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어제 수동 젠쿱을 인수해서 몰아봤습니다.
수동차량을 처음 운전하는 거라 엔진도 여러번 꺼뜨렸지만,
고알피엠 써가면서 가속하는 것이 너무 재미있었습니다.
그런데 다운시프트 방법에 대해서 아직 잘 모르겠네요.
다운시프트 할 때 기어변속과 rpm 보정 순서가 궁금합니다.
1. rpm 보정(악셀 밟기) -> 클러치 누르고 ->기어변속 -> 클러치 떼기
2.클러치 누르고 -> 기어변속 -> rpm 보정(악셀 밟기) -> 클러치 떼기
3. 클러치 누르고 -> rpm 보정(악셀 밟기) -> 기어변속 -> 클러치 떼기
위의 세가지 방법 중 어떤 방법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어제 수동 젠쿱을 인수해서 몰아봤습니다.
수동차량을 처음 운전하는 거라 엔진도 여러번 꺼뜨렸지만,
고알피엠 써가면서 가속하는 것이 너무 재미있었습니다.
그런데 다운시프트 방법에 대해서 아직 잘 모르겠네요.
다운시프트 할 때 기어변속과 rpm 보정 순서가 궁금합니다.
1. rpm 보정(악셀 밟기) -> 클러치 누르고 ->기어변속 -> 클러치 떼기
2.클러치 누르고 -> 기어변속 -> rpm 보정(악셀 밟기) -> 클러치 떼기
3. 클러치 누르고 -> rpm 보정(악셀 밟기) -> 기어변속 -> 클러치 떼기
위의 세가지 방법 중 어떤 방법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2018.07.31 15:13:27 (*.62.22.148)

변속과 레브매칭이 순간적으로 동시에 일어나구요..
3.이 좀 더 가까운 것 같습니다.. 저단 기어 들어가기전에 회전수 보정이 들어가야 기어가 매끄럽게 잘들어갑니다..
3.이 좀 더 가까운 것 같습니다.. 저단 기어 들어가기전에 회전수 보정이 들어가야 기어가 매끄럽게 잘들어갑니다..
2018.07.31 15:14:50 (*.179.156.110)
클러치 밟아 기어를 중립시키고 다시 클러치 땐 상태에서 액셀페달을 탁 치듯이 밟아 알피엠을 올려준 후 클러치 밟고 기어다운 하시면 됩니다. 잽싸게 빨리 해야 됩니다. 쉽게 말해 기어 중간 뭉치의 회전수를 넣고자 하는 기어의 회전수와 맞춰주는 겁니다. 클러치를 밟아도 동력이 끊기지만 기어중립도 동력이 끊깁니다. 연습하시면 다운쉬프트도 전혀 변속충격없이 변속 완료 후 급가속이 됩니다.
한 20년 수동 타다 자동 탄지 10년이네요... 옛날사람이라 그런지 가끔 유럽 출장때 수동 모는데... 역시 차는 수동입니다.
2018.07.31 15:38:34 (*.226.208.143)
다운시프트 하실때 클러치밟고 중립놓고 클러치때고 엑셀링하시고 클러치밟고 한단 내려보세요...이게 더블클러치 입니다..차가 울컥하면 레브매칭 안되신거에요 천천히 본인차의 리듬을 찾으시면 됩니다 :) 글로하려니 횡설수설 이네요;;
더블클러치 계속 하시다보면 나중엔 클러치안밟고도 변속 가능해요...연습하셔야하지만..ㅜㅜ
더블클러치 계속 하시다보면 나중엔 클러치안밟고도 변속 가능해요...연습하셔야하지만..ㅜㅜ
2018.08.03 18:37:06 (*.79.139.223)
3번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RPM 보정 연습시 동일한 속도에서 각단별 PRM 차이를 알고 계시면 좀더 쉽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6->5단 600RPM정도 보정
5->4단 800RPM 정보 보정
3->2단 1200RPM 보정 이런식으러 간략하게 알고 계시면 좀더 편하게
사용이 가능하고 감속시에는 보정이 좀더 적게 들어갑니다.
더블클러치 원클러치 다연습해봤지만
더블클러치는 달리는 구간에서는 사용하기 어렵더라구요.
그냥 원클러치 + 힐엔토 정도만 사용합니다.
1번은 확실히 아닙니다.
감속을위해 다운쉬프트를 하시는데 악셀을 밟고 클러치를 밟으시면 차가 좀더 가속이 된후에 동력이 차단됩니다.
저는 보통 힐앤토가 아닌이상 2번3번을 동시에합니다..
클러치 를 먼저 밟고 악셀을 밟는데 보통 이 두 동작이 거의 동시에 행해진다고 보시면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