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FIA 디퓨저 3인방 적법 판결!!
어제 적법으로 결론이 났다고합니다.. 디퓨저 3인방 Brawn GP, Toyota, Williams는 신났겠어요..
뭐 여기서 페라리가 엄청나게 항의하는 사태도 있었다고 하던데..^^(따라하면 될것을 역시 F1차는 뚝딱뚝딱 설렁설렁 스포일러달듯이 수정되는건 아닌가 봅니다..^^)
암튼 결정적으로 더블디퓨저와 KERS(논란의 방향은 다르죠^^)가 논란이 되는 2009 시즌 F1차량의 더블 디퓨저의 원리가 아직도 잘 이해가 안됩니다..
더블덱디퓨저에 관해서 고수님의 설명 부탁드려요 첨부파일은 브런gp와 윌리엄스 디퓨저사진입니다..
어제 적법으로 결론이 났다고합니다.. 디퓨저 3인방 Brawn GP, Toyota, Williams는 신났겠어요..
뭐 여기서 페라리가 엄청나게 항의하는 사태도 있었다고 하던데..^^(따라하면 될것을 역시 F1차는 뚝딱뚝딱 설렁설렁 스포일러달듯이 수정되는건 아닌가 봅니다..^^)
암튼 결정적으로 더블디퓨저와 KERS(논란의 방향은 다르죠^^)가 논란이 되는 2009 시즌 F1차량의 더블 디퓨저의 원리가 아직도 잘 이해가 안됩니다..
더블덱디퓨저에 관해서 고수님의 설명 부탁드려요 첨부파일은 브런gp와 윌리엄스 디퓨저사진입니다..
2009.04.16 15:00:31 (*.61.121.79)

유동이 빠져나가는 구멍이 크게 봐서 2개인 것 같은데요. 한쪽은 완전한 터널이라서 하부에서 출구까지 외부유동의 간섭을 받지 않아서 유속이 처지지 않을 것 같아 보입니다. 결과적으로 하부 공기만 컨트롤하는 싱글 디퓨저보다 다운포스가 높아진다는 것. 사실 SUPER GT의 500 머신도 비슷한 아이디어를 반영하는 것 같던데...
보다 전문적인 설명은 다른 분들이 해주실 거에요. ㅎㅎㅎ
ps. 브런GP 머신이 위쪽 구멍이 제일 크네요. 크면 좋은 거구나. 단순한 저의 생각... ^^
2009.04.16 15:38:22 (*.48.34.56)

디퓨져로 향하는 공기터널 측면에 구멍이 있어서 디퓨져 중앙부분 위의 덱과 연결되어
더많은 공기를 통과 시켜 많은 다운포스를 증가시킵니다. 이걸 더블덱디퓨져 라고 부릅니다.
BGP팀의 디퓨져에 대한 3D렌더 영상이네요.
http://vbox7.com/play:9c408f41
영상을 보시면 빠른 이해가 가능합니다.
더많은 공기를 통과 시켜 많은 다운포스를 증가시킵니다. 이걸 더블덱디퓨져 라고 부릅니다.
BGP팀의 디퓨져에 대한 3D렌더 영상이네요.
http://vbox7.com/play:9c408f41
영상을 보시면 빠른 이해가 가능합니다.
2009.04.16 16:09:20 (*.232.237.179)

위에 한상현 님께서 올려 주신 동영상이 이탈리아어로 되어 있길래...
멘트를 간단히 설명 드리겠습니다.
두가지 가장 큰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그림은 동영상 보시면 이해가 될테니 간략히 말씀 드리겠습니다.
1) 다른 팀들의 디퓨저는 후륜 타이어 앞쪽의 바디가 막혀 있기 때문에 바디에 부딫히는 공기가 후륜 타이어로 바로 부딫히게 되지만. 브라운 팀의 더블 디퓨저는 바디 사이의 간격으로 흘러 들어가 타이어로 공기의 흐름이 가는 양이 적어집니다.
2) 바디와 디퓨저가 있는 사이로 들어온 공기는 위쪽으로 올라와 있는 디퓨저의 형태의 따라서 위로 치 솟거나 아니면 디퓨저의 가운데로 해서 빠져나가게 되어서, 공기 역학적으로 많은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다운포스를 직접적으로 증가 시키기 보다는 하부의 공기 흐름을 원할하게 해 주는 역할을 해서 공기의 흐름을 원할히 해 준다고 합니다.
그림만으로도 충분히 이해는 되시겠지만... 혹시나 해서 올려 드립니다.
그리고 이탈리아 멘트 하는 사람은 역시 이탈리아 사람인가 봅니다.
좀 격양 되어있는 말투네요.. 분한가 봅니다...
멘트를 간단히 설명 드리겠습니다.
두가지 가장 큰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그림은 동영상 보시면 이해가 될테니 간략히 말씀 드리겠습니다.
1) 다른 팀들의 디퓨저는 후륜 타이어 앞쪽의 바디가 막혀 있기 때문에 바디에 부딫히는 공기가 후륜 타이어로 바로 부딫히게 되지만. 브라운 팀의 더블 디퓨저는 바디 사이의 간격으로 흘러 들어가 타이어로 공기의 흐름이 가는 양이 적어집니다.
2) 바디와 디퓨저가 있는 사이로 들어온 공기는 위쪽으로 올라와 있는 디퓨저의 형태의 따라서 위로 치 솟거나 아니면 디퓨저의 가운데로 해서 빠져나가게 되어서, 공기 역학적으로 많은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다운포스를 직접적으로 증가 시키기 보다는 하부의 공기 흐름을 원할하게 해 주는 역할을 해서 공기의 흐름을 원할히 해 준다고 합니다.
그림만으로도 충분히 이해는 되시겠지만... 혹시나 해서 올려 드립니다.
그리고 이탈리아 멘트 하는 사람은 역시 이탈리아 사람인가 봅니다.
좀 격양 되어있는 말투네요.. 분한가 봅니다...
2009.04.16 16:41:01 (*.145.39.87)
우왕 정말 감사합니다.. 정말 쉽게 이해시켜주십니다.. 한편의 동영상 강의를 보는듯한 느낌^^
이 녀석 디퓨저가 별거 아닌듯 하지만 rap당 0.5초라는 엄청난 효과~~를 이제는 좀 이해하겠습니다..
이 녀석 디퓨저가 별거 아닌듯 하지만 rap당 0.5초라는 엄청난 효과~~를 이제는 좀 이해하겠습니다..
2009.04.16 17:26:19 (*.254.213.100)

이런 디퓨져를 사용할때 뒷차에 미치는 영향도 있나요? ^^
완전 엉터리 뒤죽박죽 기억인지는 모르겠지만..^^
얼핏 기억에 남아 있는 이야기로는...
이전에 큰 다운포스를 만드는 리어윙도 뒷차에 영향을 미쳤다고 들었던 것 같고,
더블덱 리퓨져를 단 차량 뒤에서 찍은 영상에서 카메라 시야를 흐릴만큼의 플로우가 보였던 것 같기도 해서요..^^
완전 엉터리 이야기면..정정 부탁드립니다.^^
완전 엉터리 뒤죽박죽 기억인지는 모르겠지만..^^
얼핏 기억에 남아 있는 이야기로는...
이전에 큰 다운포스를 만드는 리어윙도 뒷차에 영향을 미쳤다고 들었던 것 같고,
더블덱 리퓨져를 단 차량 뒤에서 찍은 영상에서 카메라 시야를 흐릴만큼의 플로우가 보였던 것 같기도 해서요..^^
완전 엉터리 이야기면..정정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