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터빈이 이렇게도 손상이 되나요?
처음보는 현상이라 경험해보신분이 계실까해서 올려봅니다
흡기임펠러이며 좌우유격이나 상하유격은 전혀없습니다
최고속도전을 위해서 세팅을 했으며
최고속테스트중 이렇게 됬네요
1.6디젤이구요 조합터빈으로 올라갔으며
부스트는 최대 2.8바까지.....
2번째 똑같은 현상입니다.
원인을 못찾네요.
흡기임펠러가 끝이아닌 중간이 손상이 되었습니다
hks 흡기필터 새제품이 장착되어있구요.

처음 터빈이 사망하셨을때입니다.
그후 터빈을 새걸로 교체후 똑같은 현상이 반복됩니다.

두번째 터빈이 손상된 사진입니다.
보시다시피 임펠러 끝은 큰손상이 없습니다
하우징또한 기스가 없구요
중간 날개들이 손상을 입었는데
필터가 장착되어있어 이물질이 들어갈 염려는 없는거 같습니다.

더욱 정확하게 원인을을 밝히기위해 테스트차원에서 매직으로 마킹해놓은 상태입니다
주행후 관찰해보려구요
현재 의심가는 상황은
첫째가 블로바이가스....오일이 터빈으로 들어오면서 높은회전력에의한 손상을 생각하고 있구요
둘째는 흡기 인테이크 파이프를 용접과 가공하면서 용접똥같은 이물질이 인테이크에 붙어있다가
높은 압력으로 빨아들였다를 반복하면서 터빈으로 들어오는경우....
이렇게 2가지로 생각해보는데 이외에는 개인이 생각하기에는 무리가 있네요
다른추측의견 부탁드립니다.
처음보는 현상이라 경험해보신분이 계실까해서 올려봅니다
흡기임펠러이며 좌우유격이나 상하유격은 전혀없습니다
최고속도전을 위해서 세팅을 했으며
최고속테스트중 이렇게 됬네요
1.6디젤이구요 조합터빈으로 올라갔으며
부스트는 최대 2.8바까지.....
2번째 똑같은 현상입니다.
원인을 못찾네요.
흡기임펠러가 끝이아닌 중간이 손상이 되었습니다
hks 흡기필터 새제품이 장착되어있구요.

처음 터빈이 사망하셨을때입니다.
그후 터빈을 새걸로 교체후 똑같은 현상이 반복됩니다.

두번째 터빈이 손상된 사진입니다.
보시다시피 임펠러 끝은 큰손상이 없습니다
하우징또한 기스가 없구요
중간 날개들이 손상을 입었는데
필터가 장착되어있어 이물질이 들어갈 염려는 없는거 같습니다.

더욱 정확하게 원인을을 밝히기위해 테스트차원에서 매직으로 마킹해놓은 상태입니다
주행후 관찰해보려구요
현재 의심가는 상황은
첫째가 블로바이가스....오일이 터빈으로 들어오면서 높은회전력에의한 손상을 생각하고 있구요
둘째는 흡기 인테이크 파이프를 용접과 가공하면서 용접똥같은 이물질이 인테이크에 붙어있다가
높은 압력으로 빨아들였다를 반복하면서 터빈으로 들어오는경우....
이렇게 2가지로 생각해보는데 이외에는 개인이 생각하기에는 무리가 있네요
다른추측의견 부탁드립니다.
2009.04.28 20:03:40 (*.80.64.116)
첫번째는 가능성이 거의 없어 보입니다. 600~800마력 되는차들도 그런 경우는 없습니다. 가스는 말그대로 가스라...
두번째 항은 좀 가능성이 있는데, 두번이나 그럴 가능성은 별로 없어 보입니다.
필터를 이물질이 통과한거 같기도 하구요...... hks필터 생각보다 필터링이 안좋습니다. 버섯돌이 끼신거죠?
그리고 이물질에 의한 터빈 파손도 대부분 끝부분보다는 중간부분에 가장 잘 떨어집니다.
1.6~2.0 디젤이면 터빈이 가렛기준 GT 15 급일텐데.. 2.8바면 허용 부스트 이미 엄청나게많이심하게 오바입니다.
피크부스트가 1.8바만 돌려도 터빈 잘 나가는데 2.8바면...
너무 높은 부스트가 문제가 아닐런지요.. 또 높은 부스트도 문제가 되지만, 부스트 컨트롤에 문제가 있어도 컴프레서 휠 손상가능성이 있습니다.

두번째 항은 좀 가능성이 있는데, 두번이나 그럴 가능성은 별로 없어 보입니다.
필터를 이물질이 통과한거 같기도 하구요...... hks필터 생각보다 필터링이 안좋습니다. 버섯돌이 끼신거죠?
그리고 이물질에 의한 터빈 파손도 대부분 끝부분보다는 중간부분에 가장 잘 떨어집니다.
1.6~2.0 디젤이면 터빈이 가렛기준 GT 15 급일텐데.. 2.8바면 허용 부스트 이미 엄청나게많이심하게 오바입니다.
피크부스트가 1.8바만 돌려도 터빈 잘 나가는데 2.8바면...
너무 높은 부스트가 문제가 아닐런지요.. 또 높은 부스트도 문제가 되지만, 부스트 컨트롤에 문제가 있어도 컴프레서 휠 손상가능성이 있습니다.

2009.04.28 20:23:15 (*.140.140.177)

저도 터빈의 스펙을 오버한 부스트가 아닌가 싶습니다..
2.8바는 조금이 아니라 상당히 아니 엄청나게 많이 높은데요..
대기압 1바를 합치면 사실상 3.8바란 이야기가 됩니다..
즉 임펠러의 회전속도가 엄청나게 돌아가는데,
터빈이 그 속도를 대응할수 있게 설계된건지부터 확인하셔야할듯 합니다.
2.8바는 조금이 아니라 상당히 아니 엄청나게 많이 높은데요..
대기압 1바를 합치면 사실상 3.8바란 이야기가 됩니다..
즉 임펠러의 회전속도가 엄청나게 돌아가는데,
터빈이 그 속도를 대응할수 있게 설계된건지부터 확인하셔야할듯 합니다.
2009.04.28 20:52:23 (*.156.147.158)
높은 부스트로 회전속도가 엄청나다면 임펠라 중간에 상처는 어떻게 일어난것일까요?
대부분 허용부스트를 높게 사용하면 밸런스가 틀어져 하우징과 마찰이생겨 고장난경우가 대부분인데
너무빨리 빨아들이는 공기에 의해 손상이 되었다는뜻일까요?
허용부스트가 넘었다면 하우징과의 접촉이 있었을텐데....
심오하네요ㅡㅡㅎ
대부분 허용부스트를 높게 사용하면 밸런스가 틀어져 하우징과 마찰이생겨 고장난경우가 대부분인데
너무빨리 빨아들이는 공기에 의해 손상이 되었다는뜻일까요?
허용부스트가 넘었다면 하우징과의 접촉이 있었을텐데....
심오하네요ㅡㅡㅎ
2009.04.28 21:22:11 (*.119.9.122)

의외로 고속고압 유동에서 공기의 마찰에 의한 손상도 심합니다..
아주 작은 이물질이라도 고속고압유동 속에서 임펠러와 부딪힌다면 저런 손상이 생기기도 합니다
아주 작은 이물질이라도 고속고압유동 속에서 임펠러와 부딪힌다면 저런 손상이 생기기도 합니다
2009.04.28 22:16:24 (*.130.115.113)

제가 생각하기에도 흡기쪽으로 작은 이물질이 들어와도 고속의 터빈에는 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다만 위분들이 언급하신 고속에서 발생하는 블레이드 공진도 가능성은 있습니다. 다만 블레이드 공진이 발생하였다면 아마 사전에 느낌이 있지 않으셨을까 싶습니다.
2009.04.29 02:05:19 (*.50.144.88)

몇몇건식필터들은 여과율이 매우 떨어지는거 같습니다.
대기에서 다이렉트로 빨아들이는 제차량보다도 이물질손상이 큰거 같습니다.
필터교체도 고려해보셔야 할거 같습니다.
대기에서 다이렉트로 빨아들이는 제차량보다도 이물질손상이 큰거 같습니다.
필터교체도 고려해보셔야 할거 같습니다.
2009.04.29 08:11:18 (*.241.151.50)

디젤차량의 경우 쓰로틀바디가 없기 때문에, 가솔린차량 부스트 압력보다 약 1바 정도 높게 보이는 것이 아닐까요? 물론 가솔린 차량도 완벽한 진공은 안됩니다만. 결국 가솔린 기준으로 약 1.8바이상 쓰시는 것 같은데, 물론 가솔린 기준으로 봐도 높은 수치의 부스트이기 때문에 터빈이 효율적으로 동작하는 레인지 밖에서 동작시키는 것으로 보이긴 합니다. 혹시 필터 재질 자체가 뜯긴 흔적은 없으신지요? HKS 폼 필터가 장시간 사용하도록 만든 제품이 아니라서 자주 교환을 해주어야 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물론 새로나온 건식 3층 필터인 reloaded 버전은 잘 모르겠습니다.
2009.04.29 08:16:07 (*.204.232.176)

부스트가 너무 높아서일듯합니다.. 부스트는 낮추고 풍량이 많은 터빈으로 교체하셔야 할듯하네요...
부스트가 높다고 차가 잘나가는것은 아니니...
부스트가 높다고 차가 잘나가는것은 아니니...
엔진은 괜찬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