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bum
요즘 매주 1회 국도를 주로 이용해서 서울-부산을 왕복하고 있습니다. 부산에서 업무 보는 이틀간 차량이 필요한 상황이라, KTX를 타고 가도 어차피 부산에서 차량을 렌트해야 하기 때문에, 그냥 제 차를 타고 갑니다. 미국에서 일할때도 편도 500마일 정도까지는 운전해서 출장을 다녀올 정도로 장거리 운전을 즐기는 편이라서 직접 운전하고 다녀요.
그런데 이제 5학년이 되다 보니 평균 주행 속도가 엄청 내려갔습니다. 저도 제가 이렇게 될 줄은 몰랐지만, 고속 항속은 이제 엄두가 안나네요. 그래서 일부러 서울-동군위 구간은 국도를 이용하고, 동군위-부산 구간만 고속도로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고속도로를 이용할때보다 시간은 1시간반 정도 더 걸리지만, 많은 구간이 한적할 정도로 차량도 별로 없고, 통행료도 아끼고, 고속도로에서 연비가 의외로 불리한 5단 변속기인 제 차의 연비도 의외로 높게 나오는 장점들이 있지요.
그런데 무엇보다도 느긋하게 달리다가 눈에 띄는 동네 휴게소나 식당을 들려보기도 하고, 도로변 판매대에서 현지 농산물도 구입하고, 동네 명소 구경하면서 장거리 운전의 피로를 풀면서 가는 재미도 있습니다.
지난달에는 이화령 터널 생긴 이후에 잊혀졌다는 이화령 옛길을 지나가는 코스로 부산에 갔었습니다. 일부러 저녁시간에 이화령에 도착하게 시간을 맞춰서 출발을 했죠. 이제는 자전거 여행자들의 코스가 되었다는 곳인데, 무더운 날씨 때문인지 자전거로 고개 정상까지 올라온 분들은 얼마 안되더군요. 하여간 이화령 휴게소에서 저녁식사하면서 사진 두어장 건져서 한번 보여드리고 싶어졌네요. 계곡쪽으로 보이는 길이 3번 국도입니다.


특별한 코스는 아닙니다. 그냥 서울 서울 강남쪽 경부고속도로 초입에서 네비에 도개IC 교차로나 동군위IC 입력하고 무료도로 옵션을 선택합니다. ^^;
강남고속터미널 옆의 GS주유소가 고급유가 저렴해서, 여기서 기름 가득 넣고 경부고속도로를 이용해서 양재 IC까지 가서 분당-내곡 도시고속도로를 타다가 성남시청 방면으로 빠져서 3번 국도를 탑니다. 그리고 생극교차로에서 21번 국도로, 정생교차로에서 37번 국도로, 음성교차로에서 36번 국도를 짧게 탑니다. 하당삼거리에서 다시 37번 국도를 타고, 연풍IC교차로에서 다시 3번 국도를 탑니다. 그리고 부원교차로를 지나서 25번 국도로 갈아타고 도개IC교차로에서 상주영천 고속도로로 올라가서 부산까지 가지요. 부산에서 일 끝내고 올라올때는 경부고속도로로 올라오다가 동군위IC에서 빠져서 문경-상주-연풍 방면을 거쳐서 옵니다. 동군위쪽이 저녁무렵 경치가 좋더라구요.
휴게소 기준으로 양재에서 출발하면 응암 휴게소, 괴강매점 휴게소, (이화령 휴게소), 시루봉 휴게소, 군위영천 휴게소 순서로 들려서 가는 코스죠. 부산출발이면 삼국유사군위 휴게소-고개 휴게소-진남휴게소-연풍휴게소를 이용하죠.


국도의 여유로움이 상상이 갑니다.
고속도로에서 느낄수 없는 여유 , 그것이 국도 아닌가 싶습니다.
가을이면 더 멋진 풍경을 연출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멋진 사진 글 감사합니다.
여유로운 자동차생활이 참 보기좋습니다~
선배님의 연배는 아니지만, 공감가는 글귀에 편안함이 느껴집니다.
미국에서의 운전과는 사뭇 다르겠지만, 장거리에 특화(?)된 신체적응력은 박수 보내드립니다 ㅎㅎㅎ
저도 어떤 지역이건 직접 차량을 가지고 왕래합니다.
업무외 사적으로는 서울에서 부산으로 식사약속으로 왕래하기도~ 전주에서 막국수먹으로 평창 다녀오기도~ ㅎㅎㅎ
말씀처럼 고속도로가 아닌 일반도로와 국도를 이용하여 이동하는걸 참 좋아합니다만, 요즘엔 내비게이션이 일상화되면서 되레 더 어려움이 느껴지곤 한답니다. 웃프지요 ㅎㅎ ㅠㅠ
번거로우시겠지만, 서울에서 동군위까지의 경로정보를 알고싶습니다.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