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안녕하세요.
김해 회원 정원우 입니다.
장거리 출장으로 고속도로 이동 중 급 피곤해져서 휴게소에 들렀습니다.
고속도로를 자주 이용하며, 장거리도 종종 뛸 때가 있습니다.
그리고 최근 들어 느끼는 건데...
고속주행을 하다 보면 앞 차열의 간격이 갑자기 좁아지는 때가 있습니다.
당연히 바로 앞 차도 제동을 할 것이므로 저는 차열이 다시 회복되는 움직임이 안 보이면
한 템포 일찍 서서히 감속을 합니다.
유독 작년 5월부터 올해 5월까지 1년 동안은 뒷차에 야무지게 추돌당하거나, 정차 중일 때
앞차와 옆차에 들이받히는 일로 이젠 아예 다른 운전자를 믿지 않기로 했기 때문입니다.
오늘도 영남지역에서는 그저 흔하디 흔한 대형 트럭들의 1차선 추월이 수시로 발생되었고,
그 때마다 1차선 차열이 좁혀지곤 했습니다만...
뒷차에 이런 부류들이 있었습니다.
급제동은 일절 없었고, 조금 빠르게 감속해봐야 대충 20~30%??? 정도의 제동이었습니다.
1. 다 모르겠고, 나는 내 가던대로 간다.
앞의 차열이 줄줄이 좁아져서 감속을 하고 있는데, 바로 뒤까지 바싹 붙어오는 차.
특히 신형 카니발이나 SUV들이 그러면 정말 겁납니다. 게다가 세단이나 엉덩이가 길쭉한
테라스 해치백 위주로 타오던 제게, 엉덩이가 땅딸막한 해치백 룸미러에 유난히 커다랗게 보이는
뒷차의 모습은 다소 공포스럽습니다.
사고나도 보험처리 하면 마주칠 일 없어서 그런 건지, 그냥 안일함인지는 몰라도 안전거리 좀...
저만 다치고 제 차만 부서지는게 아니라 댁의 얼굴도 에어백 찰과상을 입을 수 있고,
그 값비싼 차도 안녕하지 못하고 보험료도 할증될 것이라는 말을 해주고 싶어요.
2. 아이고 깜짝이야!!
상당한 거리를 두고 오고 있던 레이 한 대가 제동이 많이 늦더군요.
꽤 가까워져서야 제동을 걸기는 하더랍니다만, 그래도 속력이 상당히 많이 실린 채 달려왔고,
위험하다 싶을 거리가 되어서야 갑자기 급제동을 걸더니 차가 좌우로 기우뚱 휘청거리더군요.
3. 내 사전에 사고는 없다.
키 큰 SUV와 스타렉스. X40 정도에서도 거침이 없습니다.
뭐가 그리 급한지, 급코너도 용감하게 뛰어들더니 출구가 보이기도 전에 쭉쭉 가속합니다.
그러다 화물차가 밀고 들어오니 엉덩이를 살짝 흔들며 급제동 합니다.
큰 덩치와 육중한 중량, 우람한 브레이크를 믿어서인지는 몰라도, 어마어마한 운동에너지와
타이어의 그립, 무게중심을 염두에 두고 운전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면허를 따고 십몇년간 운전하며 뒷차가 달려드는 모습을 본 기억이 없었는데, 연이은 사고 이후
좀 더 유심히 살펴봤더니 의외로 제동이 늦는 차들을 많이 봅니다.
시내는 물론 고속도로에서도 뒷차 운전자의 시선이 앞이 아닌 다른 어딘가를 향해 있는데,
이게 어째 최신 연식의 좀 더 비싸보이는 차량일 수록 좀 더 그러한 느낌입니다.
안전장비가 날로 발달하고 있고 완전자율주행차도 나오겠지만, 안전운전의 주체는 역시나
차에 타고 있는 운전자와 동승자 모두에게 있다는 걸 잊지 말았으면 합니다.
한동안 켐페인이 좀 필요하지 않을까 싶어요.
김해 회원 정원우 입니다.
장거리 출장으로 고속도로 이동 중 급 피곤해져서 휴게소에 들렀습니다.
고속도로를 자주 이용하며, 장거리도 종종 뛸 때가 있습니다.
그리고 최근 들어 느끼는 건데...
고속주행을 하다 보면 앞 차열의 간격이 갑자기 좁아지는 때가 있습니다.
당연히 바로 앞 차도 제동을 할 것이므로 저는 차열이 다시 회복되는 움직임이 안 보이면
한 템포 일찍 서서히 감속을 합니다.
유독 작년 5월부터 올해 5월까지 1년 동안은 뒷차에 야무지게 추돌당하거나, 정차 중일 때
앞차와 옆차에 들이받히는 일로 이젠 아예 다른 운전자를 믿지 않기로 했기 때문입니다.
오늘도 영남지역에서는 그저 흔하디 흔한 대형 트럭들의 1차선 추월이 수시로 발생되었고,
그 때마다 1차선 차열이 좁혀지곤 했습니다만...
뒷차에 이런 부류들이 있었습니다.
급제동은 일절 없었고, 조금 빠르게 감속해봐야 대충 20~30%??? 정도의 제동이었습니다.
1. 다 모르겠고, 나는 내 가던대로 간다.
앞의 차열이 줄줄이 좁아져서 감속을 하고 있는데, 바로 뒤까지 바싹 붙어오는 차.
특히 신형 카니발이나 SUV들이 그러면 정말 겁납니다. 게다가 세단이나 엉덩이가 길쭉한
테라스 해치백 위주로 타오던 제게, 엉덩이가 땅딸막한 해치백 룸미러에 유난히 커다랗게 보이는
뒷차의 모습은 다소 공포스럽습니다.
사고나도 보험처리 하면 마주칠 일 없어서 그런 건지, 그냥 안일함인지는 몰라도 안전거리 좀...
저만 다치고 제 차만 부서지는게 아니라 댁의 얼굴도 에어백 찰과상을 입을 수 있고,
그 값비싼 차도 안녕하지 못하고 보험료도 할증될 것이라는 말을 해주고 싶어요.
2. 아이고 깜짝이야!!
상당한 거리를 두고 오고 있던 레이 한 대가 제동이 많이 늦더군요.
꽤 가까워져서야 제동을 걸기는 하더랍니다만, 그래도 속력이 상당히 많이 실린 채 달려왔고,
위험하다 싶을 거리가 되어서야 갑자기 급제동을 걸더니 차가 좌우로 기우뚱 휘청거리더군요.
3. 내 사전에 사고는 없다.
키 큰 SUV와 스타렉스. X40 정도에서도 거침이 없습니다.
뭐가 그리 급한지, 급코너도 용감하게 뛰어들더니 출구가 보이기도 전에 쭉쭉 가속합니다.
그러다 화물차가 밀고 들어오니 엉덩이를 살짝 흔들며 급제동 합니다.
큰 덩치와 육중한 중량, 우람한 브레이크를 믿어서인지는 몰라도, 어마어마한 운동에너지와
타이어의 그립, 무게중심을 염두에 두고 운전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면허를 따고 십몇년간 운전하며 뒷차가 달려드는 모습을 본 기억이 없었는데, 연이은 사고 이후
좀 더 유심히 살펴봤더니 의외로 제동이 늦는 차들을 많이 봅니다.
시내는 물론 고속도로에서도 뒷차 운전자의 시선이 앞이 아닌 다른 어딘가를 향해 있는데,
이게 어째 최신 연식의 좀 더 비싸보이는 차량일 수록 좀 더 그러한 느낌입니다.
안전장비가 날로 발달하고 있고 완전자율주행차도 나오겠지만, 안전운전의 주체는 역시나
차에 타고 있는 운전자와 동승자 모두에게 있다는 걸 잊지 말았으면 합니다.
한동안 켐페인이 좀 필요하지 않을까 싶어요.
2018.11.28 20:52:05 (*.38.8.69)
세단타다가 해치백타면 그게 정말이지 적응이 안되더라구요... 정차할때마다 식겁한적이 여러번이었죠, 왠만하면 정차할때 룸미러 안보곤했습니다~~
2018.11.28 23:05:18 (*.229.176.18)

최근의 이슈거리도 생각거리를 많이 던져주는 것 같습니다.
더더욱 안전운전에 신경써야 할 것 같습니다;
물론 문제는 간혹 불가피할 경우에는 다른 운전자분들에 최대한 죄송하다는 비상깜박이 제스처를 왕왕 쓰고 있습니다만;;
다시 한 번 반성합니다..
더더욱 안전운전에 신경써야 할 것 같습니다;
물론 문제는 간혹 불가피할 경우에는 다른 운전자분들에 최대한 죄송하다는 비상깜박이 제스처를 왕왕 쓰고 있습니다만;;
다시 한 번 반성합니다..
2018.11.29 04:46:04 (*.252.91.13)

얼마전에 저도 앞차가 급정거 하는바람에 그래도 거리 유지해서 안전하게 정차했지만 뒤에 2번째 차량이 거리없이 쫒아오다가 연달아 제차까지 2대를 밀어버린 사고를 당했습니다. 이렇게 앞차와 간격을 두지 않고 운전하는 사람들은 이게 습관같습니다. 더욱이 이런운전자는 되려 앞차와 간격두고 가는 운전자를 굉장히 싫어 합니다. 차 2대정도 거리 두고 가는데도 뒤에서 안간다고 욕먹은적도 많아서 ;;;;; 덕분에 오래 살겠다 이렇게 위안을 삼고 다닙니다.
2018.11.29 12:15:59 (*.38.30.230)
앞차에 바짝 붙어 다니는 건 성격에서 나오는 습관인 것 같습니다.
긴급한 상황에서 그러는 건 그나마 이해라도 하지만, 상습은 좀...
주변 지인이든 길에서 만난 운전자든 위험하다고 주의를 주고 싸우기까지 해도
돌아서면 또 그러더군요.
더러는 그렇게 다니다 큰 사고를 내고도 안 바뀌기도 하고요.
고치기 어려워 보이니 그냥 피하는게 상책인 듯 합니다.
비켜주고 나면 또 그 앞차에 바짝 달라붙는 경우 확실히 그런 타입 아닌가 해요.
희안한 건, 그렇게 앞차에 바짝 달라붙으면서도 추월은 안 하더군요.
긴급한 상황에서 그러는 건 그나마 이해라도 하지만, 상습은 좀...
주변 지인이든 길에서 만난 운전자든 위험하다고 주의를 주고 싸우기까지 해도
돌아서면 또 그러더군요.
더러는 그렇게 다니다 큰 사고를 내고도 안 바뀌기도 하고요.
고치기 어려워 보이니 그냥 피하는게 상책인 듯 합니다.
비켜주고 나면 또 그 앞차에 바짝 달라붙는 경우 확실히 그런 타입 아닌가 해요.
희안한 건, 그렇게 앞차에 바짝 달라붙으면서도 추월은 안 하더군요.
2018.11.29 09:02:20 (*.21.163.191)

내가 타는 차의 크기 (특히 운전석부터 뒤쪽으로 길이) 따라서 느낌 차이는 확실히 있더라구요. 유달리 뒤가 긴 업무용 승용차를 탔었는데요, 그러다 다른 차를 타면 뒷차가 너무 붙는다는 느낌에 종종 깜짝 놀라곤 했습니다. 실제로는 제차 뒷범퍼와 뒷차와의 거리는 똑같아도, 제 몸과 뒷차와의 거리는 상당히 차이가 있죠.
2018.11.29 12:39:52 (*.38.30.230)
저도 종종 느린 앞차에 바싹 다가가던 버릇이 있었는데, 의식적으로 고치려 하니 고쳐지더군요.
아무리 슈마허급 운전실력이라도 운전하는 내내 최고의 집중력을 내기는 힘든데, 아차 하는 순간
다시 집중하여 상황 파악하고 제동을 시작하면 늦는다고 봐요.
최근 후방추돌 사례를 점점 자주 보는데, DMB와 스마트폰, 자동화로 손발이 자유로워진 대신
화장을 하거나 하는 등 딴 짓을 해서 사고가 나는 일이 의외로 많더군요.
요즘 신차 견적을 낼 때 능동적 안전장비를 강권하는 일이 많아지고 있던데, 긍정적이라고 봅니다.
차가 편해져서 딴짓을 한다고 하기엔, 수동 1톤 트럭을 몰면서도 딴 짓은 하는 사람들이 꼭 있는데다가 졸음운전까지
생각하면 긴급제동장치나 경고시스템은 꼭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아무리 슈마허급 운전실력이라도 운전하는 내내 최고의 집중력을 내기는 힘든데, 아차 하는 순간
다시 집중하여 상황 파악하고 제동을 시작하면 늦는다고 봐요.
최근 후방추돌 사례를 점점 자주 보는데, DMB와 스마트폰, 자동화로 손발이 자유로워진 대신
화장을 하거나 하는 등 딴 짓을 해서 사고가 나는 일이 의외로 많더군요.
요즘 신차 견적을 낼 때 능동적 안전장비를 강권하는 일이 많아지고 있던데, 긍정적이라고 봅니다.
차가 편해져서 딴짓을 한다고 하기엔, 수동 1톤 트럭을 몰면서도 딴 짓은 하는 사람들이 꼭 있는데다가 졸음운전까지
생각하면 긴급제동장치나 경고시스템은 꼭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2018.11.29 22:29:13 (*.70.14.213)
전후방 멀찍이 파악하면서 방어운전은 몇 번 강조해도 지나치치 않은것 같습니다..가끔 그럴때 있죠 추월하려고 1차선 탔는데 통행량은 꽤 많고.. 자기차 포함 앞뒤로 몇대 바짝. 그런 상황에선 저는 제가 그냥 앞차랑 슬금슬금 거리를 띄웁니다 물론 그래도 교과서상 안전거리에는 훨 못미치지만 최소한으로 이정도는 되어야 회피할 수 있겠다 싶을 정도로요. 사실 요즘 대부분은 그래도 괜찮다 느끼는데 가끔 저도 인간인지라 좀 심하다 싶으면(꼭 틈 없는데 밀고 들어오려는 차들 있죠 그러다 못들어오고 뒤로 들어오면 바짝 붙어서..특히 suv 스타렉스..시야가 잘보여서 그런가..통행량 많을땐 할배운전 스타일이라 그런지..) 뒤 봐가면서 악셀 오프하고 브레끼 안밟고 수동모드로 5천 6천까지 방 방~ 다운하면 종종 움찔 하면서 노즈다운하는게 보이더군요. 그렇게 강제 안전거리 확보시켜 줍니다. 그러다 터보차 출력밴드인 4천알피엠 내외까지 내려오면 그때부터 풀악셀로 작정하고 잠깐만 째면서 요리조리(죄송합니다ㅠㅠ그래도 최소한의 거리는 지키네요) 저 앞에가서 2차선 타고있으면 운전자 스킬에 따라 잠시 후~ 꽤 후에 지나가던데 굴하지 않고 용감하게 뒤뚱거리면서 꿋꿋이 나아가더군요..
그냥 통행량 많을땐 2차선에서 흐름 맞춰가며 널찍하게 주행하는게 편한것 같습니다.
그냥 통행량 많을땐 2차선에서 흐름 맞춰가며 널찍하게 주행하는게 편한것 같습니다.
2018.12.02 14:17:45 (*.140.13.227)

고속에서 앞 차에 바짝 붙는 차들은 대개 성격이 급하고 업무에 치여서 이겠지만, 근본적인 원인은 고속에서 급 제동을 해 본 경험이 없을 것이라는 추측입니다. SUV나 스타렉스 등이 x40 의 고속에서도 막힘이 없다고 하셨는데, 대부분 그 차를 타고 그 속도에서 급제동 가해본 적 없을겁니다. 만약 제대로 경험했다면 적어도 무서워서 그렇게 못 다닐겁니다.. 제 차는 AD스포츠이고, 업무때문에 1톤 화물차를 자주 타는데 도저히 거동이 불안해서 살살몰고 다니게 되더랍니다..
2018.12.04 23:24:00 (*.239.183.33)
만약 고속에서 급제동을 안 해봐서 그렇다면 더더욱 큰 문제라는 생각이 드네요.
이 차가 설지 안 설지 어떻게 알고 그리 바짝 붙이는 걸까요.;;
60킬로에서 못 서거나 털려서 박고 뒹굴어도 아주 아비규환이 되는데;;
저 역시도 30만킬로 넘은 1톤 트럭을 몰 때가 종종 있는데, 뒤에서 2.5톤 트럭이 바짝 붙어서
빵빵거리는 걸 보면 등골이 오싹합니다. 2.5톤이 브레이크가 가장 안 듣던지라...
부산 녹산 이런데는 컨테이너를 실은 트레일러들이 지천으로 다니는데, 그 덩치로 뒤에 바짝 붙는 경우가 많아서
살기 위해 팍팍 밟고 다니고 있습니다.
이 차가 설지 안 설지 어떻게 알고 그리 바짝 붙이는 걸까요.;;
60킬로에서 못 서거나 털려서 박고 뒹굴어도 아주 아비규환이 되는데;;
저 역시도 30만킬로 넘은 1톤 트럭을 몰 때가 종종 있는데, 뒤에서 2.5톤 트럭이 바짝 붙어서
빵빵거리는 걸 보면 등골이 오싹합니다. 2.5톤이 브레이크가 가장 안 듣던지라...
부산 녹산 이런데는 컨테이너를 실은 트레일러들이 지천으로 다니는데, 그 덩치로 뒤에 바짝 붙는 경우가 많아서
살기 위해 팍팍 밟고 다니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