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대도시와 고속도로 위주가 아닌 국도와 지방도 위주로 주행하다보면 과속방지턱을 쉽게 마주치게 된다.
과속방지턱을 좋아해본적은 없지만 그 정당성에 대해 생각해본건 최근의 일이다. 도로에 과속방지턱이 꼭 필요한가? 나의 경우 그 대답은 -조건부 아니오-에 가깝다. 몇몇 서구 선진국에서 지내거나 거주하며 운전했지만 그 곳에서 과속방지턱을 만난것은 몇번되지 않는다. 아파트 단지 등 주거지에서 매우 드물게 만난 기억이 있을 뿐이다. 물론 위 국가들과 한국은 차이가 있다. 그 차이로는 도로설계의 안전도, 준법정신, 그리고 합리적인 규칙/법 등이 떠오르는데 우선 도로가 위험하게 설계된 곳은 설계한 주체 또는 그 설계를 승인한 곳의 잘못이 있다고 보며 과속방지턱같은 물리적인 구조물 설치보다는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도록 도로구조의 수정이 되면 더 좋을 것이다. 적어도 앞으로 만드는 도로는 꼭 전문가를 통해 도로 설계의 기본을 지키고 경제성, 기타이권등과 타협하여 안전을 희생하는 일 없이 설계, 시공하기를 바란다.
위에 언급한 선진국의 준법정신, 합리적인 규칙은 다른 글에서 얘기하고자 한다.
과속방지턱은 아이러니 하다. 어떻게 그런 구조물을 60, 80제한속도 도로에 설치하는 것이 애초에 합법일 수 있는지 의문이다. 약간 호들갑 스럽게 강조한다면(^^) 위헌이 되야 하는 것 아닐까?
제한속도가 주어졌으면 제한 속도를 넘지 않을 때 도로구조나 관리 상태로 인해 개별 차량이 피해를 보지 않아야 합당할 것이다. 국내에서 운행하도록 허가되었고, 자동차 검사 통과를 포함 잘 관리된 차량의 경우라면 말이다.
하지만 한적한 국도 지방도 등에서 마구잡이로 설치된 과속방지턱들을 만날 때 차량과 승객들에게는 불쾌한 충격 혹은 그 이상의 피해를 줄 수 있다. 야간 혹은 악천후 운전을 고려한다면 더욱 그렇다.
과속방지턱의 모양도 규격이 없는 것인지 규격을 지키지 않는 것인지 일정하지가 않다. 그 길이와 높이, 곡선이 달라서 어떤것은 부드럽게 넘을 수 있고 어떤것은 갖다 때리는 충격을 받는다. 가짜마킹과 진짜, 높은 것과 낮은 것이 멋대로 나타난다. 익숙한 길이 아니라면 그것들의 적정 통과속도를 미리 판단하기 어렵다.
좀 더 편안하게 달리고 싶다. 차도 아끼고 싶고 나도 동승자도 더 편하면 좋겠다. 물론 과속차량에 위협을 받는 다른 운전자와 마을 주민들도 안전할 권리가 있다. 좋은 방법이 있을까?

다만 바쁘단 이유로 귀찮단 이유로 나한명쯤이야란 이유로 지켜지지 않을뿐이죠.
그래서 꼭 감속해야하는 자리거나 과속으로 인한 사고가 많이나는 자리에는 과속 방지턱이 만들어지나봅니다.

안전속도를 안지키는 무심한 사람들(둔감한 사람들?) 30% 때문에 법을 지키며 안전운전하는
70%가 많은 불편을 겪으며 운전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제 지인들도 보면 본인은 안전거리를 지키며 다닌다고 말을 하던데 제가 가끔 같이 타보면 전혀
지키질 않습니다...
주택가 이면도로에서도 30 40 밟아 제끼면서 본인 생각은 안전하게 조심하면서 운전한다고
생각하더군요...ㅋ
고속도로도 안전거리 100m를 지키며 달리는 사람은 10%정도에 불과 합니다.
안전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을 가르쳐주지도 않죠....우리나라 운전면허 시험은....
(미국은 3second rule 이라고 가르치죠....저도 미국서 면허 딸 때 배웠고 지금은 제 나름 터득한 방법 ==>
앞 차 번호판 글자가 식별이 안될 정도로 거리를 둠)
아마 우리 회원님들도 통계를 내보면 제가 말한 것과 비슷 할 겁니다^^
고속도로에서 안전거리 지키며 달리시는 분 ~~~~~??
댓글 달아보세용
얘기치 않은 뜬금없는 과속방지턱을 피하지 못해 차대 변형이 발생되어
중고 매각시까지 맛이 간 차를 얼라인먼트만 맞추어서 위험하게 타고 다녔던 적 있습니다.
과도한 과속방지턱은 변명의 여지 없이 살인미수 입니다. 운전자 뿐만 아니라 보행자까지요.
과속방지턱 있다고 속력을 줄여서 사고가 안 날 것 같으면, 과속방지턱 때문에 점프한 차에
보행자가 머리를 치어 깔리는 일은 없었어야지요.
과속방지턱은 과속을 억제하는게 주 목적인데, 주객이 전도되어 과속차량을 황천길 보내려는
과격한 과속방지턱이 아직까지도 너무 많습니다. 철저히 잡아내야 합니다. 보행자도 같이 죽어요.
특히 지방 농촌 지역 쪽에 그런 살인턱이 부지기수 입니다. 칠도 안 되어 있으니 밤에는 못 보죠.
20km/h 정도만 초과한 상태로 넘어도 아예 쇽이 풀스토록 되면서 쇽과 로워암, 휠, 쇽타워가 작살나며
차가 제대로 제어가 안 되는 말도 안 되는 턱들은 인명을 위한게 아니라 복수를 위한 것처럼 보입니다.
최소한의 경고 표지판조차도 없으니까요.
필요악이라 생각되는 부분입니다.
캐나다에서 운전할 때 일시 정지를 지키는 것을 습관들이는데 무척 많이 애를 먹었습니다.
반대로 한국에 돌아와서는 일시 정지를 해야 하는 장소에서 일시 정지를 할 때 후행 차량의 놀람과 화남이 느껴져서 한동안 곤욕을 치뤘습니다.
일시정지나 서행을 해야 하는 곳에서 과속 방지턱을 두면 암묵적으로 후행 차량에게 과속방지턱 때문이라고 알려주는 역할이 됩니다.
물론 국도나 지방도에서도 분명 골목길과 연결이 되어 사람이나 농기계가 나올지 모르는 위치임에도 합류를 위한 갓길이나 안전장치가 없고 운전자들 또한 속도를 줄이면서 보행자 여부를 파악하지 않으니 결국 과속방지턱이라는 물리적인 방해물을 예산을 들여 설치하는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저 또한 과속방지턱이 싫지만 최소한 표지판을 읽고 표지판의 지시를 따르는 운전 문화가 형성될 때까지는 필요악으로 존재할 것 같습니다. 다만 말씀하신대로 그 규격정도는 좀 정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