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포르테쿱에 네오테크od+H&R 다운스프링을 장착하고 있습니다.
강남순환로를 많이 다니는데, 그 곳의 콘크리트 포장을 달릴때면 차체의 뒷부분이 바운싱이 심합니다. 그런데 아스팔트 노면에서는 거의 나오지 않습니다
그 도로만의 특성인가 싶었는데, 외곽순환로의 터널구간 콘크리트 노면을 지날 때도 동일한 현상이 있습니다.
쇼바의 노후로 인한 것인가 해서 오바홀을 진행했지만 현상은 동일합니다.
해당 증상의 이유와 해결책을 저 보다 많은 지식을 가지신 회원분들께 여쭙고 싶습니다.
포르테쿱에 네오테크od+H&R 다운스프링을 장착하고 있습니다.
강남순환로를 많이 다니는데, 그 곳의 콘크리트 포장을 달릴때면 차체의 뒷부분이 바운싱이 심합니다. 그런데 아스팔트 노면에서는 거의 나오지 않습니다
그 도로만의 특성인가 싶었는데, 외곽순환로의 터널구간 콘크리트 노면을 지날 때도 동일한 현상이 있습니다.
쇼바의 노후로 인한 것인가 해서 오바홀을 진행했지만 현상은 동일합니다.
해당 증상의 이유와 해결책을 저 보다 많은 지식을 가지신 회원분들께 여쭙고 싶습니다.
2018.02.09 21:51:45 (*.223.39.13)

콘크리트 노면이 주기적인 울렁임이 있는 경우가 있는데 서스 고유진동수와 맞아떨어져서 계속 출렁출렁출렁 하는게 아닌가 싶네요.
2018.02.10 09:15:22 (*.70.57.121)
제 경우 이번에 새로 뚫린 서울양양고속도로 터널 구간에서 상하 울렁임이 매우 심합니다. 옆에 타면 멀미할 수도 있겠다 싶었습니다.
도로가 어떤 특성이 있는건지 일반차량들은 잘 가는데 서스펜션 튜닝한 차량들은 위아래로 요동치며 가더군요
도로가 어떤 특성이 있는건지 일반차량들은 잘 가는데 서스펜션 튜닝한 차량들은 위아래로 요동치며 가더군요
2018.02.10 13:56:33 (*.43.14.99)
노면 자체가 노후화 되었거나 시공불량으로 높낮이 차가 생기면 그런 현상이 발생하네요
콘크리트 노후화 구간을 그라인딩으로 면을 새로잡은곳은 상하 널뛰기가 사라집니다
주기적으로 민원을 넣어서 공사를 하게 만드는게 방법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