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ad Impression


























제네시스 쿠페 3.8의 튜닝버젼을 또다시 시승했다.
지난번에 영모터스에서 튜닝한 차종과 다른 차종으로 익스테리어와 인테리어에 영모터스 특유의 디자인이 가미된 것 이외에도 몇가지 변화가 있었다.
제네시스 쿠페를 타면 탈수록 참 괜찮은 차라는 생각에 흔들림이 없어진다.
야유를 보내는 평론가들도 많지만 이정도 수준의 차를 그리 함부로 말할 정도의 자신감으로 그들이 평가하는 아우디나 BMW 그리고 벤츠에 대한 평가는 그저 막연하고 전혀 구체적이지 못한 경우가 많아 어쩜 그렇게 젠쿱을 적나라하게 비하하는지 이해하기 힘들때가 많다.
3.8 수동만 제대로 4번을 타보았기 때문에 이번 시승은 그리 과감한 주행이나 고속주행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2.2살난 딸아이와 어머니를 뒷자리에 모시고 장도 보러도 가보고 그런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2박 3일 동안 즐겨보았다.
튀는 익스테리어의 노란색 컬러는 영모터스의 트레이드 마크이고, 이제는 제법 알려진데다가 그냥 무작정 노란색으로 칠한 것이 아니라 하이라이트를 줄 수 있는 부분을 제대로 선별해서 작업했다는 센스를 높이 사고 싶다.
실내외의 도장뿐 아니라 도어 내부의 알칸타라를 시작으로 스티어링 휠과 센터콘솔등 작업의 완성도나 알칸타라의 재질이 아주 고급스럽고 자연스러웠다.
입자가 굵은 알칸타라는 순정과 같은 느낌을 주지 못하고 거친 느낌이지만 부드럽게 고운 알칸타라는 촉감도 좋고 고급스러워보이는 특징이 있다.
영코일오버킷은 지난번 시승 때 프로트타입의 최종본이었고, 이번 것은 완전 양산형으로 품질면에서 조금 더 안정화되어 있는 제품이었다.
이전 시승차에 장착된 영코일오버킷과 비교해 변화된 내용은 젠쿱의 전륜 쇽업소버가 대각선 방향으로 누워있는 각도가 크기 때문에 넓은 휠을 적용했을 때 간섭이 생길 가능성이 큰데, 상하스트록시 마이너스 캠버로 변하는 변화가 스트로크 대비 큰 것을 고려하여 쇽업소버의 위치설정에 변화를 주었다고 한다.
그리고 리어 쇽업소버의 리바운스 스트록을 기존에 비해 40mm정도 길게해 고속안정성을 높인 점등 공도에서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머플러는 Young RS-line 이라는 제품이며 레이싱타입이기 때문에 음량이 상당했다.
브라켓,볼트하나까지 전부 304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작 되었으며 소음기는 영모터스에서 자체 설계한 스펙으로
모든 라인과 생산 또한 영모터스 용인점에서 직접 이루어지고 있다.
상당한 음량이기는 하지만 중통 엔드의 변화를 줌으로써 15마력의 실측 출력향상을 가져온 성과가 있었다.
시승차에 장착된 레이싱 타입 이외에도 S-line 이라는 스트릿용 제품또한 현재 개발이 완료되었고 RS-line 보다 사운드를 감소 시켰다고하니 향후 공도용 제품이 나오면 다시 시승해볼 예정이다.
얼마전 문막서킷에서 일본 드리프트 선수가 파란색 젠쿱으로 드리프트하는 동영상에 나오는 배기 사운드가 영 RS-line 2.0 머플러였다고 한다.
시승차에는 선루프가 장착되어 있지 않았는데, 선루프가 없는쪽이 훨씬 강한 바디 느낌과 함께 잡소리가 전혀 없없다. 보통 선루프가 있는차와 없는차를 동시에 비교해서 타보면 확실히 없는차가 견고하고 강한 느낌을 주는데 젠쿱은 이 차이가 평균의 경우보다 더 크게 느껴졌다.
서스펜션을 튜닝하고 드리프트나 과격한 주행을 많이하는 차의 용도로 구입하는 경우 선루프를 선택하지 말 것을 강력히 권하고 싶을 정도로 선루프가 없는 젠쿱의 느낌은 이전에 선루프가 있는 차만 탈때와 분명한 차이를 주었다.
아침에 시동을 걸었을 때 변속이 원활하지 않은 점이 이번에 발견한 문제점이었는데, 이는 M5나 내가 가지고 있는 RS2도 비슷해 어느정도 시간이 흐를 때까지는 업,다운시프트 모두 더블클러치를 사용하는데, 젠쿱은 국산차 중에서는 이 현상이 조금 심하게 느껴졌다.
서스펜션의 후륜 스트록이 길어졌다고 하지만 의도적으로 강하게 조여놓은 시승차의 특성상 일상적인 속도에서는 그 차이를 잘 느끼지 못했는데, 중속에서 풀가속을 해보면 항속할 때는 노면의 기복에 따라 반응하는 느낌, 즉 차가 가속하는 상황에서 살짝 바운스를 먹었을 때 후륜이 급속도로 트랙션을 잃는 듯한 부작용이 확실히 줄어들었다.
이러한 개선은 3단 정도의 상황에서 스티어링이 살짝 꺽인 상태에서 풀가속을 할 때 노면의 기복에 따라 후륜이 트랙션을 잃고 살짝살짝 헛도는 것으로 인해 자세가 불안해지는 부작용을 줄였음을 의미한다.
3.8리터라는 대배기량에도 시가지에서만 탔을 때 6.5km/리터를 달릴 수 있는 효율이나 부담없이 200km/h이상으로 크루징할 수 있는 능력, 사운드 튜닝했을 때 2리터 사양보다 훨씬 좋은 소리를 낸다는 것도 매력이다.
이제 봄으로 접어들고 모터스포츠가 시작되는만큼 젠쿱에 대해 맞춰진 시선도 강렬해질 것으로 본다.
차에 뭔가 안하면 두드러기가나는 오너들의 특성도 이런 기대에 확실히 부흥할 것이고, 따라서 검증된 제품들을 선별할 수 있는 주의도 요구된다.
젠쿱의 위상이 점점 당당해지고 있음은 해외에서의 긍정적인 평가들도 한몫한다.
나 스스로 한번도 현대의 매니어인 적이 없었지만 객관적으로 젠쿱을 바라보았을 때 늘 긍정적이었고, 그런 평가를 내리는데 주저하지 않았을만큼 자신이 있었다.
이렇게 튜닝된 차들을 타보면 타볼수록 이런 확신이 더욱 강해졌고, 젠쿱과 같은 시도로 인해 국산차끼리 혹은 수입차끼리 묶어서 따로 평가하는 사례들이 조금씩 줄어들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testkwon-

- IMG_7322.jpg (41.1KB)(12)
- IMG_7255.jpg (58.0KB)(6)
- IMG_7256.jpg (60.8KB)(5)
- IMG_7260.jpg (131.5KB)(4)
- IMG_7261.jpg (134.1KB)(4)
- IMG_7262.jpg (128.4KB)(4)
- IMG_7265.jpg (91.9KB)(4)
- IMG_7268.jpg (54.9KB)(4)
- IMG_7273.jpg (95.3KB)(6)
- IMG_7275.jpg (94.6KB)(5)
- IMG_7276.jpg (83.1KB)(5)
- IMG_7277.jpg (66.4KB)(4)
- IMG_7279.jpg (78.9KB)(5)
- IMG_7281.jpg (136.1KB)(8)
- IMG_7282.jpg (104.6KB)(4)
- IMG_7283.jpg (120.1KB)(4)
- IMG_7284.jpg (95.3KB)(4)
- IMG_7285.jpg (113.2KB)(5)
- IMG_7287.jpg (75.6KB)(4)
- IMG_7288.jpg (104.0KB)(4)
- IMG_7292.jpg (107.2KB)(5)
- IMG_7294.jpg (105.5KB)(4)
- IMG_7307.jpg (103.0KB)(6)
- IMG_7310.jpg (122.6KB)(5)
- IMG_7312.jpg (57.1KB)(4)
- IMG_7313.jpg (52.8KB)(5)



그나저나 드레스업 수준이 장난이 아닙니다? 영모터스.. 해외 유명 튜너들의 작품에 견주어봐도 전혀 손색이 없는 퀄리티 이군요!!
시장 규모가 좀더 커지고 저렴해져서 좀더 보편화 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엇으면 좋겠습니다.
다음 차량으로 간다면 젠쿱 3.8로 가고 싶네요
시승 차량이 3.8수동차량인데... 저도 젠쿱을 상당히 까는... ^^ 어찌보면 권영주님 말씀대로 함부로 말하는 사람중 한명일지도 모르는데요...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
젠쿱3.8 수동차량의 경우...
1. 클러치 미트시 약간의 딜레이가 있는 부분...
2. 악셀링시 역시 약간의 딜레이가 있는 부분... (VDC 끄면 없어진다고 하더군요.)
3. 스티어링 기어비... 노면이 안좋은 곳을 고속(150 정도?)으로 주행시 타 차량보다 더 핸들 컨트롤이 어렵다는 점... 핸들링이 민감하다? 혹은 스티어링 기어비가 너무 작고, 가변(으로 알고 있습니다만.....)되는 싯점이 너무 늦다??
... 많이 타보지는 않았지만 가끔 짧게 타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마다 느끼는 점인데... 저는 권영주님과 반대로... 타볼수록 부정적인 느낌을 받더군요... ^^
아는 지인은 젠쿱시승 후... 이렇게 표현하더군요. '차가 솔직하지 못하다... 드라이버에게 거짓말한다'
... 이 표현을 듣는 순간... 동감이 되더군요. 머리로 이해가 되는게 아니라 느낌으로 공감이 가는 표현이랄까요...
음... 일례를 들어보면... 핸들링 느낌이... 처음 시승때는... '오오 좋은데... 훌륭하다... ' 그러다가...
몇번의 시승을 거치다보면... 뭔가 이질감을 느끼게 됩니다. 스티어링 기어비가 짧아서 작은 핸들링에도 민감하게 반응을 하니 날카롭고 예리한 핸들링으로 느껴지다가 이게 너무 과도하다보니... 핸들링을 좋게 느끼게 하려고 인위적으로 너무 짧게 세팅한건 아닐까... 하는 느낌을 받게되는 거죠. 위에 언급한 노면 안좋은 곳에서의 핸들 컨트롤이 어렵다는 것도 같은 맥락인 듯 합니다. (사실 어렵다기 보다... 짜증난다는게 정확할듯... ^^)
핸들링이 좋은건 맞으나... 너무 과장했고 이것이 이질감으로 느껴진다... 이런거겠네요...
물론 위에 적은것은 제 개인적인 느낌이고... 견해입니다. 더군다나 저의 카라이프는 년수는 길어도 이런 이야기를 하기에는 아무런 전문적 지식도 없고 경험도 미천하다는 것은 잘 알고 있습니다.
다만 이런 이야기를 이렇게 길게 리플로 늘어놓는 것은... 이렇게 지적되는 몇몇 젠쿱의 단점들... 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해서 몇자 적습니다. ^^

김범주님께서 언급하신 내용중에서 클러치 미트 시점에는 문제가 있음이 감지가 전혀 되지 않았습니다. 다만 가속패달을 놓았을 때 회전수가 워낙 느리게 하강하기 때문에 미트시키는 정확한 타이밍을 잡는 것이 까다로운 편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액셀링시 딜레마는 어떤 것을 표현하신 것인지 모르겠지만 차가 타이어 접지를 못할 정도의 상황이 아니고서 VDC를 켠 것과 끈것이 액셀링시 차이가 나는 상황은 실제로 연출되지 않는다고 봅니다.
노면을 타는 부분은 전투적인 세팅이 된 차일수록 그리고 타이어가 넓고 편평비가 낮을수록 심합니다.
M5나 C63 AMG와 같은 차를 타보면 순정 젠쿱보다 더 심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스티어링의 기어비는 일반 서보트로닉인 것을 고려하면 기어비가 변하거나 하지 않고 다만 무게감이 변할 때의 이질감을 말씀하시는 것 같은데, 다른 수입 브랜드의 그것에 비해 감지될만한 특이사항은 없었습니다.
한가지 차가 거짓말을 하는 것처럼 느끼는 것은 역대 한국차로서는 처음으로 LSD 그것도 상당히 전투적인 세팅이 되어 있기 때문에 이 느낌에 익숙치 않으면 가속할 때 머리가 안쪽으로 들어오는 느낌에 거부감이 생길 수 있습니다.
BMW의 M이 아닌 경우 LSD가 없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순정으로 LSD가 장착되는 차에 익숙하다면 젠쿱의 세팅은 핸들링을 높이는데 활용하기 좋은 세팅입니다. 다만 3.8의 경우 익숙치 않으면 VDC끈 상태에서 조정이 오히려 힘들게 느낄 소지는 있습니다.

너무나 예쁜 마린룩입니다. 단, 센터페시아에서 대쉬보드 상단으로 넘어가는 부분은, 밝은색으로 처리하면 맑은날 프론트윈도에 반사되어 시야를 방해하는 경우가 있더군요. 저도 구입하게 됨 꼭 옐로우로 하기로 결정했는데, 참고로 해야겠어요.ㅋ
권영주님 말씀대로 젠쿱의 고속주행에서의 다소 불안정한 느낌은, 큰 휠과 초편평 타이어.. 싸이드월 재질특성의 영향도 있어보입니다. 초고속 주행을 즐긴다면 공기압을 조금만 낮춰주거나, 휠을 인치다운 해 편평비가 조금 높은 타이어로 튠하는것도 한 방법이 될거 같네요. 제 느낌엔 순정 쇽계통의 피드백이 조금 세련되지 못했다는 느낌을 받았는데, 오너들의 분포에 따라 점차 개선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어보입니다. - 이는 좋다 나쁘다의 기준이 아니라, 타겟층의 성향에 따라 조율될거라는 생각입니다.
물론 시승은 완전순정일때 몇번, 흡기튜닝만 했을때.... 정도입니다.
부연설명?을 해보자면... ^^ 권영주님이 못느끼셨다고 하셔서... (이게 제가 타본 젠쿱만의 문제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드는 군요...)
클러치 미트시... 미트되는 순간... 아니 정확히 말하면 미트되어야 하는 그 순간에 미트가 되질 않고 미세한 차이의 시
간차를 두고 뒤늦게 붙는 증상이고,
악셀 딜레이 역시... 악셀링 했을때 엔진반응이 한박자 쉬고~ ^^나오는걸 말씀 드리는건데... 엔진 리스펀스가 느리거나 알피엠이 느리게 떨어지거나 느리게 올라가는... 그런게 아니라... 말 그대로 악셀링을 했을때 한템포 쉬고 엔진에서 반응이 오는 증상입니다. 저는 안해봤는데 VDC를 끄면 괜찮다고 하더군요.
중고속 핸들링 이야기는... 노면을 타는 증상이 아니라... 노면에 따라 핸들이 춤을 추는 증상입니다. ^^ 물론 노면상황이 핸들에 반영되기는 하는데... 이게 좀 더 심하더군요. 같은 길을 비슷한 속도로 주행할때... 유독 젠쿱이 심했고, 심지어 핸들이 어떻게 돌아갈지 몰라 전방주시에 신경쓰느라고 사이드미러 볼 여유가 없어질 정도였습니다.
권영주님의 답변을 보고있자니..... 제가 타본 젠쿱에 국한된 이야기 인듯 싶습니다. 그 젠쿱을 타본 사람들의 평은... 대체적으로 저와 크게 다르지 않았거든요. 아... 호불호 이야기 아니라... 클러치, 악셀링등에 있어서 제가 말씀 드린 증상들 이야기입니다.......
그런데... 그 '증상'에 대해서는 권영주님과 공유되는 부분이 한가지도 없군요. 그 증상에 대한 분석이나 받아들여짐이 다르다면... (전 사실 이걸 기대하고 질문 드린거였습니다. 본문에서 언급을 안하셔서... 과연 권영주님의 생각은 어떤것일까... 혹시 제가 모르는 무언가를 배우고자... ^^) 모르겠는데... 아예 그 증상들이 없다고 하시니...
그렇다면 아무래도... 제가 경험한 젠쿱에 한정되어 나타난 증상일 가능성이 더 커보입니다. 초기물량이라 그런건지... 흠....
늦은시간... 시간 내주셔서 답변 주신 점... 대단히 감사드립니다. 평안한 밤 보내세요... ^^

클러치 미트 부분에 대한 것은 기억을 되짚어보니 젠쿱 3.8의 경우 미트가 되는 시점의 클러치 문제보다는 언급하신 한박자 쉬고 상승하는 그 느낌에 영향이 큰 것 같습니다. 그리고 회전수가 500rpm이하로 떨어지면 시동이 꺼지는 것 역시 6기통 엔진으로서는 흔치 않은 현상인데, 이로 인해 처음에 적응하는데 시간이 걸릴 수 있다고 봅니다.
노면에 따라 핸들이 춤을 추는 현상자체가 노면을 탄다는 표현에 포함된다고 봅니다. 일반차 특히 일반적인 국산차와 전혀 다른 컨셉의 젠쿱이고, 넓은 휠에 넓은 타이어를 신으면 자연스럽게 늘어나는 현상이라 젠쿱에서 특별히 심하다고 느끼진 않았습니다.
바이퍼의 경우 345mm뒷타이어 덕분에 차선 한개씩 순간 이동하기도 합니다. 즉 성능이 좋은 다른 차들에 없는 노면 적응능력에 젠쿱에 있었다고 보기는 힘듭니다.
젠쿱의 스포츠성과 가장 대치되는 현상 혹은 특성은 이미 여러차례 다른 시승기에서도 언급했지만 그리고 김범주님께서 언급하신 한박자 쉬는 액셀의 반응성 문제입니다.
늦은 하강 그리고 한박자 쉬고 상승하는 엔진반응이 수동 운전의 재미를 반감시키는 요소이고, 정직하지 못하다고 표현할 수도 있는 부분입니다.

엔진이 프론트 쇽타워 앞으로 마운트 되어있는데 쇽타워 뒤로 위치해있었다면 참 좋았을텐데 말이지요...
상당히 프론트 헤비가 아닌지요?

이 사진들을 보니 마음이 바뀌었네요.
정말 이뻐요. ^^

전에도 봤던 차량이지만 정말로 꾸미신분 센스와 열정에 박수를 보내드리고 싶습니다.^^
^^d

다음차종으로는 젠쿱3.8로 가야겠습니다.^^;;
물론,영모터스 차량처럼 멋지게 꾸미진 못하겠지만 약간의 드레스업만 해준다면 약간의 부족했던 감성을 더 채워넣을 것 같네요.

김범주님이 말씀하신 "악셀링을 했을때 한템포 쉬고 엔진에서 반응이 오는 증상"
에 대해서 잠시 말씀 드리자면 그건 ems 에서 얼마든지 컨트롤이 가능합니다.
대개의 경우 고출력으로 갈 수록 미션을 보호하기 위한 쎄팅입니다.
다만 젠쿱에서 약간 그보다 더 느낌이 나는건 저도 감지를 했습니다.
얼마전 자유게시판에서도 언급한 바 있는데..., 양산차이고(물론 수입차들도
양산차입니다만 자동차 문화적으로 선진국인 그들의 차보다 조금 더
강화도니 느낌이죠^^;;) 양산에서의 불특정 다수를 위한 쎄팅이라고 보여집니다.
더군다나 후륜 대배기량의 철 출시에 있어서 한 동안 그에 적응하지
못한 오너들에 의한 트러블 요소를 아예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 쎄팅으로
보입니다. 사실 간단한 맵핑만으로도 제거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하지만 스포츠주행을 하지 않으면 못느낄 부분이고 또 스포츠주행을 하시는
분들치고 노말로 타실분들이 얼마나 있는지도 관건일듯 합니다.
시제품으로 악쎌레이터 감각을 변화시키는 부스터들도 나오고 이는
고출력 일본차들에게도 찾을 수 있는 현상이라서 일제제품들이 먼저 출시한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롬데이터중 어느부분을 리칼리브레이션 하면 돼는지
알고 있는 저로서는 간단할지 모르나 일반인에게는 까다로울 수 있겠지요
아울러 그 부분이 미세하게나마 연비에도 영향이 있습니다.
젠쿱이 퓨어스포츠카가 아니고 양산형임을 생각하면 미세한 부분까지의
연비문제도 전혀 신경 안쓸수 없는게 메이커의 연구원일겁니다.
그런게 차를 평가는데 있어서 흠 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다만 그 메이커가
마케팅 또는 홍보와 대상벤치에서 쎄팅값을 그에 맞추는 정도라고 보여집니다.
익스테리어나 인테리어의 튠 디자인도 상당히 완성도가 높네요.
한 번 직접 보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