이어는 그립이 좋을수록 편한 드리프트가 됩니다...
드리프트시 핸들의 각도는 최대한으로 꺾으면 다음자세로의
전환이 쉽지 않습니다 최대 핸들량의 20%정도는 남겨두고 드리프트하시고 반대로 자세바꿀땐 남은 20%의 핸들을
꺽음과 동시에 엑셀에서 발만 떼어주면 다시 반대로 자세변환이 가능합니다..고급기술이긴한데....
드리프트시 운전자가 컨트롤 하려고 하지마시고 핸들가는데로 차에게 맡기는쪽이 쉽습니다....자신이 컨트롤하려고하면 스핀으로 이어지던지 핸들돌리다가 손가락 부러집니다...드라이빙스쿨에서 드리프트 배우시다가
손가락부러지시는분들 (외국인) 3명 봤습니다...
평소 왼발브레이킹능력을 키우세요 드리프트시 왼발브레이킹이 아주 효율적으로 쓰입니다(오버스피트진입등등)
주차브레이크를 항상 최상의 컨디션으로만들어 주세요..(일본엔 드리프트전용 파킹브레이크슈도 있습니다만)
주차브레이크는 차량이 오버스피드를 저절히 컨트롤하거나 차량의 슬립을 유도하는데 많이 쓰입니다...
물론 하체부품류들이 좀 빨리 손상되는것은 있습니다...엔진의 경우도 본격적으로 하실려면 냉각계통의 보강이 필요합니다... 엔진오일쿨러 필수이며 거기엔 강제로 냉각시킬수있는 냉각휀이 달려있어야 합니다...
원돌이후엔 필수로 한바퀴 휘~~이 돌아주어 냉각시켜줍니다....
보통 처음 드리프트 하는분들은 자세잡기 바로전 엑셀에서 발을 떼버려서 그렇습니다....
자세를 완전히 잡을때까지 엑셀전개 해보세요 .이때 마력이 낮은 차일수록 힘부족으로 그립을 빨리 잡아버려 기우뚱하기 쉬워집니다...그렇다고 그립이 나쁜타이어를 쓰면 접지력이 나빠져서 드리프트 유지가 힘들어지구요..
드리프트가 차를 미끄러 트리는것이지만 타이어는 그립이 좋을수록 편한 드리프트가 됩니다...
드리프트시 핸들의 각도는 최대한으로 꺾으면 다음자세로의
전환이 쉽지 않습니다 최대 핸들량의 20%정도는 남겨두고 드리프트하시고 반대로 자세바꿀땐 남은 20%의 핸들을
꺽음과 동시에 엑셀에서 발만 떼어주면 다시 반대로 자세변환이 가능합니다..고급기술이긴한데....
드리프트시 운전자가 컨트롤 하려고 하지마시고 핸들가는데로 차에게 맡기는쪽이 쉽습니다....자신이 컨트롤하려고하면 스핀으로 이어지던지 핸들돌리다가 손가락 부러집니다...드라이빙스쿨에서 드리프트 배우시다가
손가락부러지시는분들 (외국인) 3명 봤습니다...
평소 왼발브레이킹능력을 키우세요 드리프트시 왼발브레이킹이 아주 효율적으로 쓰입니다(오버스피트진입등등)
주차브레이크를 항상 최상의 컨디션으로만들어 주세요..(일본엔 드리프트전용 파킹브레이크슈도 있습니다만)
주차브레이크는 차량이 오버스피드를 저절히 컨트롤하거나 차량의 슬립을 유도하는데 많이 쓰입니다...
물론 하체부품류들이 좀 빨리 손상되는것은 있습니다...엔진의 경우도 본격적으로 하실려면 냉각계통의 보강이 필요합니다... 엔진오일쿨러 필수이며 거기엔 강제로 냉각시킬수있는 냉각휀이 달려있어야 합니다...
원돌이후엔 필수로 한바퀴 휘~~이 돌아주어 냉각시켜줍니다....
P.S 발재간을 좀 부지런히 부리는 수밖에 더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