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제 차는 05년식 캠리 3.3L 입니다. 구동계는 렉서스 ES330와 똑같은 3MZ-FE 엔진에 아이신 U151E 변속기죠. 현재 주행거리는 19만킬로입니다.
몇년 전에 렉서스 서비스에서 근무하다가 독립한 분이 하는 정비소에 오일교환하러 갔더니 시내주행 위주면 5W20을 써보는게 어떻겠나고 하더군요. 오일주입구 뚜껑에 5W30 이라고 써 있으니 그냥 5W30 넣겠다고 했죠. 그런데 나중에 업데이트 된 토요타 TSB 문서를 보니 정말로 3MZ 엔진에 5W20, 0W20도 권장스펙으로 추가된걸로 나오더군요.
그래서 검색을 했더니 연비가 조금 좋아진다는 글도 있고 해서 '겨울엔 5W20, 여름엔 5W30 넣어보자'는 결론을 내리고 지난달에 모빌1 EP 5W20을 넣었습니다. 그런데 조만간 20만을 찍을 엔진에게 5W20은 좀 아니였나 봅니다. 오일 갈고 나서 엔진 음색이 좀 칼칼해졌나 싶었는데, 두주일 만에 고RPM에서 토크가 새나가듯이 맥이 없고, 쇠 갈리는 소리까지 들리는것 같은 환각(?)에 시달려서 결국 2천킬로 남짓 주행 후에 모빌1 EP 5W30으로 돌아오고 지금은 한시름 놓았습니다.
저 자신도 그렇고, 차도 이제 나이가 있고 하다보니, 고속항속은 잘 안 하지만, 추월은 신속하게 끝내는 스타일이라서 시내에서도 5천rpm까지 쓰는 경우가 종종 있거든요. 하여간 엔진오일 점도 때문에 이렇게까지 고민했던건 처음이에요.
사실 17만킬로일때 다이노에 올려봤을때도 아직 출력저하는 없었고, 연비도 꾸준하게 유지되고 있는데다가, 최소 30만마일쯤은 끄떡없이 달리는 검증된 구형(!) 엔진이라서, 엔진이 노후화 되었다는 생각은 전혀 하지 않았었는데, 5W20을 넣어본 후에 좀 '허걱~'한 상황입니다.
그러다 보니 5W40을 넣으면 어떨까 싶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원래 3MZ 엔진 소리가 좀 걸걸한 편인데다가, 이제는 노후 엔진으로 간주하고 점도를 올리면 엔진음도 좀 더 차분해지고, 엔진이 마모를 늦출 수 있지 않을까 싶어서요. 그런데 과유불급이라고, 5W40은 너무 걸쭉해서 연비만 나빠지지 않을까 싶기도 하고요. 점도 지수만 보면 5W30 이나 0W20 이나 비슷하던데, 5W20 보다는 요즘 토요타 순정오일로 나오는 0W20을 썼더라면 어떨까 싶은 생각이 들기도 했습니다.
연비가 나빠지지 않는 한도에서 매끄러운 엔진의 느낌을 최대한 살리려면 다음번 오일 교환때는 어떤 오일을 넣어야 할까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96. 99년식 차량을 타고 있습니다만. 아직까지 엔진 오일 신경쓴 적은 없네요. 5w 30이 제일 무난하지 않나 싶습니다.

도요타 등의 일본차들의 권장오일점도를 보실 때 주의하실 부분이 일본국내사정에 따른 권장오일점도가 있다는 겁니다.
일본은 0w20등의 저점도 엔진오일이 일반적인 시장이고 그 이유로는 연비 추구, 저알피엠-저속운행이 대다수인 주행환경, 권장오일교환주기가 약 3,000키로 정도로 짧은 것 등으로 관리환경이 다르므로 권장오일점도가 한국과는 많이 다를 수 있습니다.

마구 밟고 다녀서 3천km마다 교환 했었습니다.
지금은 서버밴 5.3 순정점도가 0w20으로 펜조일, 모빌1, 캐스트롤 돌아가면서 써봤는데 캐스트롤이 제일 마음에 들고 펜조일, 모빌1 순입니다.

저라면 메뉴얼에 맞출거 같습니다.
05년식 마쯔다3 주행거리 32만km
5w20 넣고 아직 쌩쌩합니다.
특유의 숏기어로 고속도로 올라가면 3500rpm 이상 항속주행은 흔하고 추월시 레드존까지도 자주 넘나듭니다.

05년식 이래도 17만키로 정도의 마일리지면 그리노후(?) 되었다고 보기도 애매한 시기 같습니다.
5w-20에서는 칼칼함을 느끼셨으니 5w-30이면 딱 맞다고 보이네요.
5w-40은 기분상 안심되는건 있겠으나, 연비를 따진다고 하신걸 봤을때 단점이 더 많을겁니다.
제차도 마일리지가 23만을 넘어가지만 여전히 5w-20으로 레드존까지 사용하며 다닙니다.
5w-30정도면 전혀 문제 없을겁니다.
https://www.google.co.kr/amp/s/540ratblog.wordpress.com/2013/06/20/motor-oil-wear-test-ranking/amp/
이 쪽 큰손(?)인 bob the oil guy에서도 비슷한 요지의 글을 여럿 봤습니다. 20 기피는 합성유 초기 시절에 기술력 부족으로 점도 유지가 잘 되지 안되어 그 때 선입견이 생긴게 크다고 하네요. 그리고 제조사의 스펙은 차량 제조 당시에 입수 가능한 오일 기준으로 작성된다는 점...
저는 99 미아타에 5w30하고 5w20 번갈아 사용해 보았습니다. 큰 차이 없고 문제도 없었습니다. 저 글로 보아 이번에는 퀘이커 스테이트 ultimate durability 5w20 금통 써봐야겠습니다 (상위권에서 점도 낮고 국내 입수 쉬운게 저거네요...)
94년식 W124 E220 몰고 있습니다.
36.6만km 정도 운행했고, 엔진오일은 0W40 쭉 쓰고 있습니다.
사실 살살 몰다보니 고회전을 많이 쓸일이 없고 가끔(주 5~10회 미만인듯 하네요.) 고속주행이나 급가속시 5천rpm을 넘기는 경우가 있습니다.
연비는 10~11km/L 왔다갔다 합니다.
본격 노후(?)엔진이라 그런지 오히려 0W40이 괜찮은듯 합니다.
사견입니다만, xW40 점도의 엔진오일이 점도가 높다고는 해도 영향이 크지는 않을듯 합니다. 오히려 운전습관이 더 연비에 영향이 있지 않을까 싶네요.

제 경험으로는 모빌1은 조금 카랑카랑한 사운드가 특징? 이었습니다.
유럽산 같은 규격 대비 그랬었네요.
점도 생각하면 30으로 사용하시면 무난하실 듯 합니다. 모빌1 30으로 넣어보시면 또 다를듯 합니다.

오래된 차라면 각 기관들의 탄성과 강성이 약해졌을껀데...
부하가 적은 저점도 오일이 맞지 않나 생각해 봅니다.
그간 오일 점도 때문에 문제된 적은 없었거든요. 오히려 점도가 높을수록 엔진음이 작아져서 그게 불만이었어요 ㅋ
엔진이 노후되거나 오일이 줄어든다고 점도를 올리는건 아무 의미가 없습니다. 점도는 용도와 스펙에 맞게 써야지요.
특히 별도의 오일컨트롤 밸브가 붙는차량이면 권장점도와 규격외에는...
요새 나오는 오일도 일반적으로 많이쓰는 덱소스1 sn gf5 규격도 수명이 그리 짧지도 없습니다. 그렇다고 무작정 길지도 않지만. 고속도로에서 쪼끔 밟거나 추월을 좀 하는정도로 오일수명이 빨리 떨어지는것도 아니고요.
특수한용도가 아니라면 전적으로 자동차 제조사의 권장으로 편하게 하시면 됩니다.
엔진이 노후 되었다는 말은 실린더 내부와 피스톤 링 등이 마모가 되었다는 얘기이고 이로 인해서 피스톤과 실린더의 이격이 발생할수 있습니다. 따라서 너무 묽은 엔진오일을 사용하게 되면 미세한 틈새이지만 이를 통해 엔진오일의 유입이나반대로 연료의 누출로 인해 Fuel Dilution 이 생길 수 있습니다.
제조사의 추천 점도의 엔진오일을 쓰는게 무난하나 노후 되었다고 판단되는 엔진에는 추천된 엔진오일보다 농도가 1단계 정도 짙은 엔진오일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예를들면 5W20 이 추천되었다면 5W30 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05년식이면 뒤에 숫자는 30~40으로 가야 되지 않을까요? 일반적으로 5w-40은 시내주행보다는 고속주행에서 점도 유지를 해준다고 들었습니다만... 5w-20은 렉서스 하이브리드에 들어가는 점도로 알고 있습니다만... ^^; 6기통엔진에 20점도는 좀 약할 것 같아요... 그냥 그냥 무난하게 5w-30이면서 연비절감형 오일을 쓰시는게 어떨지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