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안녕하세요.
몇달전 휠 교체때문에 기웃기웃 거리던 차알못 직장인입니다.
차량은 올뉴sm7 이구요.
순정 차량 휠 옵셋은 7.5, 18, +47 이구요.
변경 휠 옵셋은 8.5, 18, +25 입니다.
현재는 일때문에 중국 출장중인데요.
휠을 교체하고 몇번 타보지도 못하고 곧바로 출장을 오게 되었는데요.
계속 머리 한구석에서 휠 교체후 느꼈던 거시기한 느낌이 계속 떠나질 않아 혼자서 계속 이리저리 검색도 해보고 하다가 이렇게 다시 테드에 오게 되었습니다.
애초 휠을 교체할려는 이유는 순정 휠 옵셋이 너무 어좁이었고,
휠 교체를 하게 되면 막연히 윤거가 넓어질 것이고, 올뉴sm7 특유의 롤링? 피칭? 의 감소를 기대하였는데요.
막상 교체를 하고 나서의 느낌은.. 기대와는 다르게 기존보다 핸들링이 좀더 예민해졌고.
특유의 꿀렁거림은 여전하다는게 제느낌입니다.
그래서 이리저리 찾아보니 롤 센터? 라는 놈을 알게되었고.
제차량의 정확한 롤센터는 모르겠지만,
어쨋든 넓어진 윤거로 인해 롤 센터는 낮아지고, 차량 무게 중심은 그대로인 상태에서 롤 센터가 더 낮아지니,
결과적으로는 롤이 더 커져버린 결과 되어버리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드는데요.
승차감을 높이고 싶은데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지금은 서스 교체를 해볼까? 하는 생각도 하고 있습니다. ㅠㅠ
휠교체 하시면서 타이어 높이는 45로 하신듯보이네요. 혹시 휠/타이어 교체 하시고 얼라이 보셨나요?
않보셨다면 얼라이 먼저 추천드리구요. 휠이 정품인지 카피인지? 정품 이라면 허브링을 장착 하셨는지?
등등 정보가 필요하네요
일반적으로 휠인치업을 하는 차량들 무지하게 많습니다. 롤센터까지 생각하고 바꾸는 분은 거이 없죠.
그리고 써스를 생각하신다면 Tein같은 승차감 위주의 일체형 권해드립니다.
순정의 출럼 꿀렁 거림에서 해방이되며 운전의 재미를 느끼실수 있을겁니다.

산소로 달궜다는 것 같아요.
휠 탈거시라고 안 하시고 얼라이먼트 볼 때라고
하셨습니다.

오히려 얻으셨을텐데 어떤 승차감을 원하시는지
모르겠습니다.
롤링, 피칭을 줄이는 승차감을 얻으시려면
조금 더 하드한 쇼버, 스프링 세팅으로 가닥을 잡으시는게
맞다고 보여집니다.
안녕하세요. 답변감사드립니다.
어떤 승차감을 원한다라고 설명하기가 참.... 어렵네요.
여러 차량을 많이 타본것도 아니고해서.
시속 100키로 미만에서는 큰 불안함이 없지만.
속도가 좀 올라간 상태에서는 직진 주행성은 불안하지 않은데 차선 변경이나, 도로에 약간 홀이 있는 곳을 지나게 되면.
차선 변경을 하면 울렁 울렁? 거린다는 느낌이 들고,
도로 상태가 좋지 않을 곳을 지나가게 되면 차량 뒷부분에서 올라오는 뭔지 모를 불안함이 느껴집니다.
제가 본 차량을 구매하기전에 개인적으로 렌트를 2회를 하였거든요.
그래서 차량 크기에 비해 출력이 부족한듯하여 3.5를 구매하였고,
출고하자마자 전륜 후륜 허브스페이서를 부착하여 거의 4년을 타고 다녔습니다.
허브를 탈거한 이유는 전륜 브레이크 로터 변형 주기가 너무 잦아 제가 가는 정비소에서 탈거를 권유하였고,
전륜 허브만 탈거해서 타고 다니다가 이차저차 휠 교체를 하게 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 하루 이상 운행하여본 승용 차량은 현재 모델 A6, 바로 전 모델 A6, 전차량인 구형 라세티, 초기 아반테, YF 렌트, K3 렌트 정도밖에 없고, 물론 이중에서 현재 모델 A6가 가장 느낌이 괜찮았습니다. ㅎㅎ

말씀하신 거 들어보면 노면 타는 증상이 많이 심해진 거 같은데, 경험상 옵셋이 꽤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리고 신형은 모르겠는데, 구형 SM7들은 보통 스페이서 전혀 없이 8j +35~40 정도 되는 휠을 끼웠을 때 주행감이 좋았습니다. 물론 말씀하신 것처럼 휀더 측면까지 꽉 채우는 비주얼에는 못 미쳤지만요. 지금 말씀하신 증상들을 해소하려면 적어도 휠을 임시적으로나마 교체해서 끼워보시는 게 정확할 것 같습니다. 롤센터 이동의 영향이 있을 순 있겠으나, 그 정도가 차고 낮춘 것 이상의 체감 상 변화를 가져올 것 같진 않습니다.
지금 상황에서 서스펜션 교체는 바람직한 순서는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이 게시물이 참고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https://www.testdrive.or.kr/qna/2047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