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최근 2주동안 나라를 흔들 정도의 뉴스중 하나는 사상 최악의 폭염, 그리고 나머지 하나는 BMW의 화재 이슈일 것입니다.
BMW를 좋아하는 팬으로서 이렇게 하루가 멀다하고 발생하는 화재현상을 바라보면서 정확한 원인에 대한 궁금증이 머리속을 떠나지 않습니다.
자동차 화재는 우리가 아는 것보다 빈번하며, 그 원인도 다양하며, 모든 화재가 다 자동차 제조사의 책임으로 지워질 수 없는 부분이 분명히 있습니다.
이 글의 답글 혹은 새로운 글을 통해 BMW화재에 대한 고견을 듣고자 합니다.
다만 아직 정확한 원인으로 인한 공식적인 행정조치 이전의 상황이니 답글이나 글의 초점은 일방적인 브랜드의 비난보다는 기술적으로 어떻게 이런 현상이 일어날 수 있는지에 대한 토론이었으면 합니다.
그동안 나온 보도내용을 바탕으로 제가 생각하는 중요한 포인트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EGR쿨러의 누수
BMW측은 부품 결함에 의한 화재로 주장하고 있고, 차량 자체의 결함은 아니라고 말합니다.
진위여부보다 중요한 것은 왜 하필 최근에 이러한 화재가 집중되는 것인지에 대한 의문입니다.
- 폭염과의 연관성
전문가들은 엔진의 작동온도를 고려했을 때 폭염은 엔진의 출력이나 연비에 영향을 줄 수는 있지만 외기 온도가 조금 높은 것이 화재를 급속도로 부추기기는 어렵다고 말합니다.
- 소프트웨어 변수
유럽에서 엄청나게 많이 팔린 520d의 화재 빈도수와 비교해 한국이 높은 이유를 소프트웨어의 차이 때문이라는 주장이 있습니다.
제 생각에 이론적으로 EGR의 작동은 궁극적으로 질소산화물을 줄이는 목적이 강한데, EGR의 작동이 바쁘면 바쁠수록 배기가스 재순환 빈도(효율)가 높다는 것이고, 이는 질소산화물을 낮추는 역할을 하지만 출력과 연비에는 불리합니다.
엔진은 부하가 작고 가능하면 주행 중 불편하지 않는 상황에 선택적으로 EGR을 작동시켜, 최대한 경쾌한 주행에 문제가 없도록 설계하는 것이 보통인데, 소프트웨어 문제라면 EGR의 가동을 유럽에서 판매되는 차량보다 더 많이 되도록 변경했다는 뜻이 됩니다.
유로6 규정을 맞추는데 핵심은 디젤 엔진 입장에서 EGR의 역할이 매우 큰 것은 맞습니다. 그런데 한국의 평균적인 주행속도가 낮고, 여름에 매우 습하며, 정차와 출발이 잦은 환경 즉 차 입장에서 훨씬 가혹한 환경에서 유럽에서 판매되는 모델들에 비해 EGR의 작동을 훨씬 더 많이 되도록 프로그램 했을까?라는 생각도 듭니다.
이렇게 평균속도가 낮고 정차와 출발이 잦은 환경에서 EGR의 작동시간이 늘어나면 연비와 차의 반응이 더디게 되는데 이러한 변경을 했을까 하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또 다른 변수는 폭스바겐 사태 이후 환경부, 국토교통부에서 실차검사등의 테스트 진행할 때 질소산화물의 측정등을 정밀하게 실차 조건에서 하는 것을 감안하여 오히려 더 보수적으로 EGR의 작동시간을 늘려 질소산화물의 배출량을 낮추는 한국의 선택적 변경이 가해졌을 수 있다는 가정도 있을 수 있습니다.
참고로 폭스바겐 사태 이후 독일의 전문지에서 실차 테스트한 결과 BMW, 벤츠, 볼보 등에서도 EGR의 작동시간이 질소산화물 규정치를 충족시킬 정도로 충분치 않아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폭스바겐과 같은 소프트웨어 변경 혹은 조작이 의심된다는 내용들이 있었습니다.
이런저런 가정이 있을 수 있지만 그만큼 메이커 입장에서 EGR의 작동시간은 사용자의 심리적 제품 만족감에 영향을 주는 것이라 과도한 작동을 원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가정도 해봅니다.
- 부품의 내구성
EGR이 너무 바쁘고 빡세게 작동하다보니 문제 발생이 높을 수 있다는 가정.
역시 보도에서 본 내용입니다만 EGR이 문제가 발생하면 불이 날 수 있다고 주장하는데, 그러한 부품이 단순히 작동시간이 긴 것으로 불을 내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가? 라는 질문도 던질 수 있습니다.
- 플라스틱 흡기 다기관
어떤 주장은 직분사 디젤 엔진의 특성으로 슬러지등이 흡기매니폴드에 붙어 있던 것이 고열에 흡기매니폴드를 녹이고 뚫고 나와 발화된 것이 원인이라고 주장하는 기사내 한 전문가의 의견도 보았습니다.
매니폴드가 안쪽에서 녹는 것이 가능한가?에 의문이 가긴합니다. 흡기 다기관은 터보 엔진의 경우 과급된 공기가 인터쿨러를 통해 냉각된 상태로 지나가는 통로입니다.
외부 온도가 높다고 흡기 다기관을 지나가는 공기의 온도가 올라갈 수는 있지만 슬러지를 플라스틱을 녹일 정도로 가열시키는 역할을 과연할 수 있을까? 라는 의문도 듭니다.
그리고 이 슬러지가 매니폴드를 뚫고 외부로 노출되었다치고 그렇다면 발화의 원인이 되느냐는 또다른 문제로 보입니다.
이 또한 어떻게 이론적으로 가능한 것인지 의문입니다.
- 주행거리, 엔진별 연관성
현재 BMW는 특정 생산기간에 생간된 차량에 문제가 있다고 말합니다만 문제는 가솔린에도 간헐적으로 나타나고 어제는
M3차량에도 화재가 났다는 보도가 있었습니다.
BMW의 가정대로라면 520d와 같은 2리터 디젤엔진이 아닌 경우 대부분 우리가 지금 다루고 있는 EGR과 연관성이 없다는 것이고, 개별적인 화재원인을 추적해서 원인을 밝혀야할 문제라고 하는데, 이 또한 개별적인 그 차만의 문제인지에 대한 부분도 시간이 지나서라도 밝혀져야할 부분입니다.
더불어 주행거리가 긴 차량이 화재 가능성이 높다라고 발표하긴 했지만 화재가 발생한 차량들의 주행거리가 얼마 정도인지에 대해 따로 발표가 없어 궁금한 부분입니다.
정말 주행거리가 긴 차종에 국한 된 것인지? 주행거리가 길다면 어느정도, 예를들어 10만킬로 이상인지 15만 이상, 혹은 20만 이상을 말하는 것인지?
그동안 수많은 보도가 나왔지만 여전히 딱 떨어지게 원인인지에 대한 궁금증은 여전합니다.
여러분들의 다양한 의견에 귀를 기울여보고자 합니다.
-testkwon-
부품결함에 의한 화재이지 차량자체의 결함은 아니다????
이게 무슨 말도안되는 소리인지....

어쩌다보니 가지고 있는 차량 모두 화재관련 리콜상태라서 관심있게 보고 있습니다.
디젤관련은 많은 이야기가 오가고 있으니 제외하고 e9x의 차량들은 이미 리콜중에 있습니다.
작년에 세계적으로 100만대 이상 화재위험관련 리콜중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주로 전기적인 문제로 알고 있으며, e9x는 에어컨디셔닝관련 배선 과열에 의해 커넥터가 녹아 화재.
n52엔진은 pcv의 플라스틱 녹음으로 전기적인 합선 화재 등
위험 아마 기사에 난 m3 화재는 저게 원인이 아닐까요?
저는 이게 과연 EGR(Exhaust Gas Recirculator)의 결함만으로 확정지을 수 있는 사안인지 의문이 듭니다. 어디까지나 추측일뿐입니다만, 처음 국내에서 이 일이 이슈화되고 본사에서 (좀 이른감이 없지않은) 마치 준비된듯한 원인규명을 내놓고나서야 EU사양까지 리콜계획을 확대한다고 언급(https://www.bimmertoday.de/2018/08/08/freiwillige-technische-aktion-fur-bmw-diesel-agr-ruckruf/)하는것을 보아서는.. 지금까지도 연이어 메스컴에서 쏟아내는 EGR에 대한 이슈로만 국한되어 확정되어질 결론일까에 대한 의구심이 드는건 사실입니다.
한편으로 EGR뿐만아니라 포럼에서 올라오는 B47 N47엔진에 대한 글들을 보면 레일압력센서나 HPFP와 같은 연료계통에도 문제가 있는것으로 보이는데 이부분에 대한 해명은 어떻게 되었는지 궁금합니다.

좋은 지적이십니다.
사실 고압펌프는 디젤의 경우 2000바, 가솔린의 경우 최근 200바를 넘길 정도로 엔진 주변에서 고압이 형성되는 구조상 고압펌프에서 연료의 미세한 누설은 펌프의 기밀문제로 외부로 연료의 스프레이가 생길 수 있어 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사실 이번 BMW사태에 EGR에 초점을 지나치게 두면서도 논리적으로 위에 언급한 여러가지 설명이 시원치 못한 부분을 생각하면 초점을 고압 연료 펌프 주변의 문제점이 있을 가능성 등도 심도깊게 살펴야할 부분이라고 봅니다.

안그래도 테드에서 언제쯤 공론화되어 토론을 할 수 있을까 기다리는 중이였습니다.
가솔린과 디젤의 차이 그리고 한국에서 집중 발생이유가 저의 궁금증이였고 여전히 탐구하는 중입니다.
아래 차종별 화재 건수 참조들 하시기 바랍니다. 엊그제 E92 M3 화재 건은 저도 놀라운 일중 하나였습니다.

소프트웨어의 경우 egr 작동량이 줄어드는 쪽으로 세팅이 되어야 연소단계에서 pm배출을 근본적으로 줄일 수 있고 인테이크 내 카본축적 역시 억제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인증시 배출가스의 여유마진은 기타 트레이드오프되는 연비, 출력, 드라이브 필링등의 요소로 인해 거의 없다시피 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EGR이 개방됨으로 인해 PM이 증가할 수 있는 요인이 되겠지만 저는 그보다 더 유증기 세퍼레이션 기능이 타 차종에 비해 부족하여 유증기 (엔진오일O, 디젤유X)가 인테이크 관에 충만해 있다가 EGR유입관 이후 카본과 혼합되어 떡져버린 혼합물이 특정 상황에서 착화가 된 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특히 유럽과는 다르게 평균주행 속도가 낮고 단거리 주행패턴시 입자상 물질등이 자연스럽게 열연소 되기힘든, 비교적 짧고 낮은부하의 주행환경, 이로인한 후처리필터 막힘 등등으로 연소온도의 상승요인이 인테이크 카본떡에 착화트리거가 되지 않았나 봅니다.
그리고 한국시장의 특이한 면모가 있는데 엔진오일을 성능규격보다는 와인고르시듯 느낌적인 느낌으로만 판단하시는 것. 최신 에미션 기준 차량들은 복잡하고 비싼 후처리 장치들을 달고 나오는데 이런 이유로 엔진오일 역시 유로6 대응 등등의 연소규격이 준수된 엔진오일을 선택하여 기관이나 후처리장치의 오염을 최소화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봅니다. 실키한 필링도 중요하지만 오일이 실린더 내에서 hc 등의 연소물생성을 억제해야 기능규격이 충실한 엔진오일이라고 봅니다. 반면 특정 퍼포먼스가 강조된 소량생산 칵테일 오일들은 실제로 대량생산 오일에 비해 연구개발 과정상 객관적인 성능기준을 충족했다고 믿기힘든 경우를 종종 보았습니다. 이것들이 실린더에서 연소되거나 미스트화 되어 인테이크에서 불안정한 혼합물 형태로 존재한다면 그것이 디젤유 누유 보다는 오히려 더 큰 화재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고 생각 합니다. 디젤유는 특정 형태가 되지 않으면 블럭이나 터빈 핫사이드에 흘러도 불이붙지 않고 오히려 디젤에 섞여 떡된 먼지에 불이 붙는 경우가 있습니다.
기타 터진 egr쿨러에서 누수된 냉각수가 고온 증발 된 후의 고형분이 착화된 혼합물에 일조할 수도 있을것이라 추측도 해 봅니다.
전 세계적으로 에미션의 큰 짐을 EGR 홀로 지우는 차들이 문제가 많습니다. 유로5가 특히 그런것 같구요. 더욱 더 가혹하지만 관리 수준이 평균적으로 낮은 대형엔진 터빈을 뜯어보면 가관입니다. EGR쿨러가 터지면서 냉각수까지 누수되면 그야말로 인테이크는 아비규환이 따로 없습니다
유로6는 일찌감지 SCR과 분담하기에 연소력 마진을 키울수 있어 PM배출에 오히려 유리한듯 하구요.
그나저나 내년의 6C가 부담됩니다.
저야 닦을 터보가 많아지니 좋긴 하지만요.
이하 뻘글 입니다만 요즘들어 유로환경법의 순수성이 의심 됩니다. 환경을 위한 에미션 산업을 키우고 있거든요. 차들은 점점 고자가 되어가고.. 차주들은 유지 관리비가 늘어가고..
파리 기후협약을 발로 차버리고 미국차량의 연비규제를 대폭 낮춘 트럼프가 멋져 보입니다.

이연수님의 의견에 굉장히 공감하는 바입니다.
지구를 살리려고 이것저것 시도하다가,
다른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나오기도 하는 아이러니함 말이죠.
(전 내연기관은 도로에서 못타도 좋으니 각종 규제에서 자유로운
감성을 자극하는 가끔식타고 (래...래디컬 키트카?!) 나중엔 데일리카로 밸런스
잘잡힌 전기차 타려구요.....)
기사를 접할 때 마다 정말 결과가 어떻게 나올지 궁긍하긴합니다.
신조 차량상태에서 얼마되지 않아 발견이 가능한 결함이 얼마나 될까요?
연구소에서도 자체적으로 품질확인을 위해
여러 컨디션 하에서 계속 테스트를 합니다.
하지만 양산하여 시판한 이후 한참 뒤에 나타나는 경우가
비일비재 하니까 말이죠. (아무래도 결함이라는 자체를 판단하는 기준이
클레임 리포트 빈도에 의지하는 면도 적잖게 있긴 합니다.)
BMW가 뭇매를 맏고 있지만 이 사건을 시작으로
더욱 안전한 자동차를 탈 수 있기를 소망해봅니다.

BMW 센터 직원 말로는 겨울에 시동 꺼져 입고되는 730D가 너무 많아 자체 조사 결과 국내에 가짜 경유 유통이 상당하다고 하더군요.
서킷보다 가혹한 시내주행+가짜경유+폭염으로 인한 PM 증가+과도한 EGR 및 DPF 재생+엔진 설계 결함의 결과물이 아닐까 합니다.
대부분 화재가 고속주행 중 발생한다는거 보면 DPF 재생 중 발화된다고 보이거든요.

위 전세환님께서 올린 표를 보면 꼭 20d엔진에 국한된
현상은 아닌것같다는게 여러분께서 공감하시는 부분인데
년식 별로 분류해보면 출고 후 3~5년 이상 된 차량이 많고
차량 화재가 난 국산 차량 (에쿠스, 아반떼 등)도
해당 년차에 속하고 있습니다.
구세대부터 많은 오너들이 고질병이라고
이야기 할정도로 누유로 악명 높은 비머 엔진이고
이를 정비하고 해결하고자 노력해왔습니다.
차를 단순히 이동수단으로만 생각하는,
그저 적산거리에 맞추어 소모품정도만 교환해주는
오너들의 엔진에 누유상태는 심각한 경우가 많습니다.
뽑기운이라고 하는 출고 컨디션과
오너의 관리 성향에 따라 빠르면 2~3년만에
엔진 외부가 누유로 떡이진 차량도 꽤 보입니다.
이러한 현상에 2천cc 엔진에 쥐어짜내듯한 출력의 셋팅,
기록적인 폭염이라는 외부의 환경 조건,
기록적이라고 표현하는 판매대수를 고려해보면
20d엔진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게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엔진오일 누유는 발화될 정도로 쉽게 불이 붙는 성질은 아니고 파워스티어링 오일은 불이 붙을 가능성이 엔진오일보다는 큰 편입니다.
2~3년이 지나고 나면 관리를 잘 한 차종과 그렇지 않은 차종의 편차가 크다는 부분 크게 공감합니다.
BMW입장에서 가장 많이 팔린 차종에 결정적 문제가 발생한 경우라는 점이 골치가 많이 아프겠습니다만 소비자 입장에서 디젤 엔진이 주는 매력적인 부분이 이러한 완성도 문제로 위험에 빠지는 것은 결코 용납이 안되는 부분이라 이 문제가 어떤 방식으로 해결될지 매우 궁금하기도 합니다.
잘 모르기는 한데, 강화되는 환경규제에 맞춰 나오는 차들일 수록 점점 엔진이나 부속장치들 내구성이
점점 더 나빠지는 것 같아보이네요. 옛날 차들은 차체가 먼저 가더니 요새는 엔진이 먼저 가더군요.
당장 배기가스 안 나오는 건 좋은데, 그 때문에 차 수명이 점점 짧아지고 불이 나는게 맞는 일인지...
지구를 살린다는 명분도 좋은데, 솔직히 지구가 그렇게 쉽게 죽는 건 아닌 걸로 알고 있어서 좀 그래요.
솔직히, 지구는 성질이 변할 뿐 죽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단지 사람과 동식물이 살 수 없게 되는 거겠죠.
환경단체와 정부 및 자동차 제조사 모두 위선, 탐욕을 버리고 냉정하게 판단해야 하지 않나 싶습니다.
환경을 위한다는 명분이라면 솔직히 인류가 산업을 포기하거나 아예 멸종되어 사라지는게 정답인데,
그건 환경단체도 원치 않을테니까요.
명분에 욕망을 걸어온 건 아닌지, 다른 대안은 없는지 되돌아봐야 할 때가 아닌가 싶습니다.
제 어머니께서 마트 장보기 겸 출퇴근 용으로 사용하시고 가끔 집안 손님 의전용(?)으로 사용하시는 차가
2013 f10 520d 모델입니다. 리콜대상 모델이죠 ㅠㅠ
제가 집안 차량 관리를 도맡아 하는지라 며칠전 집에서 가장 가까운 김해센터에 차 입고시켜서 점검받고
최대한 가까운 시일안에 EGR 교환을 해준다라는 설명과 함께 리콜 예정일을 지정 받아왔습니다.
어드바이저가 피곤에 쩔은 표정으로 설명한 내용은 기자회견 내용과 대부분 일치하는 내용인걸로 기억을 하는데,
EGR의 플라스틱 부품이 특정 원인에 의해 열을 받아 녹은 후
EGR 안에 있는 카본 등 불이 잘붙는 물질에 붙어서 화제가 발생되는걸로 추측 된다.. 라는 식의 설명이였습니다.
그리고 이건 제 생각이지만 잘못된 케미컬류 선택 또한 이런 화재 발생을 더더욱 부추기는것 같습니다.
특히 DPF등의 후처리 장치가.. 엔진오일을 잘못 주입하면 파손될 우려가 크다고 알고있는 부분인데..
아무튼 리콜을 받기전 520d 워런티가 드디어(?) 만료되어서 처음으로 사설업체에서 소모품 교환을 받았는데요..
비싸고(카센터에 마진이 많이 남아보이는) 독일제 엔진오일이라면서 모튤이나 리퀴몰리 같은것들을 권하시더라구요...
레이싱 오일이라면서.. 통에 적힌 규격을 읽어보니 이거 Evo나 R34같은 터보 차에 넣는 그런 오일 같은데.. 음? 싶더라구요.
저는 그냥 무시하고 가격 저렴한 국산엔진 오일 중 DPF + 비엠 롱라이프 규격 만족하는 오일로 갈아줬습니다.
국산오일을 광유라고 대놓고 무시하시던데.. 많은 생각이 드는 하루였습니다.
한간에 제기된 또 다른 원인을 얘기해보자면(물론 그 분들 사견임을 먼저 밝힙니다) DPF가 재생작용을 하는 경우
타사의 엔진들은 EGR밸브를 닫아서 엔진내부로 배출가스 유입을 막는 세팅을 해놨는데 비엠의 엔진들은
DPF 재생중인데도 EGR 밸브를 열어놓도록 세팅을 해놨다고 합니다...이것이 EGR과 매니폴드에 쌓인 카본덩이리,
여름철 높은 흡기온 등과 연쇄작용을 일으켜서 화재로 번질 가능성도 있지 않을까 라는 추측이 있었고, 폭바 디젤
배출가스 조작 게이트가 터졌을 때 유럽에서 팔리는 디젤차량을 대상으로 질소산화물 발생량을 RDE 방식으로 측정한
결과 비엠의 차량들은 질소산화물 배출량이 법정 기준치를 살짝 상회하였거나 하회하는 수준으로 측정이 되었는데
이것이 EGR을 너무 적극적으로 활용한 결과고 EGR에 과부하가 걸리다보니 모듈의 내구성 저하 및 기타 원인이
복합적으로 결합되어 화재가 발생한 것이 아닌가 하는 추측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화재의 원인을 EGR 하나에 국한 시키는 건 사태 확산을 최소화 또는 회피하기 위한 비엠의 전략적인 꼼수(?)로
밖에는 안보입니다...게다가 EGR 생산 납품업체가 한국 회사라고 하니 납품업체한테 모든 책임을 돌리려 할 수도 있을꺼
같습니다
타사에 적용된 EGR모듈과 비엠에 적용된 모듈의 차이점과 동일 조건에서 테스트를 통해 그 결과가 공개되어야
좀더 정확한 원인이 나올것이고 거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는 생각입니다....
제 13년식 투아렉이 이제 5만 넘었는데 냉간에 부조가심해 센터에넣었더니 흡기쪽 닫고 여는부분이 카본인지가 너무붙어 열고닫는 작동이 안되더라고요 사진보고 깜짝놀랐습니다
전주유도 집 근처 가는곳에서 거의 다 넣거든요.
사진이 있는데 어떻게 올리지...^^
발생 조건들을 보면 '특정 계절'과 '특정 장소'에서 집중적으로 화재가 발생되는 듯 합니다.
특정 계절로 인한 요인이 가장 큰 원인으로 보이는데요
에어콘 작동으로 인한 EGR밸브의 작동 소프트웨어의 메니지먼트 실패에 이번 화재의 원인이 있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유난히 더운 여름이 예상 설계치보다 에어콘의 가동 조건을 가혹하게 만든 바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예전에도 국내 대기업에서 에어콘 작동에 따른 별도의 배기가스 프로그램을 설치했다가 망신을 당한적이 있었는데,
이번에도 전혀 다르지만 비슷한 맥락의 '예상치 못했던 관리실패'가 유독 국내에서 발생된것이 아닌가 합니다.
두번째는 주로 고속화 도로에서 화재가 발생한듯합니다. 아마도 도심과 다른 주행환경이 영향을 미쳤을 듯 합니다.
잘은 모르지만 배기가스 검사조건이 화재가 난 상황과는 많이 다르지 않았을까 추측해 봅니다.
ps. 이번 EGR관련 부품이 국내 제조사에서 납품이 되었다고 하는데 큰 피해가 없기를 바래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