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사흘간 아이오닉 일렉트릭을 타 보았습니다.
평소 타는 차는 유럽형 카렌스rp 1.6 수동입니다.
6단 수동 변속기와 1.6 가솔린 엔진을 달래가면서 도로 흐름에 맞추어 80km/h까지 가속하는것이 나무를 베어와서 불을 지피고 밥을 해먹는거라면, '밧데리차' 로 같은 속도에 도달하는건 전자렌지에 햇반 돌리는것과 같았습니다.
신호대기후 튀어나가는 a7 55tdi를 따라가 보았는데 그닥 벌어지지 않더군요. 시내에서 내연기관 차량들과 함께 달리는건 러버콘 사이를 누비는 느낌입니다. 무슨 일 있었어? 하는 식으로 속도를 붙이고 돌아나가고 범프를 넘습니다. 스트레스가 없고 적당히 피드백이 오니 거동만큼은 상당한 고급차의 느낌.
가끔 타는 rx400h(al10)와 비교해도 모터소음이 현저히 낮았습니다. 신형이 좋긴 좋은듯. 에너지세이버 타이어가 너무 후지고 시끄러워서 카렌스에 끼워놓은 미쉐린 프라이머시4가 그립긴 했습니다.
의외로 편도1차선 국도에서 추월하는건 좀 무서웠습니다. 내연기관차는 다운시프트를 하고 회전수가 올라갈수록 힘이 붙는걸 느끼면서 추월하는데, 이놈은 그런 변화가 없으니 가속이 안되는듯한 느낌이 들어서 적극적으로 추월해야하는 상황에서는 겁이 났습니다.
전기차를 타보기 전에 밧데리차라는 것은 타미야 장난감이 아닌가? 구글도 잘 만들겠지. 라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구동계의 드라마'를 느끼는건 가속상황에 한정된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나머지 상황 - 잘 돌고 멈추고, 견고하게 조립하고, 필요하면 안전하게 부서지고 하는건 완전히 다른 얘기. 즉 다이슨에겐 경험이 전무한 영역입니다.
자동차 전문기업이 아니라면, 모터와 밧데리관리 이외의 나머지 분야를 기존 기업처럼 잘 하기는 힘들 것 같습니다. 심지어 티볼리조차 평소엔 탈만하지만 한계에선 어이없는 거동을 보이니까요. 애플은 제품을 경험으로 접근하니까 그걸 알고 포기한게 아닐까요.
평소 타는 차는 유럽형 카렌스rp 1.6 수동입니다.
6단 수동 변속기와 1.6 가솔린 엔진을 달래가면서 도로 흐름에 맞추어 80km/h까지 가속하는것이 나무를 베어와서 불을 지피고 밥을 해먹는거라면, '밧데리차' 로 같은 속도에 도달하는건 전자렌지에 햇반 돌리는것과 같았습니다.
신호대기후 튀어나가는 a7 55tdi를 따라가 보았는데 그닥 벌어지지 않더군요. 시내에서 내연기관 차량들과 함께 달리는건 러버콘 사이를 누비는 느낌입니다. 무슨 일 있었어? 하는 식으로 속도를 붙이고 돌아나가고 범프를 넘습니다. 스트레스가 없고 적당히 피드백이 오니 거동만큼은 상당한 고급차의 느낌.
가끔 타는 rx400h(al10)와 비교해도 모터소음이 현저히 낮았습니다. 신형이 좋긴 좋은듯. 에너지세이버 타이어가 너무 후지고 시끄러워서 카렌스에 끼워놓은 미쉐린 프라이머시4가 그립긴 했습니다.
의외로 편도1차선 국도에서 추월하는건 좀 무서웠습니다. 내연기관차는 다운시프트를 하고 회전수가 올라갈수록 힘이 붙는걸 느끼면서 추월하는데, 이놈은 그런 변화가 없으니 가속이 안되는듯한 느낌이 들어서 적극적으로 추월해야하는 상황에서는 겁이 났습니다.
전기차를 타보기 전에 밧데리차라는 것은 타미야 장난감이 아닌가? 구글도 잘 만들겠지. 라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구동계의 드라마'를 느끼는건 가속상황에 한정된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나머지 상황 - 잘 돌고 멈추고, 견고하게 조립하고, 필요하면 안전하게 부서지고 하는건 완전히 다른 얘기. 즉 다이슨에겐 경험이 전무한 영역입니다.
자동차 전문기업이 아니라면, 모터와 밧데리관리 이외의 나머지 분야를 기존 기업처럼 잘 하기는 힘들 것 같습니다. 심지어 티볼리조차 평소엔 탈만하지만 한계에선 어이없는 거동을 보이니까요. 애플은 제품을 경험으로 접근하니까 그걸 알고 포기한게 아닐까요.
2018.07.13 19:46:29 (*.223.21.44)
자동차와 자동차 문화를 얼마나 이해하고 있는지도 한 몫 하는 것 같습니다.
피닌파리나가 전기차 개발을 한다고 했을 때에는 모두가 기대한것처럼요.
피닌파리나가 전기차 개발을 한다고 했을 때에는 모두가 기대한것처럼요.
2018.07.13 20:03:35 (*.211.162.82)
골프 gtd팔고
쉐보레 볼트ev구매해서 타고있는데
타면탈수록 재미지다는 느낌입니다ㅋ
시속 30까지 초기가속은 바이크 타는 느낌이라
신호대기시 맨앞에만서면 밟게 되네요ㅋㅋㅋ
게다가 엄청나게 저렴한 연료비는 덤이구요
매주 주말마다 저렴한 연료비때문에 어딘가
나가게 된다는건 단점이자 장점이 될수도 있겠네요ㅋ
쉐보레 볼트ev구매해서 타고있는데
타면탈수록 재미지다는 느낌입니다ㅋ
시속 30까지 초기가속은 바이크 타는 느낌이라
신호대기시 맨앞에만서면 밟게 되네요ㅋㅋㅋ
게다가 엄청나게 저렴한 연료비는 덤이구요
매주 주말마다 저렴한 연료비때문에 어딘가
나가게 된다는건 단점이자 장점이 될수도 있겠네요ㅋ
2018.07.14 06:09:36 (*.58.45.187)

사실 자동차 산업 초기에는 전기 자동차들이 더 대중적이었죠.
그냥 전기 자동차가 발전을 못하는 이유는, 충전에 시간이 걸린다는 점이 가장 큰 것 같습니다.
가솔린이야 그냥 주유소에서 2분 안에 주유가 가능하지만 배터리는 그렇지 않으니까요.
저는 나머지 분야야 그냥 보통 자동차 제조사처럼 외부외주 주문해서 장착 해 만들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냥 전기 자동차가 발전을 못하는 이유는, 충전에 시간이 걸린다는 점이 가장 큰 것 같습니다.
가솔린이야 그냥 주유소에서 2분 안에 주유가 가능하지만 배터리는 그렇지 않으니까요.
저는 나머지 분야야 그냥 보통 자동차 제조사처럼 외부외주 주문해서 장착 해 만들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2018.07.14 11:11:19 (*.186.117.34)
95%정도는 누구나 다 만들수 있어도, 5%의 "감성"영역은 신생 회사들이 따라하기 힘든것 같습니다.
전기차도 내연기관이 달려있지 않고 모터와 베터리만 있지만, 그래도 "자동차"의 범주에 들어가니까요.
전기차도 내연기관이 달려있지 않고 모터와 베터리만 있지만, 그래도 "자동차"의 범주에 들어가니까요.
2018.07.14 15:54:57 (*.232.160.168)

말씀대로인것 같습니다. 원하든 그렇지 않든 결국 전기차가 점점 내연기관을
밀어낼테고, 결국 익숙해져야 하겠죠
전통과 보수를 밀어낸다는 측면에서 볼 때 오토매틱변속기차가 창궐(ㅎㅎ)하면서
느낀 카매니아들의 한탄과 조금은 교차하는 것이 있지 않나 싶긴해도
심장은 바뀌지만, 그래도 차는 차다 라고 생각하고 싶습니다.
2018.07.14 19:33:09 (*.148.181.227)

어차피 자율주행시대가 되면 운전재미나 감성같은 것들이 아무 소용 없는 시대가 되지 않을까요?
그때되면 현기가 1등 먹을지도요..;;
그때되면 현기가 1등 먹을지도요..;;
2018.07.14 23:08:03 (*.36.142.220)
제가 요새 자율주행에 푹 빠져서 애용합니다. 아주 아주 많이 애용합니다. 집 구석에 수동 대배기량도 있어 가끔 몹니다만, 업무의 영역에서는 자율주행이 되는 차량이 아주 큰 도움이 되더라고요.
업무상 운행은 약속시간 지키기와 안전이 가장 큰 문제이고, 운전 재미는 크게 생각하지 않았었습니다. 재미는 주말에 보면 되니까요. 덕분인지 별 불만없이 타고 있습니다. 다만 자율주행 하다가도 수동주행 자주 전환하는데, 그 때를 위하여 재미진 차에도 좋은 자율주행이 탑재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업무상 운행은 약속시간 지키기와 안전이 가장 큰 문제이고, 운전 재미는 크게 생각하지 않았었습니다. 재미는 주말에 보면 되니까요. 덕분인지 별 불만없이 타고 있습니다. 다만 자율주행 하다가도 수동주행 자주 전환하는데, 그 때를 위하여 재미진 차에도 좋은 자율주행이 탑재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래서 테슬라가 영... 그렇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