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아래글 보다가 어제 뉴스가 생각이 나서 글을 씁니다.
한국에서 승용차 중 수동의 비율이 4%에 못미친다더군요^^
이제 조금 지나면...
정말 수동차를 운전할 줄 아는게 "특기"가 될 날도 멀지 않았습니다 ㅎㅎㅎ
한국에서 승용차 중 수동의 비율이 4%에 못미친다더군요^^
이제 조금 지나면...
정말 수동차를 운전할 줄 아는게 "특기"가 될 날도 멀지 않았습니다 ㅎㅎㅎ
2009.04.18 14:20:15 (*.165.250.209)
헤에. 저는 4%안에 들어가는 사람인가요.
http://www.youtube.com/watch?v=CVEwWbtcIOo&feature=player_embedded
이 동영상 보시고 좋은 하루 보내시길.
http://www.youtube.com/watch?v=CVEwWbtcIOo&feature=player_embedded
이 동영상 보시고 좋은 하루 보내시길.
2009.04.18 14:42:21 (*.200.171.200)

아무래도 상용차들은 수동이 대부분이니 굿이 큰차이가 없을것 같군요...
물론 1톤트럭이나 승합차들의 오토비율이 올라가지만......
아무래도 연비문제가 있어 대부분은 수동으로 가는군요....
또한 상용차용 오토밋션의 내구성이 아직은 믿음을 주지 못하고 있어서
수동밋션차의 수요는 거의 고정적인 편입니다...
다만 승용차나 SUV 계열은 대부분 오토밋션으로 구매 / 유지가 최적화가 된 모양입니다...
어쩔수가 없지요... 이젠 운전을 시작하는 대부분의 연령대가 어릴때부터 수동밋션보다는
오토밋션에 눈에 익숙하지 않을까요?
저부터 오토밋션 차를 운용하면서 2명의 애들이 아빠의 운전하는 모습을 벌써 3년~5년 정도의
경험이 아무래도 차후에 오토밋션이 익숙해서져서 선택하지 않을까 합니다.....
그래서 요즘에 자동변속기 셀렉터 레버를 수동기어레버처럼 좌우로 앞뒤로 액션을 해줍니다.....
하지만 우리딸은 벌써 알더군요.....
"아빠~ 유치원버스 아저씨처럼 하네.....그런데 우리집차는 그럴 필요 없지~~~"
이런 아무래도 콘솔박스 뚜껑에 수동기어부츠랑 기어봉을 달아야 겠습니다....ㅡ.ㅡ
우리애들은 일찍부터 모터스포츠를 취미로 만들어주려는 분위기를 조성하려고 하는데.....
시작은 머든지 수동부터인데..... 조금은 잘못한 것 같네요...
물론 1톤트럭이나 승합차들의 오토비율이 올라가지만......
아무래도 연비문제가 있어 대부분은 수동으로 가는군요....
또한 상용차용 오토밋션의 내구성이 아직은 믿음을 주지 못하고 있어서
수동밋션차의 수요는 거의 고정적인 편입니다...
다만 승용차나 SUV 계열은 대부분 오토밋션으로 구매 / 유지가 최적화가 된 모양입니다...
어쩔수가 없지요... 이젠 운전을 시작하는 대부분의 연령대가 어릴때부터 수동밋션보다는
오토밋션에 눈에 익숙하지 않을까요?
저부터 오토밋션 차를 운용하면서 2명의 애들이 아빠의 운전하는 모습을 벌써 3년~5년 정도의
경험이 아무래도 차후에 오토밋션이 익숙해서져서 선택하지 않을까 합니다.....
그래서 요즘에 자동변속기 셀렉터 레버를 수동기어레버처럼 좌우로 앞뒤로 액션을 해줍니다.....
하지만 우리딸은 벌써 알더군요.....
"아빠~ 유치원버스 아저씨처럼 하네.....그런데 우리집차는 그럴 필요 없지~~~"
이런 아무래도 콘솔박스 뚜껑에 수동기어부츠랑 기어봉을 달아야 겠습니다....ㅡ.ㅡ
우리애들은 일찍부터 모터스포츠를 취미로 만들어주려는 분위기를 조성하려고 하는데.....
시작은 머든지 수동부터인데..... 조금은 잘못한 것 같네요...
2009.04.18 14:54:48 (*.214.157.43)

제 주위를 둘러봐도 미션의 대략적인 메커니즘조차 모르고 운전하는 사람이 대부분입니다.
수동운전을 해봤다면 느낌정도는 쉽게 알수있는데 말이죠;;;
오토만 몰아본 친구차에 얻어타서 미시령을 내려오던중 "2단으로 엔진브레이크를 쓰면서 주행해봐" 라고 말했더니,
"왜? 그냥 브레이크 밟고 내려오면 되지~! " 라는 말에...바로 꼬리 내렸습니다.
매번 설명을 해줬지만 돌아오는 대답은 한결같고, 왠지 엔진브레이크는 자동차 매니아나 쓰는 기술처럼 생각하더군요ㄷㄷ;
수동운전을 해봤다면 느낌정도는 쉽게 알수있는데 말이죠;;;
오토만 몰아본 친구차에 얻어타서 미시령을 내려오던중 "2단으로 엔진브레이크를 쓰면서 주행해봐" 라고 말했더니,
"왜? 그냥 브레이크 밟고 내려오면 되지~! " 라는 말에...바로 꼬리 내렸습니다.
매번 설명을 해줬지만 돌아오는 대답은 한결같고, 왠지 엔진브레이크는 자동차 매니아나 쓰는 기술처럼 생각하더군요ㄷㄷ;
2009.04.18 15:49:29 (*.213.102.12)

제가 어렸을 때 처음 본 오토차량이 87년 즈음인가 바둑학원 앞에
세워져있던 포니2 오토였습니다. T자 모양으로 생긴 레버가
후크선장의 갈퀴손과 오버랩 되어 '저차의 주인은 오른손에 갈퀴손
이 달려있구나...'라고 생각했었습니다. ㅋ 손이 불편하신 분들만
모는 특수차량인 줄 알았습니다^^
(아...저는 표세원입니다.)
세워져있던 포니2 오토였습니다. T자 모양으로 생긴 레버가
후크선장의 갈퀴손과 오버랩 되어 '저차의 주인은 오른손에 갈퀴손
이 달려있구나...'라고 생각했었습니다. ㅋ 손이 불편하신 분들만
모는 특수차량인 줄 알았습니다^^
(아...저는 표세원입니다.)
2009.04.18 16:23:58 (*.35.111.139)

이렇게 십여년정도 지나고나면, 제작사는 수동생산을 아예안하고, 필요한 사람을 위해 컨버젼키트로나 공급하는 시절이 오지나 않을까 걱정됩니다.--;..맘에 있는 수동차들은 얼렁얼렁 사 모아두는게 좋을 것 같다는 생각도 들구요.
KBS기사를 보니 수동변속기차량에 대한 취득세등의 면세혜택등을 줘야 된다는 의견도 있네요. DSG를 비롯한 수동기반 반자동변속기까지 포함해서 수동변속기에 대한 혜택을 주면 어떻게냐는 이 의견 매우 바람직하단 생각입니다.
KBS기사를 보니 수동변속기차량에 대한 취득세등의 면세혜택등을 줘야 된다는 의견도 있네요. DSG를 비롯한 수동기반 반자동변속기까지 포함해서 수동변속기에 대한 혜택을 주면 어떻게냐는 이 의견 매우 바람직하단 생각입니다.
2009.04.18 17:23:33 (*.64.239.151)
제가 처음본 오토차량이 스텔라에 달린 오토미션 이었습니다. 저를 포함 아파트 단지 꼬마들이 한참을 구경했지요. "전격Z작전의 킷트에 달린 장치다!"
2009.04.18 19:29:28 (*.133.99.214)

어쩔 수 없는 세월의 변화같습니다. 저 어렸을 때만 해도 웬만한 차는 시동걸 때 T자형 작대기 뽑아서 쵸크밸브 닫고 시동거는게 일반적이었는데 지금은 그게 있었는지도 모르는 사람도 많았죠. 스텔라 시절부터 오토쵸크 기능이 달려서 그냥 시동걸었으니까요. 트럭은 90년대초 면허시험 볼 때만해도 쓰였던 타이탄은 쵸크밸브가 달렸었죠.
2009.04.18 20:19:19 (*.46.47.28)

히야.. 그래도 대한민국 4%라니까 기분은 으쓱 하군요.
근데 전 지금도 스틱 운전한다고 하면 사람들이 특기 듣는것처럼 반응하더라구요 ^^;
근데 전 지금도 스틱 운전한다고 하면 사람들이 특기 듣는것처럼 반응하더라구요 ^^;
2009.04.18 22:29:30 (*.36.101.180)

수동 타는게 전혀 부끄러웠던적이 없는데, 대리운전 시킬 때는 좀 다릅니다.
클러치 망가질까봐 걱정반, 대리기사에게 왠지모를 미안함 반 그러네요.
클러치 망가질까봐 걱정반, 대리기사에게 왠지모를 미안함 반 그러네요.
2009.04.18 22:39:34 (*.237.132.194)

이젠 시내버스도 오토로 많이 교체되더군요 시내버스는 오토면 기사분은 훨씬편하실듯..
저희집은 제차와 부모님차 모두 수동이랍니다 여태까지 오토차 사본적이 없네요..ㄷㄷ
어머니도 20년째 수동 아버지도 수동 저도 수동 .. 수동가문이네요ㅎㅎ
저희집은 제차와 부모님차 모두 수동이랍니다 여태까지 오토차 사본적이 없네요..ㄷㄷ
어머니도 20년째 수동 아버지도 수동 저도 수동 .. 수동가문이네요ㅎㅎ
2009.04.18 23:22:59 (*.67.92.226)

전에 1세대 코베트를 본 기억이 나는군요. 50년대 1세대 모델인데 자동기어더군요. 어 저 시대에 자동? 하고 들여다 보니 자동 2단 기어이더라구요. 1,2로 적혀있지 않고 Low, High로 적혀 있었더랬지요.
2009.04.18 23:49:40 (*.108.205.109)

2007년, 승용차 기준으로 수동 비율은 3.4%입니다.
참고로,
2005년 5.9%
2003년 11.2%
2001년 32.6%
1999년 44.2%
너무 짧은 시간 동안 급격한 자동화(?)가 진행되었죠..
참고로,
2005년 5.9%
2003년 11.2%
2001년 32.6%
1999년 44.2%
너무 짧은 시간 동안 급격한 자동화(?)가 진행되었죠..
2009.04.19 00:19:10 (*.49.199.225)

4 % 라고 하니 웬지 대한민국 상위 4% 에 속한것 같아 뿌듯함이 ㅎㅎ ^^;
제차가 수동이란게 넘 행복합니다 (T_T )
제차가 수동이란게 넘 행복합니다 (T_T )
2009.04.19 00:57:54 (*.67.101.80)

저희 아버지께선 늘그막에 수동 타실꺼라고...
얼마전 그랜드 카니발 수동을 구입하셨습니다 ㅎㅎㅎ.
어머니께서도 제 차로 수동 연습을 다시 하고 계시고(당연히 수동면허가 있으심) 저도 또 수동차를 한대 더 살 계획이라 집안에 수동바람이 부네요. 동생도 수동을 곧잘 몰거든요 ^^
얼마전 그랜드 카니발 수동을 구입하셨습니다 ㅎㅎㅎ.
어머니께서도 제 차로 수동 연습을 다시 하고 계시고(당연히 수동면허가 있으심) 저도 또 수동차를 한대 더 살 계획이라 집안에 수동바람이 부네요. 동생도 수동을 곧잘 몰거든요 ^^
2009.04.19 05:12:02 (*.33.56.35)

오토면허가 생긴뒤에 가속화 된 것이겠지요.. 휴..
렌트카로 유럽여행할 때, 저를 제외한 3명이 모두 오토면허여서 죽을둥 살둥 끝까지 혼자 운전했던 기억이 있네요..
그나저나 어쩌다 오토한정 면허라는 것이 생겼을까요?
도심정체를 가중시키는....
렌트카로 유럽여행할 때, 저를 제외한 3명이 모두 오토면허여서 죽을둥 살둥 끝까지 혼자 운전했던 기억이 있네요..
그나저나 어쩌다 오토한정 면허라는 것이 생겼을까요?
도심정체를 가중시키는....
2009.04.19 10:07:10 (*.35.46.192)

대한민국 4%에도 못들어오는군요..ㅋㅋ
그래도 오토가 너무 편한데.. ^^
전2500cc이하는 수동 초과 는 오토..로 탄다라는.. 나름공식이..
그래도 오토가 너무 편한데.. ^^
전2500cc이하는 수동 초과 는 오토..로 탄다라는.. 나름공식이..
2009.04.19 10:27:45 (*.51.214.46)

교통체증땐 다소 불편할수도 있지만 저 같은경우는 수동이 내가 차를 직접 제어하고있다는 느낌이 더 들어서
좋아하는편입니다 그러고보니 고급세단빼고는 경차부터 중차량까지 전부다 수동을 몰아본거같군요 ^^
좋아하는편입니다 그러고보니 고급세단빼고는 경차부터 중차량까지 전부다 수동을 몰아본거같군요 ^^
2009.04.19 12:45:10 (*.177.80.131)

수동 오토 번갈아 타는데. 수동을 못해서 스트레스 받는것도 아닌데 편하긴 오토가 편해서... 자꾸 오토만 타게 되네요 -_-;
2009.04.19 16:02:08 (*.46.122.32)

수동은 차가 주인과 대화하려는 느낌이고, 반면 오토는 차가 '걍 내가 알아서 할게 걱정마' 라고 일방적으로 통보하는 느낌입니다. 그래서 저는 수동이 좋네요..
저 정도 수치일줄이야.. 쇼킹 합니다.
달리기 좋은 차량들도 자동 미션만 출고될까봐 걱정이 앞서네요.
(물론 지금도 정식 수입 되는 차량들은 대세를 따르고 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