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지난주 코트에 조금 일찍 도착한 관계로 차안에서 잡지를 보고 있었는데, 신형 S600이 제차 앞에 차를 세우고는 내리더니 차주로 보이는 사람이 건물로 들어가더군요.
물론 차에는 시동이 걸려있었습니다.
여담입니다만 S600이 확실히 맞았다는 것은 배기음으로 알 수 있었습니다. S500과 달리 S600은 약간 고음의 배기음을 가지고 있어 주차장에서 약한 액셀링에도 600임을 알 수 있습니다. 정말 멋진 소리가 아닐수 없지요.
다시 본론으로 와서 저도 차안에 조금 있다가 실내 코트로 들어갔더니 아까 S600에서 내리신 분이 동료들의 테니스 경기를 구경하고 있더군요.
전 솔직히 너무 불안했습니다. 누가 타고가기라도 하면 어쩔라구...
15분 정도 있다가 나가시더군요. 물론 S600은 밖에서 계속 시동이 걸려있었을테구요.
그날 날씨가 야간이었지만 영상 7도 정도였던 것을 감안하더라도 히팅을 위해서 시동을 걸어둘만한 날씨는 결코 아니었습니다.
그러고보면 우리나라 사람들이 너무 공회전에 관대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합니다.
동호회 그룹 드라이브를 가면 후열이라는 핑계로 몇십분씩 공회전을 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고 출발할 때는 예열이라는 명목하에 몇분씩 유독가스를 내뿜는 경우가 유독 한국에 많습니다.
과거 잡지나 신문기사를 보면 겨울에는 수온게이지가 어느정도 움직일 때까지 공회전을 시켜야한다는 글들이 많았습니다.
과거에도 그렇고 요즘에도 말도 안되는 이런 지식전달이 알게모르게 많은 사람들에게 나쁜 습관을 심어주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전 운전을 시작한 이후로 시동을 걸고 서서 공회전을 하지 않습니다.
주차장에서 차를 빼서 아기를 앉히는 그 짧은 순간에도 반드시 시동을 끕니다.
실내주차장에서 시동을 건 직후에 나온 배기가스는 세컨더리 에어펌프가 작동해도 유독합니다.
차의 주변을 지나가는 사람들에게 아주 좋지 않지요.
제가 독일에 있을 때 공회전은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는 것도 그렇지만 아무리 추워도 관광버스들이 서서 공회전을 하고 있는 경우를 볼 수 없습니다.
운전교육을 받을 때 공회전없이 바로 출발하는 것으로 교육을 받으며, 대신 온도가 올라갈 때까지는 서행으로 엔진을 보호하는 운전에 익숙해지는 교육을 받습니다.
작년에 독일에서 Eco training 때문에 전문가들이 두명와서 함께 며칠을 다녔는데, 공회전을 하지 않는 것은 비단 연료를 줄이는데만 도움을 주는 것이 아니다라고 강조했었습니다.
심지어 시동을 걸고 벨트를 매지 말고 벨트를 매고 시동을 걸라고 주문하기까지 했습니다.
이유는 벨트는 매는 그 순간에도 쓸데없는 기름이 낭비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공회전을 할 때 보통 2리터 엔진들은 시간당 1~1.5리터의 연료를 소모합니다.
배기량이 크면클수록 소모량은 늘어납니다.
예전에는 이런 생각을 덜했지만 요즘과 같은 고유가에는 서서 소모하는 기름이 정말 아깝게 느껴집니다.
공회전에 대한 선입견과 잘못된 습관은 빨리 버릴수록 좋다는 생각을 세삼해봅니다.
-testkwon-


수온게이지가 100도 부근에 왔다고 해서 본격적으로 풀가속하는 것은 엔진에 좋지 않습니다. 적정 오일온도 즉 90~100도의 오일온도가 확보된 상태가 엔진이 전부하 운행을 커버할 준비가 된 것이지요.
워밍업이 안된 상태에서 엔진이 무겁고 거칠게 느껴지는 것은 당연한 것입니다. 때문에 이런 거친 상황에서 부하 운행을 자제하는 것이 당연히 필요한 것이지 이렇게 거친 느낌일 때 차를 절대로 움직이지 말라는 것은 아닙니다. \
시동건 직후의 운행은 몇차례 강조했듯이 저회전 저부하 운행을 기본으로 합니다. 깃털 액셀링 이상의 부하를 주지 않지요.
시동을 건 직후에 배기음이 좀 더 크고 회전이 거칠게 느껴지는 것은 세컨더리 에어펌프가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보통 1분에서 1분 30초 정도 작동하는데, 이 펌프가 작동할 때도 차가 움직여도 어디가 망가지거나 하지 않습니다.

저희집 차가 sm7 2.3입니다. 겨울철에 지하주차장에서 시동을 걸면 rpm이 1500까지 올라갔다가 1200정도로 유지됩니다. 5분정도 지나면 1000 이하로 떨어지며 잠시 후 저수온등이 꺼집니다. 열간시 아이들 rpm이 700인데 시동후 700까지 떨어트리려면 굉장한 시간이 걸립니다. 2번의 겨울을 나면서 한번도 예외상황이 없었죠.
보통 공회전으로 1000정도까지 떨어뜨린후 주행을 시작하는데 가끔 그러지 못하고 시동 후 바로 출발할 때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상황이 될때 운전하는 입장에서 굉장히 기분이 더럽하고 해야할까요? 엔진은 1200rpm을 돌려야 하는데 D모드에서는 무조건 700으로 유지하다 보니 덜덜덜 떨림도 크고 엔진의 회전감도 더럽습니다. 중립에서 D로 기어를 넣으면 충격도 상당합니다. 완전히 열이 받은 상태에서 기어를 넣을때만 충격이 거의 없고 열이 덜 받은 상황에서는 강도가 세던 약하던 충격이 더 옵니다. 이런 상황을 몇번 겪다보니 운전자의 입장에서 예열을 안할수가 없더군요.
위의 상황으로 미루어봐 ECU가 아무런 이유 없이 높은 알피엠을 유지한다고 생각되진 않습니다. 이유가 있어서 높은 알피엠을 유지를 하고, 그래서 예열을 통한 안정화가 어느정도 득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뭐가 우선이냐에 따라서 충분이 뒤바뀔수 있지만요.

몇해전 골프장에 간적 있습니다. 풀밭에 나갔으면 좋겠지만 그러진 못하고 시작과 끝의 행사 진행 때문이었는데.... 기사들과 같이 시간을 보냈습니다. 기사 대기실에서 누워 자는 사람, 술마시러 가는 사람 등이 있는데 여름이나 겨울철엔 차에서 '대기' 하는 분이 많더군요.
다른사람과 어울리기 싫거나 대기실 여건이 좋지 않으면 차에서 그냥 대기 하더라구요. 5-6시간을 말이죠. 같이 간 기사분께 들은 얘기. "절대로 기사가 관리한 차량 중고차로 사지마라. 움직인 시간보다 엔진 공회전 시간이 두배는 길다" 였습니다.
그후로 중고매물 볼때마다 생각나더군요
물론 '기사가 관리한 차량' 급을 살 여력은 없습니다. ^^;
그리고 위에 마스터님께서 쓰신 M5와 VR6에서의 경험을 적어주셨는데, 대 배기량일수록 그런 주변환경요건에 둔하다고 표현을 해야할지 모르겠지만, 민감하게 반응할 필요가 없다라고 들은적이 있는것 같습니다...
1500cc와 1000cc 미만들의 차는 실린더 내의 폭발력도 약하고 주변환경에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엔진이 최적의 성능을 낼수 있는 환경을 빨리 구현하기 위해 대부분 초기 시동시 RPM을 띄우도록 맵핑이 되었고, 그렇게 반응하는 차량들이 대부분인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저역시 마스터님이 말씀하신대로 워밍업과 동시에 미션의 위밍업도 시키기 위해서 악셀을 자제하고 클러치만으로 차를 이동시키는데요... 그럴때 간혹 느끼는것은 엔진은 1500 ~2000RPM으로 돌고 싶은데, 그렇게 1단으로 가면 속도가 올라가서 브레이크로 속도를 줄이면서 엔진회전수를 강제로 내리는 상황이 구현이 되고, 이럴때의 운행느낌은... 사실 좀 뛰려고 하는 망아지의 고삐를 억지로 쥐고 있는 느낌으로 갑니다.. 왠만하면 브레이크를 안밟아서 회전수와 속도를 1:1로 맞추면서 워밍업을 하고 싶지만, 그러기엔 주차장에서 속도가 너무 빠른게 문제가 되어서 말이죠.

더 충격적인것은 예열이 차에 별 도움이 안 된다는 것....ㅠㅠ
ㅎㅎ 당장 오늘부터 시정해야 겠네요.
냉각시에 공회전 rpm 을 높이는 이윤 엔진을 빨리돌려 , 냉각수온을 올리고 , 촉매를 활성화 시켜 배기가스를 줄이는데 있는데. 배기량이 작은 차들은 열용량 자체가 작기 때문에 대배기량 차에 비에 공회전 rpm 을 높게 설정시킵니다. 마스타님이 대배기량 차를 타서 별로 엔진 rpm 이 안올라 간것이지요.
쬐만한 엔진들은 빨리빨리돌려 냉각수온을 올려야 하기 때문에 부지런히 일을 해야 하는것이지요.

언제 테드내 테니스벙개라도 함 추진해 볼까요? ㅎㅎ~

기름이 나는 나라도 아닌데... 그렇게 태워버리는 기름이 많이 아깝더군요
독일사람들의 절약정신은 이런때 더 귀감이 되는것같습니다
조인성님은 몇년전인가요.. 압구정-양지 까지 새벽드라이브때 말씀하시는것을 들었는데 역시 에보에 대한 지식이 출중하시더니.. 명확한 수치까지 제공해주시면서 좋을글을 써주신것 같습니다....^^
시동후 3분 전후에 시속100KM이상 주행해야 하는 조건이라...
(이 조건이 비단 저희집만이 아니고...
도심이 아닌 시골 한적한 국도변 집들은 상황이 비슷할듯 합니다.)
겨울철 저배기량 N/A 오토 차량으로는 예열 3분 이상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게다가 저온 시동 직 후 배기음이 커서 민폐 또한 생각해야 할듯 하고요.
2500RPM은 고회전이 아닙니다.
저역시 출발한지 1분도 안되서 80km/h 이상 밟아야하는 곳입니다만...
배기량이 대체 어느정도시길래 언덕길에서 2500RPM이상을 밟아야하죠?
제가 타던 1500cc로는 아무리 급경사라도 2000RPM으로 충분히 견인이
가능했고 80km/h~100km/h의 주행에선 RPM이 3000RPM을 넘지않아서
그냥 규정속도 리미트에 맞춰서 달려도 충분히 예열주행이 가능했습니다.

제 시동습관은, 스타트 모터가 돌기 전 위치로 가서 미션을 N으로 바꿔준 뒤, 시동을 겁니다.
그럼 1500rpm전후에서 아이들이 시작되고, N상태에 있으니 미션오일도 순환한다고 들었습니다.
시간이 넉넉할때는 3분정도(800rpm이하), 급할때는 1천rpm부근까지만 오고 나가는데요, 예열 한것과 안한것과 느낌이 틀립니다.
제 공회전 습관이 차의 성능유지와는 전혀 상관이 없을지는 모르겠지만, 나름대로 "너를 이만큼 아낀다"라는 애정표현으로 지켜줍니다.
예외로, 가끔 대차로 받은 렌터카는 시동 걸자마자 액셀 쎄려밟습니다 ㅡ.ㅡ;;
냉각수 순환보다 오일순환이 속도가 느리기때문에 적정온도까지 냉각수가 올라도 오일은 아직 차가운 경우가 있죠.
그래서 오일온도도 충분히 오를때까지는 차의 반응이 굼뜨게 느껴지거나 할수있습니다.
그런데 주행을 10분정도 해도 느낌이 계속 다른가요? 잘 느껴보시면 10분정도 주행하면 예열(이라는 이름의 환경오염용 공회전)을 한것과 안한것의 주행느낌이 차이가 없을껍니다.
단순히 오일이 덥혀졌느냐 안덥혀졌느냐 차이일뿐 성능의 차이나 엔진컨디션에 차이가 나진 않습니다.
오히려 공회전상태가 엔진에는 별로 안좋은 상태라는것이 일반적이죠......


그로인해 고출력, 고회전 엔진일수록 예열을 하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만,
공회전보단 서행으로 예열하는 것이 차량 정상 컨디션 회복에 더 빠르고 좋은 것 같습니다.

디젤 엔진은 예열 아무리 해도 엔진 온도가 올라가질 않더군요. 달려야 올라가지..
그냥 매뉴얼 대로 따르면 아무 논란의 여지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추운 겨울은 2분정도 워밍업 하라고 나와있지요? 아마?
한여름은 15~30초 정도면 될거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