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맵핑을 작업한 상태라서 기본적으로
부스터 게이지는 달아놨습니다
이번에 게이지를 하나쯤 추가 장착 예정이어서
고심끝에 유온 게이지를 결정하게 되었습니다
오일관련 쿨링보강이 전혀없는 순정상태라서
유온게이지를 참고로 어떻게 모니터링을 해야할지
아직 감이 안잡힙니다
맥스온도 시점이라든지 관리요령을 조언듣고 싶습니다
그리고 또한가지 비슷한 가격대라면
한계는 낮겠지만 게이지로 모니터링 하면서
타는게 이로울까요 아님 오일쿨러를 장착하고
게이지없이 타는게 좀더 유리할까요?
예산은 한정되어있어 한가지밖에 못하는 상황입니다
덧붙히자면 오일쿨러 보강은 순정상태에서 오일라인의
변화로 유압에 영향을 미친다는 그런 글을 본적이 있기에
선뜻 엔진오일 쿨러를 결정하지 못했습니다
이 부분 또한 경험자분께 조언듣고싶은 부분입니다
1)유온게이지 모니터링 관리법
2)엔진오일 쿨러는 확실히 효과가 있는지요
오일쿨러 작업하신다면 여러 추가 작업이 생각되니 제 개인적인 생각은 게이지 한개만 달아서 조심히 모시는게
어떠실까 추측해봅니다. 왜냐면 직접적인 조언은 못드리지만, 제 차에 대해 경험을통해 얘기드리자면,
제차 sr20det 엔진에 오일 프레셔 게이지가 달려 있는데 10w40를 사용할시 완전 뜨끈해졋을때(오일 온도 게이지 없습니다.) 추측상 섭씨 80~90도 정도에서 아이들시 대략 15~20 psi 정도 나왓습니다. 그런데 고속도로 항속 75마일 근처로 t산 넘는것까지 계속 달릴시에 부스트를 쓰다보니 에프터마켓 터보차라 열에의해 오일압력이 줄던데 제 경험 안에서 최저로 내려갔을때는 아이들상태 0~ psi 까지 가는것을 목격한 이후로 오일쿨러 설치결심햇네요. 그래도 쿨러 안달아도 속도 55마일정도로 낮추고 설설 1분 정도 가니깐 아이들시에 아직 압력이 낮앗엇지만 그래도 0을 찍지는 않더군요.
오일쿨러와 오일필터 relocation킷을 설치할때는 15w50로 엔진오일을 교체하였습니다. 오일쿨러 설치후 비슷한 상황에 아이들시 8~10까지 내려가긴 햇지만, (50점도이지만 오일쿨러 라인길이+오일필터 리로케이션 킷까지 추가 라인이 상당히 길어졌습니다. 제가 라인을 자르고 줄이는 모험을 하긴 싫엇어서...)
제 기분상 점도회복이 조금더 빠른것 같앗습니다. 하지만 엔진열이 하도 뜨거워서 그런지 엔진 후드 안쪽이 상당히 뜨거운 상태라 오일라인까지 덤으로 뜨거워져서 생각 밖으로 와엄청나다 ! 할정도로 효율이 좋진 않더라구요
(25row짜리 오일쿨러인데... 샵에서 하는게 아니라 직접하는거는 한계가 좀 있네요..)
그래서 느낀게 엔진열을 오일라인에 가지 않게 여러 작업이 더 필요해 보이더군요. 지금은 자동차 그냥 팔기위해
내놧지만 (이차에 돈 더쓰기에는 아까워서..) 후드에 구멍좀 뚫려있는거랑 오일라인에 열반사 테이프나 좀 붙일까 생각은 햇습니다. 오일 온도는 100도 넘어가기 시작하면 점도하락이 확실히 오는것 같더라구요.
(120도 정도가 위험한것 같은데 전문가 분께서 알려주실껍니다.. ㅎㅎ)
그래서 게이지만 일단 다시고 차근차근 주머니돈이 생기셧을때 샵에서 추천하는거 잘 고려해보시고 하시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추가 위에서 말씀해주신대로 obd2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
오일쿨러 킷에서는 thermostatic 오일쿨러 킷도 있으니 냉각 걱정은 안하셔도 됩니다 ! (제꺼가 아마 섭씨80~85도부터 열리는걸로 알고 있어요,)

안녕하세요.
97년식 엘란에 05년도에 터보 장착했습니다.
저는 유, 수온을 공업용 제품으로 선택해서 사용했습니다.
공도에서는 전혀 문제가 없었고
태백, 안산 서킷에서 주행하면서 보니
유온 보다는 수온 게이지를 추천해드립니다.
수온이 올라가면 자동적으로 유온도 올라갑니다. 유온만 따로 올라가지는 않더군요.
제 엘란 기준으로 했으니 참고만하세요.
정확히 차량이 어떤건가요?
예전에 크게한번 이슈(?)된적이 있는데 차종은 잘 안적어 주네요.
좀더 디테일한 답변을 받을수 있을텐데요.
터빈업이 아니라 맵핑이라면 그냥 수온게이지만 보셔도 될듯하지만 하드한 맵이라면 모니터링하는게 좋지요.
저도 게이지는 OBD를 추천합니다.
어차피 ECU에 입력되는건 OBD값이 기준이 되니까요.
아직 장착예정이라면 유온보다 유압을 추천드립니다.
유온은 수온으로 예측이 가능하니까요.
마지노선을 수온은110 유온은130정도로 봅니다.
수온은 마지노선 들락날락하면 헤드변형 위험이 높구요
유온은 130까지 들락날락하면 첨가제등이 산화?되어 엔진보호성능이 떨어집니다.
유압이 있다면 처음 엔진오일교환하고 예열이 된상태에서
아이들유압과 풀악셀시 유압을 확인해서 기억해두시고 주행하면서 초기수치보다 떨어졌는지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유온만 문제라면 고점도 오일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연비와 출력은 떨어지겠지요
오일쿨러 라인이 길수록 당연히 유압은 떨어집니다.
샵에서도 최대한 단거리로 인스톨 해줄거예요. 크게 문제될 정도는 아닙니다.
써모벨브는 개인적으로 비추합니다. 연결부위가 많아지면 그만큼 누유위험은 높아지니까요.
그냥 겨울되면 박스같은걸로 막는거 추천합니다.
누유로 고생해보면 유온뜨면 안밟고 말지 오일쿨러는 절대 안단다고 하더군요.
우선은 게이지로 현재 상태를 먼저 확인하고 작업하는게 좋을듯 합니다.
개인적으로 유온은 고점도오일보다는 쿨러를 달아서 저점도 오일을 쓰는걸 좋아하구요.
수온은 대용량라디도 좋지만 가성비로는 냉각수 비율을 물7:3부동액(제조사 최소 권장사항)으로 맞추면 좋습니다.

저도 05 년도에 터보를 달고 수온 110 도 마지노선 때문에 몇년간 많은 고생을 했습니다.
간단하게 차종 또는 수온게이지마다 수온 마지노선은 틀립니다.
엘란은 수온 110 도 하면
고속도로에서 고속으로 조금만 달려도 금방 110 도에 도달합니다.
서킷은 말할 필요도 없습니다.
진짜 몇년간 고생했습니다. 대용량 라지에이터도 장착해보고 서모스탯도 탈거해보고 많은 것을 해보았지만
전혀 소용이 없었습니다.
그러다
수온이 110 도 올라가고 115 도 올라가고 했는데도
계기판 수온계는 정상 수치에서 전혀 미동도 없었습니다.
태백 서킷에서 수온계를 확인해보면서 주행했는데 어느 순간 수온계가 올라가는 시점이 있어서
산업용 수온게이지 디지털을 확인해보니 약 125 ~ 128 도 이었습니다.
그 다음부터는 전혀 수온 걱정없이 마음껏 서킷, 공도 주행을 즐길수 있었습니다.
참고로
모든 차종이 수온 110 도가 마지노선이 아니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인터쿨러, 라지에이터 앞에 워셔 스프레이를 장착해서
수온이 125 도 정도 오르면 워셔 스프레이를 작동해서 수온을 내려줘서 서킷을 더욱더
즐길수가 있었습니다.
제가 터보 장착하고 약 5년간 수온때문에 고생하면서 얻은 정보입니다.
참고하세요. ^___^
설명에 오해가 좀 있었네요.
수온110 유온은130 "정도"로 봅니다 라고 확정이 아닌 추정치를 제시한 거였습니다.
차종이 명시되어있더라면 좀더 디테일한 수치가 제시되서 이런 오해도 없었을텐데 아쉽네요.
차종마다 써모스텟 개방온도가 다 다르듯 말씀하신대로 마지노선도 각기 다릅니다.
저는 싼타페DM(터빈업)과 G70(순정)을 운행하고있는데
DM은 수온을 103도에 워닝설정하고 105까지 몇번 밀었을뿐인데 헤드변형와서 2번 교체했습니다.
저역시 수온잡느라 꽤 고생했습니다.
G70은 105도는 그냥 올라갑니다. 110도 자주 찍습니다만 그 이상은 잘 안올라가네요.
머 결론은 모든차가 같은 마지노선 수치를 가진다고 한적은 없습니다.
그렇치만 석철님이 오해하신것처럼 다른분들도 오해할수 있으니 그부분에 대해 보강설명 해주신것 같습니다.
엘란의 적정수온이 120도를 넘어가는 수치라니... 추정치를 크게 벗어나는 차량도 있네요.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120도라면 이미 냉각수 끓는점을 지나친 구간 아닌가요?
부동액종류와 비율에 따라 다르지만 110도면 끓기시작하는 구간일텐데요.
혹시 게이지가 잘못되진 않았는지 궁금하네요.
유온은 저렴한 게이지를 추가하시는 것보다 OBD2를 이용한 모니터툴을 사용하시는게 더 깔끔하고 정확할거 같습니다.
(덤으로 기타 다른 데이터도 확인할 수 있구요)
엔진오일 쿨러는 효과는 확실히 있습니다만, 차량의 상황에 적합한 사이즈를 선택하는 게 무척 중요합니다.
그렇지 않을경우 냉각효과가 떨어지거나 오히려 과냉이 되거나 하는 문제가 나타날수 있습니다.
일단 현재 운행시 유온추이를 모니터링 하신 다음에 그에 맞는 작업을 하시는게 맞습니다.
(해당 차종에 해당 맵핑과 그에 따른 작업 데이터가 많이 쌓여있는 상황이라면 그냥 작업하셔도 됩니다만, 질문하신 자체가 그런 데이터가 없는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