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차를 운전할 때 부터 궁금했던 것인데, 이제야 용기를 내 물어봅니다.
신호등 앞에서 신호대기나 기타의 이유로 브레이크를 밟을 때,
저는 보통 브레이크를 먼저 밟고, 거의 정지할 때 클러치를 밟아 기어를 빼서 정지합니다.
그런데 아마 클러치를 먼저 밟아 기어를 빼 놓은 다음에 브레이크로 정지하시는 분도 계실껍니다.
어떤 운전 방법이 정석일까요?
차량 부품의 마모나(클러치, 브레이크)) 아니면 제동력등에 상관이 있을까요?
아니면 상관없는 그냥 습관일까요?
신호등 앞에서 신호대기나 기타의 이유로 브레이크를 밟을 때,
저는 보통 브레이크를 먼저 밟고, 거의 정지할 때 클러치를 밟아 기어를 빼서 정지합니다.
그런데 아마 클러치를 먼저 밟아 기어를 빼 놓은 다음에 브레이크로 정지하시는 분도 계실껍니다.
어떤 운전 방법이 정석일까요?
차량 부품의 마모나(클러치, 브레이크)) 아니면 제동력등에 상관이 있을까요?
아니면 상관없는 그냥 습관일까요?
2009.02.16 22:44:58 (*.113.39.253)

브레이크를 밟고 정지하기 전에 클러치밟고 기어 빼시는것이 엔진브레이크를 더 이용할수 있고 fuel cut을 이용함으로써 연료 절감효과도 있겠죠.
2009.02.17 00:03:49 (*.111.226.241)
바퀴가 잠길정도로 급제동을 해야한다면...동시에 밟아서 동력전달을 끊어야 혹시 시동꺼져서 제동력이 불충분하게 발휘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지 않을까요?
평상시에는 분당회전수가 천정도로 떨어질때까지 브레이크만 밟습니다.
클러치 먼저 밟으면 수동의 매력인 높은 제동력을 못느끼죠..^^
평상시에는 분당회전수가 천정도로 떨어질때까지 브레이크만 밟습니다.
클러치 먼저 밟으면 수동의 매력인 높은 제동력을 못느끼죠..^^
2009.02.17 00:29:40 (*.184.41.185)

ABS가 있는 경우라면 시동이 꺼질 일은 거의 없을껍니다. 시동이 꺼지는 경우라면 바퀴가 잠기게 되고 따라서 시동이 꺼지겠지만 ABS가 있는 경우라면 바퀴가 락이 되는건 순간이고 그 뒤론 계속 굴러가도록 조절되니까요.
오래전에 유튜브 영상을 링크한 적이 있는데... ^^ 클러치를 언제 끊냐에 따라 제동력이 상당히 차이나는 걸 볼 수 있었지요.
오래전에 유튜브 영상을 링크한 적이 있는데... ^^ 클러치를 언제 끊냐에 따라 제동력이 상당히 차이나는 걸 볼 수 있었지요.
2009.02.17 00:51:41 (*.246.137.113)

ABS 가 작동하는한 주영님 말씀대로 시동 꺼질일은 없습니다. 다만, 기어단수가 높을시엔 바퀴가 잠겼다 풀렸다 하기를 반복하면서 엔진이 죽다 살다를 반복하는 거의 스톨 직전의 느낌을 무수히 느끼실겁니다^^
그리고 개인적인 질문이지만, 가끔 감속중 클러치를 밟아도 연비게이지는 연료를 소모하지 않는것으로 나올때가 있습니다. 원래 클러치를 밟으면 동력전달을 끊어버리므로 엔진이 스톨되지 않게 기름이 다시 분사되어야 하는 것 아니었나요? 혹시 이유를 아시는분이 있다면.. ^^
그리고 개인적인 질문이지만, 가끔 감속중 클러치를 밟아도 연비게이지는 연료를 소모하지 않는것으로 나올때가 있습니다. 원래 클러치를 밟으면 동력전달을 끊어버리므로 엔진이 스톨되지 않게 기름이 다시 분사되어야 하는 것 아니었나요? 혹시 이유를 아시는분이 있다면.. ^^
2009.02.17 10:41:02 (*.114.22.78)

저도 보통 브레이크를 먼저 밟고 클러치를 밟아 기어를 뺍니다.
평상시 연비주행때 5단 혹은 4단으로 주행중이었는데 빨간불이 들어왔다 치면 저단으로 내리지 않고 그냥 기어 물려있는 상태로 브레이크를 밟아 RPM이 1000가까이 떨어질때쯤 기어를 빼줍니다. 거의 이렇죠 공도주행은요.ㅋ
간혹 공도에서 달리기 모드일때에는, 급하게 정지해야 될 필요가 있을때 힐앤토 쓰면서
3단 ㅡ> 2단정도로 내리면서 멈춥니다.
제동거리에 여유가 있을 정도면 그냥 RPM만 보정해주고 한단 내린 후 브레이크를 밟아 속도를 줄입니다.
평상시 연비주행때 5단 혹은 4단으로 주행중이었는데 빨간불이 들어왔다 치면 저단으로 내리지 않고 그냥 기어 물려있는 상태로 브레이크를 밟아 RPM이 1000가까이 떨어질때쯤 기어를 빼줍니다. 거의 이렇죠 공도주행은요.ㅋ
간혹 공도에서 달리기 모드일때에는, 급하게 정지해야 될 필요가 있을때 힐앤토 쓰면서
3단 ㅡ> 2단정도로 내리면서 멈춥니다.
제동거리에 여유가 있을 정도면 그냥 RPM만 보정해주고 한단 내린 후 브레이크를 밟아 속도를 줄입니다.
2009.02.17 11:07:46 (*.32.126.154)

기어비가 상대적으로 짧은차량들은 현재 속도로 충분히 정지선까지 갈수있다면 정지직전에 동력을 끊구요.. 좀 애매하거나 엔진브레이크가 너무 걸릴듯하면 좀 미리 동력을 끊어주게됩니다.. 아니면 막판에 또 다시 엑셀링을 하게 되거나 차가 울컥하거나 하거든요..
2009.02.17 11:08:19 (*.134.203.61)

엔진브레이크를 최대한 이용하기 위해 브레이크만 밟고 연료재분사가 일어나는 시점(대략 1300rpm전후) 에서
클러치를 밟습니다. 이 밑까지 브레이크만 밟으면 연료가 재분사되면서 울컥하는 느낌이 들기때문에 그직전에서
클러치로 끊습니다. 전후상황을 살필수 없을정도로 아주 긴박한 급브레이크시에도 브레이크만 밟습니다.
시동꺼져도 다시 걸면 되니까
클러치를 밟습니다. 이 밑까지 브레이크만 밟으면 연료가 재분사되면서 울컥하는 느낌이 들기때문에 그직전에서
클러치로 끊습니다. 전후상황을 살필수 없을정도로 아주 긴박한 급브레이크시에도 브레이크만 밟습니다.
시동꺼져도 다시 걸면 되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