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안녕하세요! 코너링에 관해 한가지 정리안되는 일이 있어서 질문드려봅니다.
전)-
기존 생각하던 개념에는 차를 최대한 언더가 나지 않게 직선으로 만들어 진입과 동시에
브레이킹후 브레이킹을 풀어나가며 cp - 악셀전개로 이어졌습니다 (교과서적인 순서?)
후)-
지금 새롭게 해본 방식에서 초가 줄은 부분이 위 개념과 꽤 다른 모션이 들어가서 난해합니다.
직선으로 가다가 핸들을 꺾어 코너 하중을 넣어주면서 동시에 브레이킹 - 풀어주면서 cp - 악셀전개로
이어나가니 회두가 더 잘되어 초가 출었습니다.
-
전자의 경우 언더를 발생하지 않아 회두를 높이려고 했던건데
후자는 고속주행중 턴을 먼져 하고 브레이킹을 밟았는데도 불구하고,
오버스피드개념같은데도 언더가 생각보다 나지않고
전자보다 훨씬 코너각도 잘나오고 잘돌아집니다.
게다가 오히려 브레이킹 답력도 전자보다 더 깊지 않았습니다.
(트레일브레이킹이 더 잘먹히는느낌)
이게 제대로 브레이킹을 하는건지 아니면 일종의 타이어빨로 얍삽이?를 쓴 방식인지 좀 궁금합니다 ㅠㅜ
계속 이런식으로 타도 되는걸까요?
차종이나 코너의 뱅킹각에 따라 차이가 있을꺼 같은데요..전륜차로 턴을 먼저했는데 언더가 나지 않는다면 과진입은 아닌거 같으십니다. 하중을 잘 컨트롤 하시는것 일수도 있겠다란 생각도 듭니다.
후자에서 코너 중 브레이크의 정도만으로도 돌아나갈 정도였다면, 이전에 브레이크의 포인트가 너무 빠르고 또 너무 많이 감속하신게 아닌가 싶네요.

어떤 코너를 공략하느냐에 따라서 후자가 더 적합할 수 도 있습니다.
모든 코너를 정식대로 돌아나갈 필요는 없습니다.
만약 특정 코너를 후자의 방식대로 돌아나갔을 때 더 빨랐다면 그 동안 정석대로 탈 팔요가 없는 코너를 정석대로 탄 경우입니다.
만약 다양한 코너들을 전부다 후자의 방식대로 돌았을 때 더 빨랐다면 평소 정석대로 탔을 때 브레이킹 포인트가 빠르고 감속을 너무 많이 한 것 같습니다. 쉽게 말하자면 차를 한계까지 못 끌어낸 느낌입니다.
후자의 방법 대로 쭉 타도 상관은 없지만 언급하신 것 처럼 타이어와 하체가 든든히 받쳐준다는 전제하에 가능한 공략법이고, 잘못하다가 한방에 예고 없이 훅 갈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전자의 경우는 코너링시 차량 컨트롤이 쉬운 장점
초는 살짝 느린 단점
후자와 같이 뒤를 던지면서 코너링 하시면
초는 살짝 빨랐지만 카운터를 쳐야할때도 있고
차량 컨트롤이 다소 어려웠습니다
안전한 진입 빠른탈출인 컨셉인 저는 전자를 쓰지만
컨트롤만 되시면 후자의 방법으로 빠른 탈출까지
신경쓰면 젤 이상적이겠네요

코너전 직선이 얼마나 되냐에 따라 다를 것 같네요. 지금 후자가 빠른 것은 진입속도가 그만큼 덜 낮춰도 되기 때문입니다. 지금 턴인 하고 나서 브레이크 밟아도 돌아나갈만큼 차가 느리기 때문에 가능한 겁니다. (혹은 코너의 R이 크기 때문에)
타이어가 버텨준다면 괜찮지 않을까요???
프론트가 언더가 심하게 난다면 모를까 그렇지 않구 타각이 적어진다면 후자가 나을듯 한데요.....
전자는 브레이크의 소모가 좀 심할것 같은 느낌이네요.
후자는 타이어의 소모가 약간 심할것 같은 느낌이구요.(약 오버루 코너를 감아나갈거라는 느낌이네요.)
뭐 전자의 방법은 정석인 방법이구 하중이 프론트에 확실히 실리긴 하지요.....
두서없이 적었지만 일단 적응만 된다면 뭐........
단 심한오버는 조심하셔야 할듯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