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LF1.6T 타는 고동환입니다.
바야흐로 봄이네요!
어제는 봄비가 내리고, 공기가 엄청 깨끗했네요.
오일 교체시기가 된 것 같습니다.
2년간 6개월에 1번씩 순정 터보씬으로 갈아주고 있습니다.
주행패턴이 워낙 느긋한 편이고, 주행거리가 많지 않습니다.
1년에 4~5번 정도 400키로 정도의 장거리를 타고요.
평소는 주 2~3회 10키로 안쪽의 짧은 저속 주행만 합니다.
1년에 5,000키로 타기 쉽지않은 정도로 1회나, 연간 주행거리가 극히 짧고요.
주행스타일도 규정속도를 안넘기는 편입니다.
여태 NA MPI엔진만 타오던 터라, 플러그, 오일류만 잘관리하면 크게 문제는 없었는데, 직분사도 처음, 터보도 처음이다보니 관리를 어떻게 하는게 좋을지 잘 모르겠습니다.
전에는 매일 차를 끌고 다녀서 차의 이상을 몸으로 느낄수있어 관리에 도움이 되었는데, 최근엔 주 1회도 타기 어려워 차의 상태를 체감으로 느끼기 어렵네요.
국산 평범한 양산차에 디튠된 엔진이니 크게 신경안써도 될까요? 아님 이정도는 해주는 것이 좋겠다. 이런 게 있을까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LF1.6T 타는 고동환입니다.
바야흐로 봄이네요!
어제는 봄비가 내리고, 공기가 엄청 깨끗했네요.
오일 교체시기가 된 것 같습니다.
2년간 6개월에 1번씩 순정 터보씬으로 갈아주고 있습니다.
주행패턴이 워낙 느긋한 편이고, 주행거리가 많지 않습니다.
1년에 4~5번 정도 400키로 정도의 장거리를 타고요.
평소는 주 2~3회 10키로 안쪽의 짧은 저속 주행만 합니다.
1년에 5,000키로 타기 쉽지않은 정도로 1회나, 연간 주행거리가 극히 짧고요.
주행스타일도 규정속도를 안넘기는 편입니다.
여태 NA MPI엔진만 타오던 터라, 플러그, 오일류만 잘관리하면 크게 문제는 없었는데, 직분사도 처음, 터보도 처음이다보니 관리를 어떻게 하는게 좋을지 잘 모르겠습니다.
전에는 매일 차를 끌고 다녀서 차의 이상을 몸으로 느낄수있어 관리에 도움이 되었는데, 최근엔 주 1회도 타기 어려워 차의 상태를 체감으로 느끼기 어렵네요.
국산 평범한 양산차에 디튠된 엔진이니 크게 신경안써도 될까요? 아님 이정도는 해주는 것이 좋겠다. 이런 게 있을까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2018.03.17 22:19:33 (*.225.36.129)

다른분들 답변이 없어서 댓글 남깁니다
지인이 소나타 2.0T를 타는데, 차량 구입시 받은 매뉴얼을 3번이상 정독했다고 합니다. 기본 관리법은 매뉴얼에 충분히 나와있으니 그이상은 별 신경 안쓴다 하더군요...
원하시는 답은 매뉴얼 정독이라고 답해드리겠습니다
지인이 소나타 2.0T를 타는데, 차량 구입시 받은 매뉴얼을 3번이상 정독했다고 합니다. 기본 관리법은 매뉴얼에 충분히 나와있으니 그이상은 별 신경 안쓴다 하더군요...
원하시는 답은 매뉴얼 정독이라고 답해드리겠습니다
2018.03.23 13:20:11 (*.25.19.130)
직분사라 뭐뭐 해야할거 없습니다.. 주행거리도 많은 편이 아니니 차후에나 주행거리수가 많아지면 일반적인 소모품류나 교체해주시고 문제생긴것만 작업해주시면 됩니다.. 신경질적으로 까다로운 녀석도 아니니 걱정마시고 타시면 됩니다..
카본침착으로 인한 노킹이야 나중에 노킹음 날때 세정작업 한번씩만 해주시면 됩니다..
터보는 아니지만 일반 gdi 25만째 주행중입니다..
직분사라 밸브에 쌓인건 어쩔 수 없지만 피스톤 상부의 카본은 p.e.a계열 연료첨가제로도 쉽게해결할 수 있으니 간간히 한통씩 부어놓으시면 좋을듯합니다
그외에는 저도 1.6 t-gdi로 얼마전에 넘어와서 잘 모르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