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안녕하세요.
요 근래 새로운 타이어를 써보고 글을 올려봅니다.
제가 차 운행조건이 아주아주 극단입니다.
4대를 소유중인데, 업무용인 투싼 제외한 3대는 다 합쳐야 연 1만km를 타는 수준입니다.
투싼: 연 9만km 주행
한계 속도인 210km/h도 자주 달릴 정도로 고속 뿐 아니라 전천후
365일 주행
225/60/17을 소음때문에 승용차타이어인 235/55/17로 변경, 마제스티만 쭉 사용했습니다.
제 단골 타이어샵이 중국제 '사일룬' 타이어 대리점을 냈더라고요.
호기심에 이것저것 알아보고 물어보니, 가격도 마제스티 대비 50% 정도 저렴하고.. 성능은 생각보다 좋다는 평도 많길래.
'아니다 싶으면 빼서 다른차에 끼우지 뭐'
(마침 동일한 사이즈 쓰는 세단을 보유중)
가볍게 생각하고 4짝 모두 사일룬 아트레조 엘리트로 교환!
아트레조 zsr이 더 땡겼지만, 235/55 시리즈는 엘리트만 나오길래 어쩔 수 없이 이 놈으로 했습니다.
이제 타이어 교환하고 3주. 6천km 주행했습니다.
깜짝 깜짝 놀랍니다. 이거 중국산 맞냐. 어. 대단한데..
소음 대만족.
배수능력 만족.
승차감 꽤 만족.
수명 아~~~주 약간 불만족 (마제스티 대비 90% 정도로 느껴짐)
가장 단점이라 생각되는건 월이 꽤 무르다는 것. (스포츠 타이어 아닙니다만, 없이 살아서 그런지 다 만족했음 하는 부끄러운 바램~~)
그런데... '가격' 대만족.
전체적 성능은 마제스티 뺨 칠 정도인데, 가격이 깡패라서..
업무용 차에 가성비 템으로는 정말 최고라 생각했습니다.
4~5년 전 부터 '대륙의 실수'로 대표되던 중국산 가성비 템이 한국시장을 장악하고 있습죠. 어느 순간 중국산의 하이퀄리티 제품은 더 이상 '실수'로 불리지 않게 되었습니다. 이 정도면 실력이죠.
사일룬 타이어가 벌써 이 정도라면 국산 타이어 제조사 3사 긴장해야 겠습니다. 품질 가격 세계시장 점유율 등 모든 영역에서 몇 년 안에 따라잡겠더라고요.
요 근래 새로운 타이어를 써보고 글을 올려봅니다.
제가 차 운행조건이 아주아주 극단입니다.
4대를 소유중인데, 업무용인 투싼 제외한 3대는 다 합쳐야 연 1만km를 타는 수준입니다.
투싼: 연 9만km 주행
한계 속도인 210km/h도 자주 달릴 정도로 고속 뿐 아니라 전천후
365일 주행
225/60/17을 소음때문에 승용차타이어인 235/55/17로 변경, 마제스티만 쭉 사용했습니다.
제 단골 타이어샵이 중국제 '사일룬' 타이어 대리점을 냈더라고요.
호기심에 이것저것 알아보고 물어보니, 가격도 마제스티 대비 50% 정도 저렴하고.. 성능은 생각보다 좋다는 평도 많길래.
'아니다 싶으면 빼서 다른차에 끼우지 뭐'
(마침 동일한 사이즈 쓰는 세단을 보유중)
가볍게 생각하고 4짝 모두 사일룬 아트레조 엘리트로 교환!
아트레조 zsr이 더 땡겼지만, 235/55 시리즈는 엘리트만 나오길래 어쩔 수 없이 이 놈으로 했습니다.
이제 타이어 교환하고 3주. 6천km 주행했습니다.
깜짝 깜짝 놀랍니다. 이거 중국산 맞냐. 어. 대단한데..
소음 대만족.
배수능력 만족.
승차감 꽤 만족.
수명 아~~~주 약간 불만족 (마제스티 대비 90% 정도로 느껴짐)
가장 단점이라 생각되는건 월이 꽤 무르다는 것. (스포츠 타이어 아닙니다만, 없이 살아서 그런지 다 만족했음 하는 부끄러운 바램~~)
그런데... '가격' 대만족.
전체적 성능은 마제스티 뺨 칠 정도인데, 가격이 깡패라서..
업무용 차에 가성비 템으로는 정말 최고라 생각했습니다.
4~5년 전 부터 '대륙의 실수'로 대표되던 중국산 가성비 템이 한국시장을 장악하고 있습죠. 어느 순간 중국산의 하이퀄리티 제품은 더 이상 '실수'로 불리지 않게 되었습니다. 이 정도면 실력이죠.
사일룬 타이어가 벌써 이 정도라면 국산 타이어 제조사 3사 긴장해야 겠습니다. 품질 가격 세계시장 점유율 등 모든 영역에서 몇 년 안에 따라잡겠더라고요.
2017.11.18 01:22:25 (*.39.139.75)

친구가 그랜져 19인치에 쓰리에이 타이어를 씁니다만 아주 만족스럽다 그러더군요....마일리지도 그렇구요
전 그말 듣고도 아 그래도 아직은 하고 한타 s2as로 교체햇습니다^^
전 그말 듣고도 아 그래도 아직은 하고 한타 s2as로 교체햇습니다^^
2017.11.18 07:37:18 (*.118.85.107)

중국산 이제는 무시할 시대는 아닌거 같습니다 특히 중국 타이어쪽은 나라에서 밀어주는 국영기업도 있고 큰 회사들은 한국브랜드 타이어와 크게 차이나지 않다고 생각되네요 대신 반대로 가내수공업같은 소규모 화사도 엄청많아서 그런것만 피하면될거 같네요 회사에 들어오는 중장비에도 언젠가부터 중국회사 타이어가 점점 낑겨들어 오더군요
2017.11.18 16:46:11 (*.236.95.201)
딴얘기긴 하지만 승용차 타이어로 바꾸시는건 체감적으로 특별한 장점이나 불편한점이 있는지요??
10년식 스포R 가솔린 225/60/17 쓰고 있는데 타이어를 갈아야 될때라 235/55/17로 변경 고려중입니다.
2017.11.18 19:23:05 (*.36.142.100)
변경시 여러 장점이 있습니다.
미미하지만 접지면 증가에 따른 소소한 거동성능의 상승 뿐 아니라, (금호 기준) 선택지가 크루젠 뿐이던 것에서 여러 승용타이어의 선택지가 열립니다. 예를 들면 마제스티 라던가요.
이로 인한 승차감 상승과 소음 억제는, 접지면적 증가에 따른 승차감 하락 및 소음 상승을 상쇄하고도 많이 남습니다. 즉 승용타이어의 다양한 선택지를 누릴 수 있다.. 정도가 가장 큰 장점 되겠습니다.
투싼은 초대형 suv가 아니므로 타이어 당 하중 제한도 아득히 먼 편이라 안전하게 주행 가능합니다. 유일한 단점은 마일리지가 승용대비 10~20% 정도 짧을 수 있다는 것 정도일까요..
미미하지만 접지면 증가에 따른 소소한 거동성능의 상승 뿐 아니라, (금호 기준) 선택지가 크루젠 뿐이던 것에서 여러 승용타이어의 선택지가 열립니다. 예를 들면 마제스티 라던가요.
이로 인한 승차감 상승과 소음 억제는, 접지면적 증가에 따른 승차감 하락 및 소음 상승을 상쇄하고도 많이 남습니다. 즉 승용타이어의 다양한 선택지를 누릴 수 있다.. 정도가 가장 큰 장점 되겠습니다.
투싼은 초대형 suv가 아니므로 타이어 당 하중 제한도 아득히 먼 편이라 안전하게 주행 가능합니다. 유일한 단점은 마일리지가 승용대비 10~20% 정도 짧을 수 있다는 것 정도일까요..
2017.11.18 21:31:11 (*.230.164.167)

저 역시 중국 회사인 진유타이어 크로스프리 YS72 225/60R17을 놓고 고민하고 있었는데
동현님의 글을 읽고 마음을 85% 까지 정했네요.
어떤 느낌을 줄지 기대가 됩니다.
2017.11.19 22:44:23 (*.62.10.212)

중국제.타이어를..직접 테스트하고 현재 스폰받아 사용 중입니다 주 목적은 드리프트용 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가격이 10만원도 하지.않고 기타 동급 싸이즈 타이어에 비해 소음이 적고(b등급) 특리.배수력이 좋았습니다
접지력도 어중간 국산 이름만 스포츠 타이어들 보다 한수 위더군요 저도 처음엔.. 의심아닌 의심..이미 10년도 더ㅜ전에 중국산 타이어에 낭패를 봐서... 지금은.. 없어서 사용 못할정도 입니다 아 모든 중국타이어가 그런건 아니구요..
전 현재 세계적 드리프트 챔피온 사이토 다이고 선수가 사용 하는 타이어 회사 제품 사용중입니다
곧 사이토 다이고가 사용하는 드리프트 전용 타이어도 출시 한다고 하는데.. 기대됩니다
가격이 10만원도 하지.않고 기타 동급 싸이즈 타이어에 비해 소음이 적고(b등급) 특리.배수력이 좋았습니다
접지력도 어중간 국산 이름만 스포츠 타이어들 보다 한수 위더군요 저도 처음엔.. 의심아닌 의심..이미 10년도 더ㅜ전에 중국산 타이어에 낭패를 봐서... 지금은.. 없어서 사용 못할정도 입니다 아 모든 중국타이어가 그런건 아니구요..
전 현재 세계적 드리프트 챔피온 사이토 다이고 선수가 사용 하는 타이어 회사 제품 사용중입니다
곧 사이토 다이고가 사용하는 드리프트 전용 타이어도 출시 한다고 하는데.. 기대됩니다
2017.11.19 23:17:15 (*.67.152.201)
중국산 트라이앵글 th201 사용중입니다 당연히 짝당 10만원이하이고 ..
PS3랑 아주 비슷하게 생긴 하이그립 계열 타이어입니다 골프 gtd에 사용중인데 매우 만족하며...엔구천 보다도 나은 느낌이네요... 다만국내 타이어에 비해 마일리지가 조금 적을뿐인데 ...갠적으로 가격생각하면 상당히 만족합니다.
2017.11.20 12:04:03 (*.123.51.131)
근데 대리점에 전화해서 가격을 물어보니까 짝당 10.5 얘기하네요..??
TA31 97,910 , KU50 127,960 에 비해서 크게 매력적인 가격은 아닌듯 한데 ㅠㅠ
중국제 타이어가 마음에 드신다니 다행이네요. 저렴한 가격에 성능도 준수하면 정말 좋은 대안입니다. 하지만 저는 아직 중국제 타이어를 장착 할 용기가 나지 않아 최소 한국타이어는 장착합니다.
중국의 타이어들이 몇 년 뒤면 넥센만큼 성장하지 않을까 예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