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E60 M5가 처음등장했던 2005년도에 BMW의 M엔진으로 NA이외의 다른 초이스가 생길 것이라는 생각을 했던 사람은 거의 없었을 것입니다.
그만큼 BMW하면 그것도 M하면 자연흡기 엔진, 그리고 고회전이라는 이미지가 너무 강했던 시기입니다.
E60 M5로 접어들면서 SMG3변속기라는 수동기반 자동변속기가 실렸고, 수동이 사라진 것이라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사실 북미에 6단 수동변속기 사양이 수출되었습니다.
재미있는 것은 오히려 유럽에서는 수동변속기 사양을 구입할 수 없었고, 북미에만 판매되었지요.
이 부분은 F10 M5도 마찬가지로 미국에는 수동변속기가 드물게 판매되었습니다.
F10 M5가 터보 엔진을 장착한 4.4리터 엔진이 탑재된 것은 M디비젼 입장에서는 출력에 대한 부담이 사라지고 향후 제품이 업그레이드시 상당히 편안한 위치에서 모든 것이 컨트롤됨을 의미합니다.
최신형 G30 M5에도 같은 엔진을 사용한다는 것만 보면 어찌보면 4.4 트윈터보 엔진의 완성도가 그만큼 좋다 뭐 이런 뜻보다는 신형 블록을 개발하는 비용을 줄이고 이미 검증한 엔진의 완성도를 높인다는 그런 의도가 좀 더 현실적이라고 봅니다.
아무튼 V10 5.0리터에 M6와 사이좋게 나누어 사용하던 전용엔진의 개념도 F10에 와서는 X5, X6, 750iL등의 차종에 이용되었던 4.4리터 트윈터보와 블록이 같으니 그만큼 범용성의 성격을 가졌지만 출력만 차별을 둔 엔진으로 바뀌어 엔진 자체의 희소성은 대폭 낮아졌습니다.
대세가 아무리 환경을 위한다고는 하지만 출력에 대한 갈증을 완전히 무시하는 형태로 가는것이 아니기 때문에 절대출력의 크기는 수퍼 세단의 현재와 미래에 여전히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E60 M5가 초고회전을 돌리는 엔진이라 실용구간의 토크가 작아 빠른만큼 토크감이 없는 점을 감안한다면 F10 M5의 가속감은 약간의 공포심도 줄 정도로 엄청난 가속감을 전해줍니다.
물론 터보의 활성화로 플랫토크를 그리는 구간이 지난 이후의 드라마가 없다는 터보 엔진의 약한 감수성을 감안해야겠지만 그래도 7200rpm한도 기준 6000rpm으로 정속하다가 밟아도 상당한 펀치를 여전히 품고 있다는 점은 제법 유연한 터보엔진으로 볼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터보 엔진은 열에 대한 제어가 많고 복잡한 로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터빈온도 상승에 의한 파워제어 현상이 잘 알아차리지 못하게 들어오는 경우가 많아 칩튜닝한 F10 M5들이 의외로 미친듯이 속도가 올라 계기판을 쉽게 꺽을 수 있을 것 같아 보이지만 330km/h이상을 달릴 수 있는 차들이 한 때 잘 없었던 것도 이러한 순정 제어로직에 대한 복잡성 때문입니다.
반면 E60 M5는 가속력이나 토크감에서는 F10 M5에 비교가 되지 않지만 최고속만큼은 아주 확실해 700마력대의 차들이나 가능한 계기판상 340km이상의 속도까지 과급기 없이도 가능합니다.
F10 M5가 ECU튜닝으로 700마력대에 쉽게 들어갈 수 있고, 이런 차들의 가속감은 3단아니라 4단에서 조차 노면이 좋지 않으면 차가 좌우로 심하게 흔들릴 정도로 미친 가속력을 발휘하는데, 사실 F10의 샤시의 완성도가 역대 M5와 비교하면 좀 실망 스러운 수준이라 어떤면에서는 노면에 너무 민감하고 상하 스트록시 접지력의 변동이 심한 단점이 있습니다.
E60 M5는 E34때부터 숙성되어온 느낌의 연장선상이라 엔진의 파워와 토크 대비 이러한 출력을 압도할 정도로 안정적인 주행이 매력입니다.
ECU튜닝으로 30마력 정도 올리는 것이 전부이고, 수퍼차져를 올리면 650~700마력까지 가능한데 경험상 수퍼차져가 장착된 E60 M5는 정말 무시무시할 정도로 빨라 F10 M5의 가속력이 전혀 부럽지 않는 수준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실내에 스피커가 장착된 F10 M5의 가짜 사운드와 비교하면 E6 M5의 사운드는 순정이라해도 엔진앞쪽에서 들려오는 사운드와 뒤쪽 사운드의 조화가 아주 좋습니다. 배기 튜닝까지 할 것도 없이 중간의 레조네이터만 제거해도 페라리톤의 사운드가 가능해 억제된 사운드를 약간만 풀어주어도 멋진 라이브 연주가 가능합니다.
이제는 풀타임 4륜구동으로 바뀐 F90 M5와 비교하면 F10 M5의 후륜구동 방식은 드라이버들의 역량에 주행의 완성도가 많이 좌우받을 수 있다는 점은 역시 모두 갖춘 것보다는 뭐하나를 일부러 빼놓은 것이 재미면에서 나을 수 있다고 봅니다.
두대의 차가 시대의 흐름에 BMW가 표현할 수 있는 최대치를 보여준 것은 틀림없으며, F10 M5의 정말 말도 안되는 가속감에 ECU튜닝까지 곁들여 감당하기 버거울 정도의 토크를 너무나 쉽게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은 인생에서 한번쯤 700마력대의 차를 소유하겠다는 목표를 가질 경우 너무나 많은 중고 매물로 인해 쉽게 꿈을 이룰 수 있게 해줍니다.
E60 M5는 이런 강력한 토크감과는 거리가 있지만 아주 정밀하고 정교한 기계의 느낌이 강하고 초고속에서 끝도 없이 속도가 올라가는 끈기와 어떠한 속도대 얼마의 액셀개도에도 미세하게 반응하고 그 느낌을 정직하게 전해주는 그런 차입니다.
각자 취향에 따라 호불호가 갈릴 수 있을만큼 두대의 매력을 어느 한쪽을 기준으로 일방적으로 평가할 수 없습니다.
중요한 것은 두대 모두 경험하면 M5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진다는 점이고, 집에 두대의 차가 있다해도 항상 타지 않는 반대편 차를 그리워할 만큼의 차라는 점입니다.
-testkwon-

f10 M5를 타볼수 있었는데요. 가속력 하나 정말 일품이더라구요. 정말 미친듯이 나가는걸 경험해 볼 수 있었습니다.
배기사운드에 감동이 없는것 말곤 모든부분에서 만족하고 있습니다.
지난주에 F10 M5순정 배기를 중고로 하나 더 구해서 레조를 제거하고
앤드 직관화 작업(일명 배따기)해서 장착했는데 볼륨자체는 큰데 그냥 소음같은 느낌입니다.
V10에 밀텍 캣백을 꽂앗을때처럼 닭살 돋는 사운드가 그립네요.
그렇지만 달리기 성능에 있어서는 만족도가 매우 높습니다.
도로위에서 자신감(어떤차와 달려도 지지않을것 같은 기분)이 넘치고 또 실제로 플랫토크이긴하나 그구간 내에서도 힘을 제대로 받는 영역이 있는데 그영역에서 차가 순간이동을 하는듯한 가속력을 보여줍니다.
실제로 순정기준 파나메라터보s, 신형 CTS V보다 빠르고
R35 GTR(후기형), 991 GT3RS와 롤링하면 완전 똑같이 갑니다.
리밋이 270에 걸리는데 너무 빨리 도달해서 달리다 맥이 빠지기는 기분입니다.
성격상 사제 칩튜닝, 맵핑은 고려하고 있지않고
보증이되는 정식센터 리밋 해제정도는 하고싶은데 가격(300만원)이 납득이 되질않아 망설이는 중입니다.



N63계열엔진, 그리고 그뿐만 아니라 흡배기 역전형 트윈터보 엔진들 모두가 엄청난 열문제에 개조/튜닝이 쉽지가 않습니다. B58같은 직렬엔진은 인터쿨러 파이핑을 없에고 수냉 차지쿨러로 바꾼것이 신의 한수입니다만, S63같은경우는 유지보수의 엄청난 난이도 증가와 코스트 상승은 물론이고, 터빈사이즈 변경같은 튜닝작업의 제한때문에 1000마력대는 진입이 불가능에 가깝다고 봅니다.
본문에 말씀하셨듯이 BMW 터보엔진들이 열용량에 따라 출력을 제어하기때문에 기온이 낮고 냉각이 이상적일때는 카달로그상 스팩을 뛰어넘는 가속을 보여주지만 일단 열이 차올라 처지기 시작하면 상당히 처지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한껏 웜업이 된 상태에서 후드를 열어보면 e60의 S85는 그래도 견딜만 하지만 N63/S63같은경우는 들여다보긴 커녕 똑바로 쳐다보기도 힘들정도의 열방출량에 경악하게됩니다. 이정도면 "이거 수냉 차지쿨러가 달린들 흡기온이 과연 억제가 가능한가" 하고 의문이 들 정도지요.
이부분에 있어서 약간의 제조사 업계의 비밀이 숨어있는데, 최신 배기가스 요구기준을 통과하기 위해서 엔진의 웜업이 최대한 빨라야한다는것과, 엔진블럭이 열을 최대한 오랫동안 머금고 있어야한다는 것과, 동시에 성능과 안정성을 위해선 최대한 열의 방출이 수월해야 한다는 요구가 부딧혀 딜레마가 됨으로서, 엔진구조가 복잡해질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그래서 요즘의 트랜드는 엔진의 장기적 안정성을 포기하고 차라리 추가 장치와 로직이 들어가더라도 1: 성능경쟁에서 밀리지 않고/ 2:배기가스 기준을 최대한 여유롭게 통과하며/3: 수명은 최소한 보증기간동안만 보장되도록 - 만드는것이 추세입니다.
이러다보니 인젝터나 각종 호스, 배선 라인등의 수명이 걱정될수밖에 없고 또 실재로 문제가 잦은 편입니다. 또 구형 N시리즈 8기통에 비해 실린더헤드나 타이밍체인작업의 난이도가 대폭 상승해 공임시간부터가 1.5배이상 들어가는 면도 무시할수 없습니다.
요즘들어 F10을 비롯한 N63계열 엔진들이 연식이 차면서 심심찮게 엔진문제로 입고가 되기 시작하는데, 거의 전용 리프트에 작업실이 필요할 정도로 신경을 써야하다보니 차를 받기가 망설여질때가 많습니다. 그러다보니 저는 개인적으로 흡배기 역전형 V엔진들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이지만 테크니션이 아닌 오너/드라이버의 입장에서는 또 다를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좋은 의견과 정보 감사합니다. 저 역시 흡배기 역전형 엔진에 대해서 긍정적으로만 보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열에 대해 지나치게 민감한 부분도 여름에 달려보면 확연한 출력감의 차이로 불안한 느낌이 들 때도 있습니다.
여름 주행후 후드 열었을 때의 체감적 열의 양은 C5 RS6만한 차가 없었던터라 이차의 경우 여름에 주행하고 세워두면 엔진열의 실내 유입도 엄청날 정도입니다.
그래도 RS6는 한여름에 300km/h를 넘나들어도 열제어에 대한 부담이나 냉각수, 오일온도의 제어가 거의 완벽한 엔진이어서 달리면서 걱정을 했던 적이 거의 없었죠. 여름에 과하게 주행해야하는 상황에서 RS6쪽이 M5보다 훨씬 심리적인 안심감이 크게 와닿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언급하신데로 요즘의 배기가스 규제와 초고성능을 동시에 만족시키게 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 엔진의 복잡성과 내구성 약화로 이어지는 상황이라 앞으로 어떤 문제점들이 구체적으로 불거질지 예의 주시해야하는 것도 이미 한계성과 문제점 그리고 해결방안들이 모두 드러나있는 구형 고성능 엔진과의 차이점인 것 같습니다.
별거 아닙니다만.. BMW M CAR의 작명법이 바뀌었더군요.
G30 M5 → F90 M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