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FD를 입양후 타면서 간단하게 느낀점을 써볼까합니다.^^;
첫째로 새시강성이 상당히 좋습니다. 동급 최강이라고 불리울만하네요
단단하면서도 든든한 느낌이 듭니다. 실제 사고나서 박살나도 새시는 멀쩡하다고 하네요 ㅡ,ㅡ;;
또 GT가 아닌 진지한 퓨어스포츠카 답게. 경량 코너링머신답게 핸들링이 매우 민감하고 민첩합니다.
상당히 민감하더라구요 노면을 상당히 많이 탑니다^^; 대신 정보는 많이주네요. 유격도 거의 없구요
편안히 그냥저냥 잡고있거나 한손으로 잡고있을경우 불규칙 노면에서 멋대로 돌아가면서 털리더군요ㄷㄷ
급격한 코너링은 더욱 칼날같겠지만 차선을 바꿀때만 해도 살짝만 틀어도 이미 그곳에 가있습니다.ㅎㅎ
놀랐네요 상당히 빠릿빠릿한 반응에... 과장하면 순간이동하는 느낌이랄까요 샤샥샤샥;;
확실히 아무나 아무렇게 편하게 몰수있는차는 아닌거같습니다 ㅡ,ㅡ;
연비는 어떤주행이든 평균적으로 7은 나옵니다
Rx7의 연비가 2km 다 등등.. 이와같이 Rx7에 대해 안좋은 "루머"가 너무나 많은현실이 안타깝습니다 ㅠ,ㅠ
터보는 순정은 트윈 시퀀셜 터보라 2000rpm 넘기면서 첫번째 터빈이 밀어주기 시작합니다 상당히 빨리터지고
렉도 없어서.. 매우 상쾌한 드라이빙이 가능합니다^^ 두번째 터빈은 4500rpm~5000rpm쯤에서 가동,
한번더 FD를 쫘악~ 밀어줍니다^^
로터리엔진 하면.. 로터리사운드를 빼놓을수 없는데요.
로터리의 특유의 고우면서도 매끄러운 고음사운드가 귀를 즐겁게 해주네요 ㅠ,ㅠ
엔진느낌은 마치 전기모터처럼 상당히 곱고 일정하고 매끄럽고 민첩하게 반응합니다.
이런 로터리엔진이 가져다 주는 물리적 장점은 위치가 맨아래쪽에 있어서 저중심과 소형화를 이뤘구요^^
머신의 경량화 운동성능의 향상에도 큰기여를 했습니다..
달리기분야 , 드라이빙 하나만큼은 많은 즐거움을 주고 푹~ 빠지게 해줍니다 ㅠ,ㅠ
차도 상당히 낮고 납작해서 시트포지션 역시 낮고 느낌좋게 잘나옵니다
또다른 매력은 팝업라이트 작동속도가 빠릅니다. 팝업중에서도 빠르다하네요
하이빔키면 빼꼼히 나와서 깜빡이고 다시 쏙들어가는게 넘 귀엽습니다.ㅎㅎ
분명 관리가 까다롭지만 여느 터보차정도의 관리만큼 신경써주면 기본적으로는 되는지라
골수매니아의 열정이라면 감당해낼수있을꺼같습니다. 잘보살펴주려구요^^
사진은 앨범란에 올려놨습니다. ^^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첫째로 새시강성이 상당히 좋습니다. 동급 최강이라고 불리울만하네요
단단하면서도 든든한 느낌이 듭니다. 실제 사고나서 박살나도 새시는 멀쩡하다고 하네요 ㅡ,ㅡ;;
또 GT가 아닌 진지한 퓨어스포츠카 답게. 경량 코너링머신답게 핸들링이 매우 민감하고 민첩합니다.
상당히 민감하더라구요 노면을 상당히 많이 탑니다^^; 대신 정보는 많이주네요. 유격도 거의 없구요
편안히 그냥저냥 잡고있거나 한손으로 잡고있을경우 불규칙 노면에서 멋대로 돌아가면서 털리더군요ㄷㄷ
급격한 코너링은 더욱 칼날같겠지만 차선을 바꿀때만 해도 살짝만 틀어도 이미 그곳에 가있습니다.ㅎㅎ
놀랐네요 상당히 빠릿빠릿한 반응에... 과장하면 순간이동하는 느낌이랄까요 샤샥샤샥;;
확실히 아무나 아무렇게 편하게 몰수있는차는 아닌거같습니다 ㅡ,ㅡ;
연비는 어떤주행이든 평균적으로 7은 나옵니다
Rx7의 연비가 2km 다 등등.. 이와같이 Rx7에 대해 안좋은 "루머"가 너무나 많은현실이 안타깝습니다 ㅠ,ㅠ
터보는 순정은 트윈 시퀀셜 터보라 2000rpm 넘기면서 첫번째 터빈이 밀어주기 시작합니다 상당히 빨리터지고
렉도 없어서.. 매우 상쾌한 드라이빙이 가능합니다^^ 두번째 터빈은 4500rpm~5000rpm쯤에서 가동,
한번더 FD를 쫘악~ 밀어줍니다^^
로터리엔진 하면.. 로터리사운드를 빼놓을수 없는데요.
로터리의 특유의 고우면서도 매끄러운 고음사운드가 귀를 즐겁게 해주네요 ㅠ,ㅠ
엔진느낌은 마치 전기모터처럼 상당히 곱고 일정하고 매끄럽고 민첩하게 반응합니다.
이런 로터리엔진이 가져다 주는 물리적 장점은 위치가 맨아래쪽에 있어서 저중심과 소형화를 이뤘구요^^
머신의 경량화 운동성능의 향상에도 큰기여를 했습니다..
달리기분야 , 드라이빙 하나만큼은 많은 즐거움을 주고 푹~ 빠지게 해줍니다 ㅠ,ㅠ
차도 상당히 낮고 납작해서 시트포지션 역시 낮고 느낌좋게 잘나옵니다
또다른 매력은 팝업라이트 작동속도가 빠릅니다. 팝업중에서도 빠르다하네요
하이빔키면 빼꼼히 나와서 깜빡이고 다시 쏙들어가는게 넘 귀엽습니다.ㅎㅎ
분명 관리가 까다롭지만 여느 터보차정도의 관리만큼 신경써주면 기본적으로는 되는지라
골수매니아의 열정이라면 감당해낼수있을꺼같습니다. 잘보살펴주려구요^^
사진은 앨범란에 올려놨습니다. ^^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2009.02.23 08:47:16 (*.145.162.179)

운전하기 너무 까다롭다는 평에 FD의 개발담당자가 RX-7은 동네시장에 장보러 갈 때 타는 차가 아니다 라고 응수했다던 이야기가 생각납니다. 멋진 차 부럽습니다! 하악하악...
2009.02.23 09:56:45 (*.174.108.33)

엔진 상태 좋은 놈으로 입양하셨나봐요..^^;;
예전에 리빌트 안된 차로 시내주행하니 게이지 떨어지는게 눈에 보여서 ㄷㄷㄷ
예전에 리빌트 안된 차로 시내주행하니 게이지 떨어지는게 눈에 보여서 ㄷㄷㄷ
2009.02.23 10:18:40 (*.253.219.194)

아...연비얘기는 대부분 안타본 분들의 이야기였나보군요...
참 매력있는(이론적으로) 차종인데...
실차는 한번 보는것도 못해봤습니다...
부럽습니다...
참 매력있는(이론적으로) 차종인데...
실차는 한번 보는것도 못해봤습니다...
부럽습니다...
2009.02.23 12:32:40 (*.129.51.153)

저는 조수석이랑 뒷자석에 함 타보고선 너무나 힘들었었던 기억이 있네요..ㅋㅋㅋㅋ
생긴건 너무나 이뻤었는데...^0^
차 관리 잘하셔서 오래오래 트러블없이 잘 타셨음 좋겠네요~~
생긴건 너무나 이뻤었는데...^0^
차 관리 잘하셔서 오래오래 트러블없이 잘 타셨음 좋겠네요~~
2009.02.23 13:28:06 (*.117.99.154)
음 FD3s의 섀시강성은 오히려 약한편이라고 하던데 사람들마다 말이 틀리니 재미있습니다.
특히나 1년이 지날때마다 츠쿠바 랩타임이 1초씩 미뤄진다고 하더군요...ㅋㅋ
특히나 1년이 지날때마다 츠쿠바 랩타임이 1초씩 미뤄진다고 하더군요...ㅋㅋ
2009.02.23 19:06:48 (*.162.3.160)

10년이 넘은 차량에 요즘의 스포츠카의 강성을 비교한다면 안돼겠지만
제가 타본바로는 요즘의 차량에 롤바 설치한것보다 가벼운 차체가 주는 세븐의 강성이 더 우선시 된다고 봅니다
혹자의 오래된 세븐들(90년대 초기 모델)의 하체 부싱류 때문에 새시강성이 떨어진다고 느낄수도 있을껍니다
하지만 부싱류의 교체가 되어있는 차량들이라면 절대 강성이 떨어지진 않는다고 봅니다
세븐 오너가 되어 타봐야 가벼운 차체가 주는 강성을 느낄수 있다고 봅니다...
그리고 어떤차든지 년식이 지나면 강성이 떨어져 랩타임에 영향을 주겠죠
제가 타본바로는 요즘의 차량에 롤바 설치한것보다 가벼운 차체가 주는 세븐의 강성이 더 우선시 된다고 봅니다
혹자의 오래된 세븐들(90년대 초기 모델)의 하체 부싱류 때문에 새시강성이 떨어진다고 느낄수도 있을껍니다
하지만 부싱류의 교체가 되어있는 차량들이라면 절대 강성이 떨어지진 않는다고 봅니다
세븐 오너가 되어 타봐야 가벼운 차체가 주는 강성을 느낄수 있다고 봅니다...
그리고 어떤차든지 년식이 지나면 강성이 떨어져 랩타임에 영향을 주겠죠
2009.02.23 21:51:45 (*.250.8.59)

순정 상태로 부족한 강성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 차를 순정으로 타는 사람이 너무 너무 적은지라..
코일오버 서스펜션에 오버사이즈 휠/타이어에 부스트업하면 섀시의 내구성이 '짧고 굵게 산다더라.." 라고들 하죠. 실제 그렇게 해놓은 차를 타보았을 때에는 '로터리의 사운드' 는 안드로메다 저편으로 가버리고 거칠고 몇 기통인지 관심없는 몬스터 비명소리같은 흡기인지 배기인지 구분도 안가는 사운드에 바운싱된 바퀴는 무겁게 차체를 밀어붙이고 차체가 바퀴를 컨트롤 하는 것이 아니라 바퀴에 차체가 붙어서 우악스럽게 가는구나.. 하는 생각을 했던 기억이 납니다.
그래서 '뚱땡이 GT' 라고 불리우는 수프라가 '공연히 무거운 건 아니더라..' 라는 말도 있죠. 뭘 어케 하던 10여년을 써도 엔진을 어떻게 출력을 올려도 그냥 '뭐 했냐..' 하는 분위기라고. 역시 도요타 다운 차만들기..
코일오버 서스펜션에 오버사이즈 휠/타이어에 부스트업하면 섀시의 내구성이 '짧고 굵게 산다더라.." 라고들 하죠. 실제 그렇게 해놓은 차를 타보았을 때에는 '로터리의 사운드' 는 안드로메다 저편으로 가버리고 거칠고 몇 기통인지 관심없는 몬스터 비명소리같은 흡기인지 배기인지 구분도 안가는 사운드에 바운싱된 바퀴는 무겁게 차체를 밀어붙이고 차체가 바퀴를 컨트롤 하는 것이 아니라 바퀴에 차체가 붙어서 우악스럽게 가는구나.. 하는 생각을 했던 기억이 납니다.
그래서 '뚱땡이 GT' 라고 불리우는 수프라가 '공연히 무거운 건 아니더라..' 라는 말도 있죠. 뭘 어케 하던 10여년을 써도 엔진을 어떻게 출력을 올려도 그냥 '뭐 했냐..' 하는 분위기라고. 역시 도요타 다운 차만들기..
2009.02.24 08:51:58 (*.36.230.141)

한 2년간 타고 다녔었는데 프론트의 회두성은 단연 최고입니다. 제 차는 서스만 테인이 되어 있었는데 스티어링을 조작하면 눈꼽만큼의 딜레이도 없이 프론트가 같이 돌기 시작합니다. 정말 색다른 경험이었죠. 코너링 도중의 거동도 (박스터같은 미드십과 비교할 바는 아니었지만) 매우 안정적이구요. KW 끼운 지금의 350z와 비교해보면 핸들링에서 두 수 정도는 FD가 우위라고 주장하고 싶습니다.
세븐의 연비는 압축비에 따른 편차가 레시프로 차량들보다 훨씬 크다는 점이 크리티컬하게 작용하는 듯 합니다. 제 FD의 경우 압축비 8대 유지하는 상황에서 시내 출퇴근 5.5 나왔습니다. 흡배기, 포팅까지 되어 있었구요. 같은 조건에서 배기와 매핑 되어 있는 350z가 6키로 정도 나오고 있습니다. 그런데 FD의 경우 압축이 7 밑으로 떨어지면 평균 연비가 4 정도로 나빠진다는 증언이 많습니다. 그렇다고 2,3까지는 말도 안되지만...예전에 500마력 세븐이 한 대 들어온 적이 있었는데 그 차로 시내주행하면 그 정도 나올지도 모르겠네요.
아무래도 엔진 내구성이 취약하고 국내에 손쉽게 볼 수 있는 샵이 별로 없다는 것이 가장 약점이고 그 외에는 정말 모두 다 마음에 들던 차였는데 타면 탈수록 특히 실내공간이 마음에 들었습니다. 인테리어 전체가 모두 버킷이이라는 느낌이고 드라이빙을 위한 가장 완벽한 디멘전을 갖고 있습니다.(종아리 지지해 주는 패드도 감동이죠) 이런 부분에서는 포르쉐도 좀 휑해서 많이 아쉽고, 이와 아직 비슷한 수준에 이른 차 조차도 아직 없는 것 같습니다.
차기 RX-7이 후라이 컨셉의 익스테리어를 계승하면서 핸들링이나 인테리어 공간같은 FD의 장점을 그대로 계승해 준다면 구매1순위입니다.
세븐의 연비는 압축비에 따른 편차가 레시프로 차량들보다 훨씬 크다는 점이 크리티컬하게 작용하는 듯 합니다. 제 FD의 경우 압축비 8대 유지하는 상황에서 시내 출퇴근 5.5 나왔습니다. 흡배기, 포팅까지 되어 있었구요. 같은 조건에서 배기와 매핑 되어 있는 350z가 6키로 정도 나오고 있습니다. 그런데 FD의 경우 압축이 7 밑으로 떨어지면 평균 연비가 4 정도로 나빠진다는 증언이 많습니다. 그렇다고 2,3까지는 말도 안되지만...예전에 500마력 세븐이 한 대 들어온 적이 있었는데 그 차로 시내주행하면 그 정도 나올지도 모르겠네요.
아무래도 엔진 내구성이 취약하고 국내에 손쉽게 볼 수 있는 샵이 별로 없다는 것이 가장 약점이고 그 외에는 정말 모두 다 마음에 들던 차였는데 타면 탈수록 특히 실내공간이 마음에 들었습니다. 인테리어 전체가 모두 버킷이이라는 느낌이고 드라이빙을 위한 가장 완벽한 디멘전을 갖고 있습니다.(종아리 지지해 주는 패드도 감동이죠) 이런 부분에서는 포르쉐도 좀 휑해서 많이 아쉽고, 이와 아직 비슷한 수준에 이른 차 조차도 아직 없는 것 같습니다.
차기 RX-7이 후라이 컨셉의 익스테리어를 계승하면서 핸들링이나 인테리어 공간같은 FD의 장점을 그대로 계승해 준다면 구매1순위입니다.
2009.02.25 09:53:00 (*.228.225.98)
운전하기 정말 재밌는차죠. 저는 시내반 고속도로반해서 항상 5에서 5.5정도 나왔는데 (캐딜락 Escalade랑 흡사한 연비 -_-) 고속도로에서만 평균 75-80mph로 장거리 뛰었을때 8.5 (20mpg)까지 나온적도 있습니다.
2009.02.25 09:59:18 (*.106.205.139)

20대 떄 rx-7 2대를 구입 , 총 엔진 리빌트만 2번 (첫차는 아펙스 씰이 부러져서 , 두번째차는 부스트를 너무 써서 )
리빌트도 유명한 해외 로터리 샾에서 했지만.. 연비는 리빌트전 3~4 km/l 리빌트후 5km/l 였네요....
ㅠㅠ 에코드라이빙좀 배워야 겠습니다 ;;
리빌트도 유명한 해외 로터리 샾에서 했지만.. 연비는 리빌트전 3~4 km/l 리빌트후 5km/l 였네요....
ㅠㅠ 에코드라이빙좀 배워야 겠습니다 ;;
2009.02.25 10:12:54 (*.228.225.98)
저도 추운 겨울날에 엔진블로우 경험해봤는데 집에서 0.5마일정도 떨어진곳에서 집까지 운전해왔습니다.(파워는 없고 차는 ㄷㄷㄷ 엄청 흔들리고) 콤프레션 테스트해보니 한쪽에 0이 나와서 엔진 뜯어보니 알루미늄 로터하우징 둘중 하나는 아펙스씰로 스크래치되있었고 하나는 멀쩡해서보여서 팔았고요. 리빌트를 또 하게될까봐 두려워서 아예 엔진 자체를 8기통으로 바꿨습니다:
http://www.supraforums.com/forum/showthread.php?t=389984
http://www.supraforums.com/forum/showthread.php?t=3899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