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기태님 덕분에 DISI엔진에 대해 정말 신비로움을 느끼면서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실은 아직도 완벽히 이해가 안되서 계속 머릿속으로 되새기고 있습니다;;;)


위의 사진들은.. 글을 읽다가 문득 생각나서 다시 찾아본건데요..

2005년 서울모터쇼때 현대자동차에서 전시한 클릭 초저연비차량 입니다.
그 당시에는 자동차를 한참 배우고 있을 때라서 이게 가솔린인지? 디젤인지? 솔직히 그냥 넘겨봤었습니다..

당시 고등학생일 때인데, 학교에서 직분사(GDI라고 표현하더라구요)에 대해 공부하면,
단순히 실린더 내에 직접 분사해서 효율이 좀 더 좋다~ 라는 단순한 내용 뿐이어서
신비로움이나 관심이 없었던거 같습니다... 
(생각해보면 학교에서 배우지 못한것들을 이곳에서 배울 수 있어서 영광입니다^-^)


(아직은 이해가 많이 부족하지만^^;;) 직분사에 대해서 조금 더 전문적으로 알고,
생각하게 되니까 이것이 다시금 궁금해지네요..

가솔린이라고 하기에는 위의 제원상의 토크가 다소 높은게 머릿속을 좀 혼란스럽게 하지만요;;
단순히 출력이나 토크의 피크점 rpm만 보면 디젤엔진의 성격으로만 보이는데요..

DISI엔진에서는 고회전으로 가면 출력이 나오기 힘들다는 글을 보고나니까,
또, CRDi와 같은 문구가 없어서 가솔린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문득 들었습니다.(조금 엉뚱한가요? ^-^;;)

가솔린 1.1 직분사 엔진에 연비가 무려 32km/L나 된다면, (문짝에 크게 Three Liter Car 라고도 붙여 놓았습니다;;)

현대에서 준비하는 하이브리드 차량보다 더 월등한데 이 엔진(차량)을 2005년 모터쇼 이후의 전시회에서는
볼 수 없었던걸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물론 최근에도 없네요^^;;


지금에서야 보면 경차와 하이브리드를 뛰어넘는 기술이 아닌가 싶은데요..
수면 아래로 가라앉은거 보면 어떤 이유가 있는것 같아 궁금하기도 하구요...

혹시 이 엔진(기술)에 대한 스토리를 조금이라도 더 알고계신분이 계시지 않을까 싶어서 글 올려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