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사실 제대로 된 첫 주행은 아니고
코칭 주행이라서 뒤만 졸졸.. 이지만
나름 두번이나 오버를 경험~~
쫄깃한 순간을 겪어야 빨라진다는데 ㅎㅎㅎ
원래 쫄보라서 살살 다니기는 하지만
예전에 영암에서 대박 견적을 한번 겪은 후로 더 무서워 졌어요
(앞서가던 i30이 접니다. 무려 라이센스 교육용 사고사례 동영상에 등장~)
근데 이거 올려도 되는건지 모르겠네요...
혹 문제 있다고 지적하시면 삭제를...
1. 영암이 상대적으로 고속 서킷인가요?
고속서킷을 저속차로 타서 그런지
영암은 뭔가 편안하고 불안한 느낌이 전혀 없는데 인제는 쫄깃하네요
내리막이라 그런지 전륜인데도 불구하고 오버가 나고
(스핀하거나 한건 아닌데 순간적으로 아 이거 돌겠구나 했었는데...)
2. 그동안 브레이킹을 잘못 생각하고 있었었나??
서킷을 처음 갔을때는 완전 양민이다 보니
선배들이 코너 앞에서 브레이킹은 강하고 빠르게 끝내는거야
뭐 그런 이야기를 들어서 거의 풀브레이킹에 가깝게 하는것이 맞는 줄 알았는데
브레이킹을 약하게 길게 가져가라는 지적을 받았습니다.
생각 해 보니 코너를 돌기 위해서는 횡방향 트랙션이 남아있어야 하쟎아요??
직선구간에서 첫 코너로 접어들 때 이를테면 한 80%정도까지만 브레이킹 하는 것이 맞는 건가요?
아니면 제가 아직 초보라서 그렇게 설명한 것이고
제대로 주행하려면 풀브레이킹 후 브레이크를 풀면서 코너진입이 맞는 걸까요?
아니면 인제 첫 코너는 내리막이라서 브레이킹을 약하게 하는 건가요
3. 공기압 고민 - 나는 몸치인가
하중이동, 타이어 접힘 이런거 전혀 모르겠습니다. T.T
브레이킹, 엑셀링으로 앞뒤로 쏠리는거야 느끼지만
스키타는 것처럼 하중을 오른쪽으로 넘기고 왼쪽으로 넘기고 이렇게 설명하시는데
머리로는 이해가 가도 몸으로는 T.T
타이어 공기압도 많이 넣는 것이 좋다 적게넣는 것이 좋다
사이드월에 따라 다르다 막 그러는데...
저날 타이어는 4x2 공기압은 35, 38 정도였는데요
처음 탄 후에 고수분이 보시더니
사이드월까지 너무 간다. 주행에 문제가 있다고 하면서
4X2는 사이드월이 약하니 공기압을 많이 넣는 것이 좋다
냉간 37, 42 정도 추천해서 넣었습니다.
주행중에는 50 까지 올라가서 tpms가 삑삑거리더군요
다른분들은 공기압이 적어서 사이드월이 접히는 것이 느껴지나요?
얼마나 타야 그런 경지가 되는건지...
ps. 휘발유 떨어질 것 같아 불이나케 달려간 내린천 주유소
'3만원이요' 했더니
당연하다는 듯 '고급유 3만원이요?'
ㅎㅎㅎ 인제 덕분에 제일 노난 건 주유소 사장님인 듯
ps2. 브레이킹에 대한 추가질문 입니다.
이상적은 브레이킹은 이 그림과 같다고 머릿속으로 알고 있었는데요
즉 코너진입 직전에는 100% 브레이킹 (= 풀 브레이킹)
하지만 패독에서 콘 놓고 연습할 때 풀 브레이킹을 하지 말라는 지적을 받아서
(하중이 너무 앞으로 쏠린다는 지적)
1. 원래는 풀 브레이킹을 하는 것이 맞지만 아직 운전실력이 안 되서 지적 받았다
2. 풀브레이킹을 조금 더 일찍 끝내고 브레이크를 풀기 시작하면서 스티어링을 꺽어야 한다
(브레이킹이 늦다 or 스티어링 시점이 빠르다)
3. 100%는 풀브레이킹이 아니다 브레이크를 남기고 들어가는 것이 맞다
어느 것일까요

공기압 높이고 다시 들어가니 탈만은 했는데...
역시 그냥 일상용으로만 쓰는 타이어란 생각입니다^^

2. 인제 1코너만을 이야기하시는 거라면 1코너가 길고 완만한 편이라 그런거 같습니다.
기본적으로는 코너 진입전 브레이킹을 끝내는 것이 맞습니다. 횡방향 트랙션은 브레이킹이 끝난 이후에 하중이 몰려있으므로 오히려 최대치가 되겠죠.
(코너링중에 브레이크를 남기고 들어가는 것은 트레일브레이킹이라고 나중에 다시 연습하셔야할 고급 스킬입니다)
3. 타이어 사이드월 접힘은 경험이 많이 쌓이시면 핸들 조작에 따른 반응과 차체 움직임으로 느끼실수 있습니다. 그것보다 제일 정확한건 주행후 타이어 상태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사이드월까지 마모흔적이 있는지 보시면 됩니다.

엑스타 ASX 쓰다가 4X-II 로 바꾼 직후의 첫 느낌이 '무르다' 였습니다.
지금은 마제스티 끼우고 '이제는 딴차다'라고 생각하며 다닙니다. ^^;
풀브레이킹이냐 아니냐는 코너마다 혹은 현재 차량 속도에 따라 달라지는 문제인거 같습니다. 필요 이상의 브레이킹을 할 필요는 없으니까요. 다만 브레이크 구간을 짧게 가져가면 브레이크 쿨링에도 도움이 됩니다.
일단, 풀브레이킹을 하는 경우라면, 스티어링을 돌리는 시점에 적정 하중을 유지하기위해 어느 정도 브레이크를 풀고 가는게 맞느것 같습니다. 이것도 차량 특성에 따라 또 다른거 같더군요. 본인 차량과 비슷한 구동계를 가진 영상을 보시는게 좋겠네요.
초보자인 제가 보기엔 엄청 부드럽게 잘 타시는거 같네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