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stdrive

항상 행사 때마다 느끼는 점이지만 이렇게 쫙 줄서서 기다리고 있는 녀석들을 보면 아 정말 가슴이 뿌듯해온다고나 할까..
디자인 적인 면을 먼저 얘기해볼까요?
987 Boxster의 디자인은 Carrera GT에서 많은 아이디어가 채용되었습니다.

자 이렇게 비교해 놓고 보니 Carrera GT로부터 987 1st generation 으로 이어진 아이디어들과 또 2nd generation에서 추가로 들어간 아이디어들이 좀 보이지 않나요? 뒷모습도 보겠습니다.

운동성능면에서는 사실 최근 987 Boxster S 는 3.4 리터 엔진으로 업그레이드 하면서 한층 업그레이드 된 상태라 더 이상 뭘? 하는 심정도 약간 있었습니다.
하지만…
또 달리고 …
차를 Boxster S 모델로 바꿔 타고 또 달리고…
해 봤더니 좀 느낀 바가 있네요.
일단 이번 모델의 변화는 모델체인지에 가까운 마이너체인지라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987 2nd generation 이라고 하지만 엔진이 바뀔 뿐 아니라 변속기가 PDK (Porsche Doppel Kuplung) 으로 바뀌어 큰 주행의 느낌 차이가 생겼고 덧붙여 Boxster 의 경우에는 섀시의 느낌도 많이 달라서 전혀 다른 모델로 느껴집니다.
일단 스펙상의 출력은 아래와 같이 변화하였습니다.
어떤 분들이 이전 엔진의 DFI 화로 만들어진 결과가 아닐까 하시는데 보어/ 스트로크가 다른 새 블록의 엔진입니다. Boxster 와 Cayman 의 엔진은 DFI 가 쓰이지 않은 2.9L 엔진입니다.
이렇게 출력을 올리면서도 기본형은 10% 연비와 이산화탄소발생량을 개선하였고 S 모델은 각각 15%, 16% 개선하였습니다.
게다가 표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Cayman 쪽에 10마력의 출력을 더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동일한 배기량의 엔진에 추가의 마력.. 짐작하실 수 있는 부분이 있을 것입니다. 예 맞습니다. 포르쉐는 Cayman 과 Cayman S 모델에 노골적으로 추가적인 상품성을 부여하고 있습니다.
Boxster 에 대해 저는 박수치고 싶습니다. 브라보 !! 이전 Boxster 의 2.7리터 6기통 수평대향 엔진의 경우 팁트로닉과 결합하면 좀 부적절한 관계의 결합이라는 느낌이 있었습니다. 2.7리터나 되는 엔진이 겨우 1.3톤급의 로드스터차체와 물렸으니 부족하다는 말을 함부로 하기엔 어려워야 맞지만 이상하게도 저회전 토크가 가늘게 느껴지고 고회전을 엔진이 선호하는 느낌입니다. 즉 수동이 어울리는 엔진이라는 뜻이죠. 팁트로닉은 특성상 또 저회전에서는 두툼한 토크를 필요로 하고 고회전은 수동에 비하면 또 날카로움이 묻혀버리는 면이 있으니 아쉬웠죠.
하지만 이번 모델은 전혀 다릅니다. PDK 와 결합한 2.9리터 자연흡기 엔진은 정말 찰떡 궁합입니다. 엔진의 탁월한 저회전부터의 픽업과 고회전까지의 시원한 회전 모두 기대하는 만큼 제어되고 사운드도 깔끔합니다. PDK를 선택하지 않을 경우 예전에는 기본형 모델은 5단 수동미션이 기본이었는데 이제는 6단 수동미션이 기본사양으로 장착됩니다.
더하여 정말 칭찬하고 싶은 것은 기본형의 섀시가 무척 점잖아졌다는 점입니다. 이전 모델이 가볍게 느껴지고 노면에 적응성이 좀 부족하다고 느껴지며 ‘난 이렇게 노면이 안 좋은 곳에 어울리지 않는 차야.’ 라고 말하는 것 같았다고나 할까..”내가 그렇게 울퉁불퉁한 노면에서 퉁퉁대는 이유는 내가 더 스포티한 차이기 때문이야..” 라고 변명하는 것처럼 보였었거든요. 이전 모델의 S는 NVH 의 측면에서나 핸들링의 특성에서나 더 바랄 게 없을 정도로 훌륭한 점에서 위치하고 있다고 느껴졌던 반면 Boxster는 “파워가 부족하지만 난 더 스포티해! “ 라고 주장하는 듯 했었는데 이번 2nd generation 은 “내가 바로 이전의 S 모델이다. ” 라고 주장하는 듯 합니다. 255마력의 2.9리터라는 숫자만 머리에서 지워버리면 엄지손가락을 들어주며 인정할 만 합니다.
그러면 Boxster S 모델은 어땠냐.. 참 이런 말 하기 쑥스럽지만 기존의 S를 뛰어넘는 로드스터 최강의 상품성을 지향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기본형의 PDK + 2.9리터 255마력 NA 엔진이 이전의 Boxster S 못지 않은 운전재미와 편안함을 동시에 노렸다면 이번의 Boxster S는 310마력이지만 마치 340마력처럼 활발합니다. PASM 을 선택한다면 조금 더 진득하고 고급스러운 감각을 느낄 수 있습니다. 저의 권장사항은 노말 서스펜션입니다. 저는 987 오픈형 바디가 만들어내는 야들야들하면서도 탄력있는 느낌을 사랑합니다. 노말 서스펜션은 가감 없이 이를 느끼게 해줍니다.
911에도 들어갔던 PCM 3.0(Porsche Communication Management)을 옵션으로 선택할 경우 터치스크린이 되고 DVD 5.1채널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늘어난 출력과 빨라진 엔진반응에 PDK를 결합하고도 안정성이 흐트러지지 않은 것을 보면 섀시쪽에도 추가적인 개선이 있은 것으로 보이지만 그 기본 Character는 크게 바뀌지 않았습니다. 지난 Boxster S 1세대 모델이 그랬던 것처럼 잘 위치한 승차감과 핸들링 사이에서 밸런스를 유지한 채 조금 더 높은 수준을 추구하는 정도입니다.
결과적으로는 기존의 Boxster S 역시 로드스터 시장에서 가장 좋은 핸들링을 가졌었고 2nd generation 으로 조금 더 업그레이드 하여 자신을 뛰어넘었다고 보입니다.
3편의 Cayman 시승기로 이어집니다.



간단하게 320마력 오버를 마크합니다. 샤시 말고 동력성능에서
새로운 모델이 제시하는 비젼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사실 Boxster S 3.2 6단 수동의 경우 저회전 부터 고회전까지 거의
플랫한 토크를 주기 때문에 그다지 좋지 않은 연비를 빼곤(시내주행)
출력에서 부족하다는 느낌은 안들었습니다. 996 까레라 팁트로닉과도
직발에서 오히려 빨랐고 최고속은 대동소이 했습니다 280 마크(gps)
하더군요 신형에선 어떤 차이가 나는지 궁금합니다.

배기량 3179cc > 3387cc > 3436cc
출력은 280마력 > 295마력 > 310마력
압축비 11:1 > 11.1:1 > 12.5:1
이산화탄소배출량 248g > 254g > 221g
EU 혼합연비 100km당 10.4L > 10.6L > 9.4L
숫자들의 변화에서 새로운 엔진이 추구하는 것을 발견해내시리라 생각합니다.
Closed 데크를 갖추어 내부마찰을 줄이고 연료소모량도 줄였습니다. 전자식으로 컨트롤되는 오일펌프를 통하여 엔진이 소모하는 출력을 최소화하였습니다. 새로운 크랭크케이스는 베어링을 모두 케이스 내부에 담고 있어서 마찰을 줄이고 부품수를 줄였습니다. 새로운 체인드라이브와 크랭크샤프트 텐셔너를 설계하여 엔진회전수를 7500rpm 까지 올렸습니다. 그냥 튜닝 ECU 쓰면 간단한 것을 참 어렵게 올리죠? :)
종전 모델의 마운팅 파트로 되어있던 실린더헤드를 태핏하우징으로 통합하였습니다. 촉매장치의 위치를 재배치하였습니다. DFI 는 포르쉐의 직분사 시스템입니다. 이를 이용하면 효율적인 연료분사는 물론 실질적으로 기화열에 의해 실린더 내부의 온도를 낮출 수 있으므로 더 높은 압축비 (12.5:1)의 이용이 가능해집니다. 더 나은 토크와 빠른 반응 그리고 emission도 좋아집니다. 경험이 있으시니 12.5:1 을 쓰고 연료에 크게 까다롭지 않은 상태로 좋은 emission 과 얌전한 아이들링에 긴 수명을 함께 얻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아시리라 생각합니다.

좀 희석되는 느낌입니다. 회전수를 올리기 위한 폴쉐의 엔진내부 변경은 찬성합니다.
튜닝 이씨유로 회전수 올리는건 저는 반대입장이라서 ^^;;
회전수가 올라감에 따라서 늘어나는 실린더에서의 측압과 피스톤 속도에
따른 유막유지 동변계통의 경량화에 따른 소재의 변경과 유체의 흐름개선등
회전수를 올리기 위해서는 너무도 많은 변수가 작용 하는데 간단하게
전자제어로 올려버린다면 그건 양산모델로서는 0 점이겠지요
체인드라이브를 재 설계 했다는 것은 그만큼 저항이 적어졌다는 해석으로 들립니다.
그로 인한 시너지로 오일압력을 올리지 않고도 충분히 회전 감성은 좋아지겠으나
상대적으로 늘어나는 측압부분은 어떻게 해석을 한건지 또 궁금합니다.
직분사를 통한 압축비의 상승은 사실상 에미션과 별로 상관이 없습니다.
직분사 엔진의 경우 연소실에서의 성층운은 기존의 것들과 확연한
차이가 있기 때문에 그다지 놀랄일도 아닌듯 합니다. 플러그 중심팁쪽의
리치한 공연비와 외부의 희박등을 비롯해 공연비 40:1 50:1 등으로도
설정이 가능한게 직분사 엔진이고 그에따른 거의 모든 메이커가
직분사에 매달리는 판에 그건 그다지 새로울게 없어 보입니다.
에미션 문제는 간단하게 가변밸브 타이밍과 발달된 ecu 로직만
있으면 얼마든지 고압축비에서도 제어가 가능하지요
그로인한 출력의 상승은 마력 보다는 주로 토크가 되겠고 이는 빠른
리스폰스와 직답성으로 좀 더 샤프한 주행이 가능하리라 생각이듭니다.
보수적인 폴쉐가 탯핏방식으로 전환 했다는것은 그 만큼 일반 양산개념의
세단과 적절하게 타협하고 있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습니다.
화려해 지는 내장을 보면서 늘 느끼는 감성입니다.
결국 스포츠성은 차츰 소멸되고 럭셔리감은 늘어나는 추세로
가는 느낌이군요 하지만 요즘의 대세가 그러하니 어쩔 수 없는 변화라고
느껴집니다. 헌데 수치상으로는 사실 체감이 별로 오지를 않습니다.
더 솔직히 말씀 드리면 박스터의 모델 체인지가 달갑지 않은 이유이기도
하겠지요 ^^';; 암튼 폴쉐 특유의 아이덴티를 고수하면서 상품성과 적절하게
타협해 가는 모습에서 당분간은 경영난에 허덕이지는 않을것 같다는
생각이 짙게 듭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이번 박스터는 디자인도 많이 좋아진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마음에 드는 모습입니다.^^* 카이맨은 아직도 좀 별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