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stdrive

포르쉐가 카이만 모델의 선조로 꼽는 904 GTS입니다. 좀 비슷한 면이 보이는지요? 용감한 달리기, 미드십의 수평대향 엔진 후륜구동 쿠페, 본격적인 달리기를 추구… 직선으로 뻗어올라간 프런트와 이어져 내려오는 C필러의 디자인 등 성격과 외모 모두 고개가 끄덕여지는 면이 있습니다. 반면 튜블라 스페이스 프레임에 카본파이버 껍데기를 씌웠던 under 1톤의 레이싱 머신에 가까운 차와 현재의 안전기준과 편의성을 충분히 갖추기 위해 무게가 1.3톤정도로 늘어나고 그에 맞게 6기통 수평대향 엔진을 쓰는 Cayman과는 다른 점도 있지요.

드라이빙을 하기 전 열심히 기술적인 사항에 대해 수업 듣고 있는 마이클 베터 사장과 셀카.

경쟁차종들과의 성능비교 비디오도 봐주시고… (“Top gear 특집” made by Porsche 라고나 할까요…) 호호 내용 궁금하죠?

“자.. 얘들아 가자..” Big Boss의 등장입니다. Pace car 인 Cayenne S 입니다.

이 사람 기억 나세요? 3년째 매번 행사 때 마다 만나고 있음. 전에 사진도 올렸었는데..

Cayman S를 먼저 탔습니다. 320마력의 PDK… 1.3톤의 가벼운 중량.. 잔뜩 기대되더군요.

헉.. 그런데… 기대와 차가 상당히 다릅니다. 짱짱했던 1세대 Cayman S의 스포츠성을 너무 염두에 두어서 그런 것일까.. 내심 계속 고민하며 차를 더 느껴보기로 합니다.

반면 스포츠성을 추구한 덕분에 생기는 원하지 않는 다른 결과물도 있었죠. 나빠진 승차감이 그러한데 좋은 Body shell 이 척척 받아넘기긴 하지만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충격까지 무르게 해주지는 않기 때문에 바운싱을 할 때면 어떤 사람에게는 편하게 느껴지지 않는 강한 G가 상하로 걸리기도 했습니다.
저는 이것을 “차가 젊다. 젊은 사람 취향이다.” 라고 표현하곤 합니다. 용감하고 퍼포먼스를 즐기며 이를 위해 약간의 희생도 즐겁게 받아들이는 쪽이라는 의미로요.
반면 스포티함은 가져가되 불쾌한 강한 G는 좀 부드럽게 받았으면 하는 분들에게는 PASM (Porsche Active Suspension Management ; 포르쉐의 가변댐퍼 시스템)이 요긴하기도 했습니다.

반면 이번 2세대 모델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화산섬 꼭대기에 있는 전망대 카페에 앉아 느낌을 정리해보니 확실히 그렇습니다. 일본에서 온 Porsche Japan 사람들과 또 한국에서 함께 간 일행들과 의견을 나눠봐도 그렇다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Cayman S 는 911에 더 가까워졌습니다. “ 라고 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여러가지로 해석을 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더 Powerful 해졌다? 네 맞습니다. 더 Comfort 해졌다? 네 맞습니다. 승차감도 더 부드러워졌고 PASM 의 셋팅 역시 노말모드이건 스포츠모드이건 이전보다 더 노면에 적응하는 능력이 커졌고 부드러운 승차감을 제공합니다. 더 럭셔리해졌나? 네 옵션도 911에 가까워졌고 엔진의 반응이나 차의 느낌도 911에 가까워졌습니다. 무게는 1.3톤인데 승차감은 1.5톤 같이 느껴집니다. 물론 성능은 1.3톤에 320마력이죠. 0-100km/h 가속은 PDK와 런치컨트롤의 도움을 받으면 4.9초에 마치며 최고속은 275km/h 에 이릅니다. 1세대 911 기본형 카레라 팁트로닉의 0-100km/h 가속은 5.5초이며 최고속도는 280km/h 였습니다.
복스터S 보다 10마력과 토크 1kg.m를 더 내는 3.4 DFI 엔진도 911의 엔진처럼 조금 묵직하고 파워풀한 엔진의 느낌이 납니다. 살짝 살짝 드로틀을 열 때에는 반박자 늦게 반응하지만 파워를 내라고 깊게 밟으면 RPM 게이지는 7500 rpm을 향해 급속히 올라가고 사운드도 급격히 스포티해지는 … 10마력 낮은 Boxster S는 안 그런데 Cayman S는 911 엔진의 느낌이 납니다.

반면에 기본형 Cayman 은 1세대 모델이 참 권하기 미안할 정도로 스포티함을 추구하여 다수의 운전자에게 받아들여지기 힘든 면이 있었지만 2세대 모델은 다수의 운전자가 Porsche Sports car에서 기대하는 것들을 잘 갖추고 있습니다.
Boxster 1세대 모델과 공유했던 엔진은 고회전에서 날카롭지만 저회전의 Pick up 이 약하여 고회전의 사용을 부추기고 가벼운 차체에 한층 Boxster 보다도 단단한 서스펜션은 그야말로 통통거려 ‘경량 스포츠’를 지향하는 분들께야 가벼움의 미학일지라도 다수의 운전자에게는 ‘싼 차의 불쾌함’으로 받아들여지는 면이 있었습니다. 승차감 면에서는 사실 ‘무게가 주는 만족감’ 이라는 부분이 있습니다. VW의 Phaeton 이 무게배분이

하지만 이번 2세대 Cayman 은 한층 높은 차원의 승차감을 제공합니다. 1세대 Cayman 이 스포티했다면 이번 2세대 Cayman 은 산뜻하군요. 가뿐하면서도 튀거나 불쾌하지 않습니다.

엔진 역시 2.9리터로 커지면서 완전히 새롭게 개발되어 (보어/ 스트로크가 다른 완전한 새 엔진입니다.) 이전 모델과 달리 저회전부터 두툼하게 토크를 만들어서 한층 높아진 7500 rpm까지 세차게 돌아갑니다.
2.9 리터와 3.4리터 DFI 엔진은 Carrera와 동시에 개발되기 시작했으며 내부마찰을 줄이고 연료소모량도 줄이는 여러 설계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배기쪽에서도 주 촉매장치가 있던 자리에 리어머플러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여 더 파워풀하면서 다이나믹한 소리를 내게 되었습니다.

또한 PDK 는 2세대 Cayman에서 더욱 빛납니다. 3.4리터의 S모델에 비해 모자란 파워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0-100km/h 는 5.5초에 가속하며 최고속도는 263km/h.
1세대 Cayman S 팁트로닉모델의 0-100km/h 가속 6.1초와 최고속도 267km/h.
요약하면 2세대 Cayman 과 Cayman S는 체급을 올렸다고 보입니다. 특히나 라이트급이라고 여겨졌던 Cayman이 미들급으로 2레벨이상 올라온 느낌입니다. 미들급이었던 1세대의 Cayman S는 2세대로 바뀌면서 라이트 헤비급으로 올라와서 헤비급의 911바로 아래에 위치합니다.
이전에는 Cayman – ( ) – Cayman S - ( ) – Carrera – Carrera S – GT3 – GT3RS 의 배열을 ( ) – ( ) – Cayman – Cayman S – Carrera – Carrera S – GT3 – GT3RS 로 상품성을 전체적으로 업그레이드 하며 등간격 배열을 했다고나 할까요?
개발팀이 어떻게 지속적으로 항상 팬들을 놀라게 하는 새 제품을 내놓는지 참 놀랍다고 한 마이클 베터 사장의 말을 듣고도 뭐 포르쉐에서만 일해온 사람이니 뼛속까지 포르쉐라서 그렇게 말한다고 생각했는데 이제 몇 해 지켜본 저에게도 이 사람들 끝이 어디인지 정말 경이롭다는 생각이 듭니다.

- 그림38.jpg (31.7KB)(13)
- 그림24.jpg (36.1KB)(11)
- 그림25.jpg (35.1KB)(11)
- 그림26.jpg (29.7KB)(10)
- 그림27.jpg (34.3KB)(9)
- 그림28.jpg (36.7KB)(10)
- 그림29.jpg (50.4KB)(10)
- 그림30.jpg (49.1KB)(10)
- 그림31.jpg (44.2KB)(10)
- 그림32.jpg (23.1KB)(10)
- 그림33.jpg (42.6KB)(10)
- 그림34.jpg (22.9KB)(10)
- 그림35.jpg (23.0KB)(10)
- 그림36.jpg (31.9KB)(12)
- 그림37.jpg (34.5KB)(11)
차량과 차종에 따라선 마냥 가벼운 게 종권님 말씀처럼 꼭 좋기만 한 것은 아니더라구요. ^^*

최근에 몰아본 차이기도 해서 한수 배움을 얻을까 하는 생각으로 질문드렸습니다. 이유인즉 플랫라이드가 잘 유지된다, 그래서 좋다는 말씀이시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최근의 종권님 글에는 조금 강한 자기방어가 느껴집니다. 이제는 가슴을 펴고 봄볕의 포근한 여유를 만끽할 때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추위를 많이 타는 편이라, 잠깐의 꽃샘추위도 싫습니다. 어쨌든 겨울은 다 간 느낌입니다.
SW20 타고 청계산 와인딩로드 동승했을 때가 기억납니다. 언제 한번 포르쉐도 태워주세요. ^^

그냥 무거우면 관성 자체가 커서 상/하로 잘 까불지 않는 것입니다. 그리고 sprung weight 가 unsprung weight 에 비해 크면 클 수록 하체는 열심히 노면추종을 하고 다녀도 상부는 별 영향을 안받습니다. 그건 Sprung weight 가 커져도 가능하고 (ex: 지하철이나 버스) Unsprung weight를 줄여도 효과가 있습니다. (경합금이나 카본의 서스펜션 암류와 고가의 중공구조 합금휠이나 카본 휠). 움직임 자체도 질량이 크기 때문에 천천히 아래 위로 움직이게 되어 인체가 불편하게 느끼지 않게 됩니다. (인체가 느끼는 승차감이라는 팩터는 그 진동주파수와 깊은 연관이 있습니다.
김성환님하고 이동섭님이 제 글에 댓글만 안달아주시면 좀 편하게 지낼 수 있을 것 같아요. ㅎㅎ

그러고보니 포르쉐 911은 '플랫라이드'라는 측면에서는 물리적인 제약이 많은 녀석이군요. 길이 대비 휠베이스가 짧고, 휠베이스 대비 오버행은 길고, 파워트레인은 오버행에 얹혀져 있고, 그로 인해 무게배분은 한쪽으로 치우쳐 있습니다. 핸들링 머신이라는 얘기 역시 못 들어본 것 같습니다. 트랙에서 타보니 움직임의 폭은 넓어서 재미는 있지만, 조향감은 옅어서 정교한 맛이 떨어지고, S자 코너 같은 연속적인 하중이동에 낭비가 많은 느낌을 주더군요.
포르쉐가 포르쉐처럼 생긴 차만 만드는 것처럼, 포르쉐를 좋아하는 일부의 사람들은 자기애가 강하고 어떤 면에서 배타적이라는 느낌입니다. 아이가 엄마에게 "며칠 전에 쟤네들이랑 다퉜는데, 솔직히 쟤들만 없으면 좋겠어"라고 말하는 것 같아요.
ps. 위의 두 문단에서 NSX 언급한 적도, 그것을 포르쉐와 비교한 적도 없습니다. '좋아하는 무엇' 같은 얘기 말고, '언급한 것'에 대해서만 비판해 주십셔.

NSX 건 Ferrari 건 911 이나 Boxster, MR2 까지 스포츠버젼의 차들이 휠베이스가 짧은 것은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고 말씀하신대로 좋은 승차감과는 좀 거리가 먼 설계 맞습니다. 반면 차체 길이가 휠베이스에 비해 긴 것은 수납공간이나 공력을 고려한 디자인을 위해서입니다. 사실 위에 언급한 차들은 앞/뒤로 20-30cm 안에는 크게 의미있고 무거운 기계가 별로 없습니다. 텅텅 비었죠. 헤드라이트하고 범퍼랑 공기가 지나가는 길을 인도하는 벤트류.. ? 그래서 오버행이 기니까 불리한 설계라는 것은 겉으로 보기에만 그렇고 내용적으로는 그 오버행 안에 실제 무게가 별로 없어서 오버행이 몇 mm 인가가 어떤 잣대가 되긴 어렵습니다.
911이 좀 운전자를 가리긴 합니다. ^^ 그냥 마구 잡아돌리려고 들면 "너 내려.." 하죠. 짧은 시간에 다 파악하려고 덤비면서 타보신 것은 아닌가 싶군요. 좀 시간을 두고 오래 타면서 차와 친해지면 다른 모습을 보여줄겁니다. 저는 카이만보다 911이 더 스티어링의 느낌은 좋더군요. (카레라 기본형 기준)
제가 이종권님글에 댓글단것하고 이종권님께서 제글에 댓글단 경우가 반반인것 같은데... 섭섭하군용...
(평균 데이터상...) 인간이 가장 안락하게 느끼는 주파수가 있습니다 (고급차들은 거기에 맞추려고 노력하고요)
이종권님 말씀대로 차량의 무게가 무거울수록 승차감은 좋아집니다 (말씀하신대로 무게가 늘어나면 관성이 커져서 웬만하면 안흔들리지요)
현재의 여건상 경량이 미덕이지만... 경량화 해봐야... 각종 옵션으로 독일차들 일본차들 할거없이 현재는 모두 무거운.... 승차감 세팅이 자동으로 되고있습니다
Sprung mass가 증가하면 스프링상질량의 공진주파수가 줄어들어 공진에서 멀어지고 Unsprug mass가 줄어들면 스프링하질량의 공진주파수가 커지기 때문에 공진에서 멀어져서 공진 근처에도 안가기 때문에 승차감이 좋아지는거예용~
Flat ride 문제는 차는 앞으로 달리기 때문에 앞바퀴가 턱을넘고 뒤바퀴가 턱을 넘는 시간차 때문에 발생합니다
회전중심이 앞뒤 바퀴 사이에 있으면 강한 피칭이 발생되고...
회전중심이 앞뒤 바퀴 바깥쪽에 있으면 그나마 피칭이 약해져서 Flat ride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무게배분에 맞춰 앞뒤 스프링 상수를 공식에 따라 바꿔주면 회전중심을 앞뒤바퀴 사이에서 밀어낼수있지요 (보통은 뒷바퀴 뒤쪽으로 밀어냅니다)
윽~~ 또 피곤하다구 하실라... ==333
일반적으로 무게배분이 5:5인 상황에서 뒤쪽의 스프링상수를 30%정도 높이면 pitch중심 (이때는 bounce 중심이라 부릅니다) 이 뒤차축 뒤로오고 승차감이 좋아진다...라고 실험적으로 증명한 예가 있습니다만...
피치가 발생되는 주파수와 바운스가 발생되는 주파수와의 관계 그리고 각각의 중심의 위치등등을 계산하는 방법은 정의된 파라미터와함께 미분방정식을 풀어야하는 문제라서...
이런 이유로 이렇게 설계하게 된다...라고...
아직은 제가 쉽게 설명드리기가 어렵습니다
양해를 부탁드립니다

리플에 나와있듯이 오버행에 아무것도 들어가지 않습니다. 그야말로 공력을 위한 설계로 보여집니다.
개인적인 견해로 911이 조금더 실내공간이 커졌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편하기 까진 않더라도, 너무 구겨넣고 타는 상황이라(제가 184에 뒤에 아이가 타야 합니다.) 시트를 가장 아래로 낮춰도 계기판이 가려져서 다 보이질 않습니다.
997에서는 조금 개선이 되었다고 하는데 시트포지션을 더 낮추면서 조금더 앞으로 갈 수 있도록 공간설계를 다시 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이 부분은 저혼자만의 개인적인 견해가 아니라 가장큰 시장인 미국에서 미국인들이 요구하는
내용이기도 합니다. 포르쉐에서 911을 타는 이유는 크게 단 하나입니다. 뒷좌석이 있기 때문입니다.
아침에 타면 너무 비좁고(온몸이 스트레칭이 된 상태라서) 그나마 오후에 타면 그럭저럭 구겨 탈만합니다.
어떨땐 제키가 175정도로 작았으면 하고 바랄 정도이니까요...이종권님이 이글을 보시면 본사에 강하게 어필좀 해주셈.
그나저나 이동섭님은 대부분의 글에서 저와 의견을 같이하고 계십니다. 이종권님과는 반대지요.
그러나 포르쉐 얘기에서는 이동섭님 의견에 동의하기 힘듭니다. 기회가 되시면 좀 오랜시간 타보시면서 느껴보시면 좋겠습니다. (제가 몸을 구겨서 탈만큼 가치있다고 느껴집니다.)

아사다나 안도등 다른 친구들이 테크니컬한 연기에 급급해 체력과 스피드에 연연하는 동안, 연아는 손끝의 움직임까지 필연으로 트레이닝하고 감성적인 표현을 더해가면서 연기를 차별화 시켜가는걸 보고,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이런 부분은 너무나 섬세한 차이여서 얼핏 발견하기 힘들지만, 작지만 엄청난 차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캐나다의 로쉬선수는 바디빌더같은 몸으로 남자같이 스피디한 회전을 하고, 아사다는 동작이 빠른 연기를 하지만, 결코 불필요한 근육이 발달하지 않은 연아의 부드럽고 적절한 속도의 동작은 감탄을 자아냅니다.
포르쉐가 최고의 차다아니다를 떠나, 모든면에서 자체 라인업들과의 섬세한 조율을 통해 패밀리 오너들이 오버랩되어 꾸준히 선택하게 하는데까지 신경을 집중하는 면은, 대단하다는 생각입니다. 렉서스 세일즈를 하며 꽤 재미를 본 여성딜러 후배가 있었는데, 벤츠로 옮기면서 하는 얘기가.. "렉서스는 한두대 팔면 그 고객이 다음차를 살게 없다." 입니다. 벤츠는 세컨카와 다음레벨..엄마 아빠의 차까지 꾸준히 레벨업해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이지요.
제 추측에 '포르쉐 바이러스' 라는 말은, 단일 라인업의 우수함보다는.. '꾸준히 선택하게 하는 힘.' 이라는 생각이 문득 듭니다. 이런건 기술력의 차이를 수평비교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라, '저변과 인프라' 에 깊은 연관이 있어, 운동성이 뭔차보다 좋네 나쁘네를 따질 수 없는 영역입니다. 수요자가 보고싶어하고 원해오는 시스템을 외면하면 변화가 무의미해지는 것이지요. 전에도 말했지만.. '좀 안다고 쏟아놓는 모습' 보다는 '알면서도 자제하고 조율하는 모습' 이 아우라를 뿜는거 같더군요. 포르쉐의 모습이 그래보입니다. ^^ 꼼꼼한 리뷰.. 유익하게 잘 봤어요.

저도 '언젠가는 911' 이라는 막연한 생각을 갖고 있지만, 카이맨의 등장으로 경계가
헷갈리기도 합니다.
10년후가 될지 20년후가 될지 모르지만, 전통의 강자위치를 포르쉐가 지켜주었음
하는 바램입니다.
달리기 성능도 중요하지만 포르쉐라인업 중에서도 카이맨의 디자인은 정말 최고입니다.
뒷태에 흐르는 곡선이 눈에 선하군요. 신형 시승기 잘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