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안녕하세요.
저의 차량은 13년식 올뉴 SM7 (L47) 3.5 입니다.
13년도 신차 구매후 현재 누적 키로는 7만키로 정도입니다.
차량 베이스가 SM5 (L43) 기반으로 앞뒤 길이만 연장을 한 차량으로 밸런스가 썩 좋지 않다는 차량으로 알고 있습니다.
차량 구매 후 전륜/후륜 허브스페이스를 각각 25미리 30미리 장착하였었는데요,
전륜의 경우는 허브 스페이스 영향인지 디스크로터 열변형 주기가 너무 짧아, 전륜은 현재 탈거 하였구요.
후륜만 30미리 허브스페이스를 장착중입니다.
허브스페이스를 구매한 이유는
순정 휠 옵셋이 너무 좋지 않아 덩치에 비해 바퀴가 안쪽으로 들어간 모양이 싫은 이유도 있었고,
당시 활동중인 sm7 동호회에서 가장 저렴한 방법으로 차량의 밸런스를 잡아 줄 수 있는 방법중 하나이며,
순정을 지향하는 개인성향도 한 몫을 하였습니다.
하지만, 꽤 오랜시간 차량을 운행하면서,
일반적인 시내 주행에서는 큰 불편함이나 불안감은 없지만,
고속도로 또는 시내 고속화 도로에서 운전시 느껴지는 울렁 거림, 불안감은 허브스페이스로 부족하다고 느끼던 차에
이번 기회에 사제휠 교체를 하려고 합니다.
순정 휠은 7.5 +47 18인치이며, 교체하고자 하는 휠 제원은 8.5 +25 18인치 입니다.
순정 휠 대비 교체할 휠의 간섭유무는 캐드로 이리저리 그려보니 허브스페이스를 장착하였을때에도 간섭은 없었기에 문제는 없을거라 판단이 됩니다.
제가 궁금한 것은,
휠 교체 및 타이어 교체로 차량의 울렁거림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지요?
지난 한달여 시간동안 이리저리 공부아닌 공부를 하면서 내린 결론으로
가장 확실한 방법으로는 일체형 서스펜션 교체인 것 같습니다만, 현재로서는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습니다.
차량 동호회 눈팅으로 신형(노바) L47의 경우 서스펜션의 스프링이 구형 L47의 서스펜션 스프링보다,
스프링 웨이트? 탄성계수 값이 낮은 제품으로 변경이 되었는데, 신형 L47 스프링으로 교체하고 나서 승차감이 많이 좋아 졌다고들 하십니다.
탄성계수가 낮은 스프링으로 교체를 하면 차량 승차감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 지도 궁금합니다.
그리고,
순정 디스크 로터의 경우 열변형이 많은 차량에서 나타나곤 합니다.
그래서 이번에 휠 교체를 할때 디스크 로터 교체도 생각 중에 있는데요,
순정 제품이 아닌 애프터마켓 제품으로 알아 보고 있습니다만, 워낙 비인기 차종이라 제품 선택 폭이 넓지 않습니다.
금강이라는 회사와, 상신이라는 회사에서 나오는 제품이 있는데,
로터에 타공이 들어간 제품이 있고, 그렇지 않은 제품이 있습니다.
로터에 타공이 들어간 제품과 그렇지 않은 제품의 장단점이 있는지요?
마지막으로,
웹상에서 동일 차종 차주 한분의 글을 보았는데요,
룩X에서 나온 사이드 보강 언더바? 장착으로 차량 특유의 불안한 승차감을 잡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합니다.
차량 언더바 장착에 따른 장단점과 효과?가 궁금합니다.
본 차량을 지난 근 5년간 운전하면서 느끼던 불편함? 을 해소하고자
예전부터 막연히 이렇게 해보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은 하였는데요,
이번 기회에 어떻게든 해소하고자 지난 한달여간 이곳 저곳보면서 나름대로 공부아닌 공부를 하였지만,
막연히 차량을 운전하고 세차하는데만 신경을 쓰는 일반적인 사람이라,
대뜸 어떻게 하고자 하니 어떤 것을 먼저 해야할지 아직도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먼저 답변 감사드립니다.
휠 옵셋이 너무 빠지는 건지요?
옵셋이 25라도 그전에 달았던 허브에 비교를 하여도 몇mm 지만 덜 나와서 괜찮지 않을까하여 25를 고려중입니다.
처음에는 35로 생각했구요. 휠은 엔케이 정품휠로 순정보다 가벼운 경량휠로 가려고 합니다..
순정패드에서 사제패드로 바꾼 동호회 분들 만족도가 크게 높지가 않아서.
로터 + 패드 + 브레이크 오일 교체를 고려중에 있습니다.
전륜 스페이서는 저도 과했다고 생각하지만, 후륜은 워낙 차가 껑충해서 그런지.
저도 그렇고 다른분들 역시 만족도가 꽤 높은 편입니다.
바디 보강은 휠을 먼저 교체하고 난 뒤 생각해봐야겠네요.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제가보기에는 허브스페이서부터 다 빼고 완전 순정으로 타보시는걸 추천합니다.
애프터마켓 제품으로 차량의 밸런스를 잡는다 라는거부터가 이미 잘못된 접근입니다.
완성차 하나 나오려면 수도없이 많은 테스트를 거칩니다. 완성차 셋팅을 너무 우습게 보는거죠.
애프터마켓 제품은 어느 하나를 포기하면서 다른부분의 능력을 더 올리고싶다 라는 개념으로 접근하시는게 맞습니다.
어쨋든.. 바꾸신다는 휠의 옵셋을 보니 허브스페이서는 더더욱 빼야할꺼 같구요.
그리고 타공디스크는 제동시 소음이 증가하고 분진이 많아질 수 있으니 참고하십시오.
열변형에 더 강한 디스크라는건 타공의 유무보다는 디스크 자체의 열용량이 중요한데.. 순정이나 애프터마켓 제품이나 데이터를 얻기는 쉽지 않을테니 미리 써본 다른 경험자의 이야기를 들어보는게 가장 빠르겠네요.
안녕하세요.
제가 본 차량을 구매하기까지 거의 1년 가량 고려를 했었습니다.
그사이사이 렌트카를 2회, 각 3일, 4일 이렇게 렌트해서 주행을 하고 배기량도 2.5에서 3.5로 변경을 한 것이거든요.
물론, 휠 교체를 하면 허브스페이서는 당연히 탈거 할 예정입니다. 휠 교체에 스페이서를 달면 휀다 밖으로 돌출이 되거든요. ㅎㅎ
타공디스크는 한번 더 고려해봐야겠네요. 현재도 분진이나 쇠가 갈리는 소음이 있는 편인데..
금강이라는 회사에는 타공이 있는 제품, 없는 제품이 있는데.
좀 더 알아봐야겠네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12년식 L47 re35타구 있습니다.
저두 노바 스프링으로 교체해볼까 알아보는데 스프링이 차중량에 따라 8가지가 되는데 도무지 자세한 정보를 알수없어 현재 답보상태입니다.
노바 스프링이 탄성계수가 낮다면 승차감이 스프트해진다는건가요?
그리고 저두 고속에서 브레이킹시 핸들떨림이 있어 디스크로터교환을 해보려하지만 얼마안가 또 변형이 온다고 그냥 타라는 얘기를 들어서 이거역시 답보 상태입니다.
답변이 아니라 질문까지 드려 죄송합니다 ㅡㅡ!
안녕하세요.
동일 차종에 동일한 고민을 가지고 계신분을 만나서 괜히 반갑네요. ㅎㅎㅎ
일단 제가 알아본 내용은.
노바로 변경되면서 서스펜션의 부품중에서 스프링만 변경이 되었다고 들었습니다.
본 내용은 네이버의 카페에 한분이 글을 올리셨더라구요.
또 어떤 분은 L43용 스프링과 호환이 되어 교체를 하면 승차감 개선 및 스프링 길이가 짧아 자세도 좋아 진다? 그런 내용도 있구요.
그래서 현재는 휠 교체를 결정하였기에. 스프링쪽은 내용을 좀 더 수집하고, 휠 교체후 상황을 지켜보려고 합니다.
저도 스프링의 탄성 계수와 승차감 관계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하여 구글링을 하면 내용이 있을 듯 합니다만,
현재 중국 출장 중이라 구글 접속이 안되어 쫌 답답하네요.
브레이킹시 핸들 떨림은 본 차량의 고질병인 것 같습니다. 이것에 대해서도 제가 알고 있는 내용은 사제 로터 변경시 열 변형이 좀 덜오며, 많은 분들이 상신 타공 디스크에 하드론 패드? 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인데요.
저는 일단 먼저 금강의 타공이 없는 로터로 변경을 할까하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TRW제 패드인데 분진이 좀 있고 이것도 국산으로 바뀌긴 했지만
아직 초기제품 패드 있을수 있구요
디스크는 타공 보다는 순정형이 괜찮고
금강제품 꽤 쓸만합니다
서스펜션은 스프링보다 쇽업쇼바 감쇄력 높은제품이 승차감 개선에 좋은데 제품이 없다는것이 문제인데
일체형은 부담이 될듯하고 정않되면 동명가셔서 개조
쇽업쇼바 주문하셔서 장착이 조금 좋을듯 하구요
휠은 18인치 기준 8J에 옵셋38 정도면 얌전하게 모양 나올듯 합니다
타공디스크는 패드와 디스크사이에 이물질을 뱉어준다는 의미로 뚫은 걸로 아는데.. 하나도 효과 없는것 같습니다 이물질이 들어가있다고 브레이크가 안잡히는것도 아니고요.. 정작 이물질이 빠지는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냥 세차하기전에 식을때까지 기다려야돼서 불편합니다..
브레이크는 순정 패드 쓰시나요? 르노삼성 순정패드가 별로 안 좋습니다. 순정로터에 애프터마켓 패드 사용하면 열 변형도 잘 안 오고 성능 괜찮습니다. 애프터마켓 패드부터 찾아보시는 게 좋을 거예요.
그리고 장착하셨던 허브스페이서는 너무 과했습니다. 승차감에 악영향 줄 가능성이 아주 높습니다. 우선은 스페이서 빼고 순정 상태 순정휠로 주행해보신 후, 나머지들은 추후에 판단하시는 편이 좋을 것 같습니다. 바디보강도 타시는 차종은 그다지 필요하지 않은 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