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요즘 신호대기 시 시동끄기를 하고 있습니다.
확실히 연비에 도움이 되는거 같아 자주 시행하고 있는데요.
아무래도 자주 사용하게 되면, 스타트 모터의 수명에 영향이 가겠죠?
그래서 스타트 모터가 고장날때 증상이 궁금해지네요.
지금 시동성은 아주 좋습니다만
시동성이 떨어진 다음에 어떤 증상에 의해서 고장 나는지 아니면,
시동성과 관계없이 갑자기 고장 나는건지 궁금해지네요.^^
확실히 연비에 도움이 되는거 같아 자주 시행하고 있는데요.
아무래도 자주 사용하게 되면, 스타트 모터의 수명에 영향이 가겠죠?
그래서 스타트 모터가 고장날때 증상이 궁금해지네요.
지금 시동성은 아주 좋습니다만
시동성이 떨어진 다음에 어떤 증상에 의해서 고장 나는지 아니면,
시동성과 관계없이 갑자기 고장 나는건지 궁금해지네요.^^
2009.04.30 08:38:22 (*.220.244.41)
주변에 상태 안좋은 차들을 보면 보통 마그넷 접촉불량인 경우가 많았습니다.
증상은 시동모터가 간헐적으로 돌아간다던가 여러번 시도하거나 모터에 충격을
주면서 시동을 걸면 시동이 걸립니다.
시동모터를 많이 사용하게 되면 플라이휠과 시동모터의 기어가 털리거나
모터의 마그넷 스위치가 마모되서 고장나는 경우가 많은것 같습니다.
증상은 시동모터가 간헐적으로 돌아간다던가 여러번 시도하거나 모터에 충격을
주면서 시동을 걸면 시동이 걸립니다.
시동모터를 많이 사용하게 되면 플라이휠과 시동모터의 기어가 털리거나
모터의 마그넷 스위치가 마모되서 고장나는 경우가 많은것 같습니다.
2009.05.03 03:14:23 (*.71.28.106)

시동 직후 rpm이 아이들링 수준으로 떨어지려면 5초 정도 걸릴텐데요. 신호 바뀐 후에 5초 있다가 출발하면 후방 차량에게 5초의 지연을 야기하므로 1-2대의 후방 차량은 신호등을 통과하지 못하게 되고, 그 차들의 연료 소비량은 더 많아지겠지요.
시동 걸자마자 rpm이 떨어지기 전에 출발하면 변속기에 그다지 좋지 않을테고요.
시동을 끄더라도 즉시 출발이 가능한 차량이 아니라면 사회 비용 차원에서는 그다지 이득은 아닌 것 같습니다. - -;
시동 걸자마자 rpm이 떨어지기 전에 출발하면 변속기에 그다지 좋지 않을테고요.
시동을 끄더라도 즉시 출발이 가능한 차량이 아니라면 사회 비용 차원에서는 그다지 이득은 아닌 것 같습니다. - -;
2009.05.06 22:10:05 (*.55.130.138)
17년째 거의 매일 운전을 해도 아직 시동모터는 원래 것 그대로 쌩쌩한 걸 보면 수명 문제는 크게 염려 안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시동을 끌만한 상황이 하루에 몇 번씩 나오진 않을테고, 잘 아는 신호등에서만 끌테니 뒷차에게 실례되는 일은 없겠죠?
1~2분이상 되는 긴 신호에서만 끄고, 초록불 켜지기 20~30초 전에 시동 걸어서 기어 변속하고 사이드 내리고 하
면 별 무리없이 자연스럽게 차량운행의 일상적인 범위안에서 해결되리라 봅니다.
시동을 끌만한 상황이 하루에 몇 번씩 나오진 않을테고, 잘 아는 신호등에서만 끌테니 뒷차에게 실례되는 일은 없겠죠?
1~2분이상 되는 긴 신호에서만 끄고, 초록불 켜지기 20~30초 전에 시동 걸어서 기어 변속하고 사이드 내리고 하
면 별 무리없이 자연스럽게 차량운행의 일상적인 범위안에서 해결되리라 봅니다.
아니면 틱틱 거리다가 한번 간신히 시동 걸린뒤 간헐적으로 이런 증상이 나타나기도 하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