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현재 혼다 어코드 하이브리드 투어링 모델을 계약후 출고되기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일본차는 처음이라 혼다 어코드 카페에서 이거저것 검색으로 정보를 보고있는중 유독 신차 검수 문제가 이슈가 되더군요.
초기 품질이 엉망이라 인수거부가 꽤 되고, pdi에서 대리점으로 출고되면 개인 검수가 필수인것 같네요.
대표적으로는 대시보드 조립불량 단차, 앞문과 뒷문 단차, 앞뒤휀다 단차, 가죽시트 주름, 본넷이나 트렁크 재도색, 하부 녹 등등
지금까지 그 어떤 브랜드의 자동차에도 없을뿐한 얘기들이 있습니다. 오죽했으면 검수리스트가 카페에서 돌고 있고 단차와 녹은 감안하고 그냥 타라는 얘기가 많습니다.
아무리 미국산이라도 품질관리에 문제가 있는것 같은데요. 2년전 가까운 지인이 미북산 캠리 하이브리드를 구매했기때문에 같은 미국산이지만 캠리는 괜찮았거든요.
또 저번주 직장후배가 그랜저하이브리드를 출고했기때문에 더더욱 비교가 됩니다.
현재 혼다가 하이브리드 경쟁에서 캠리를 압도적으로 제치고 승기를 잡은것 같은데요(최소한 우리나라에서는 요. 전 세계적으로는 모르겠습니다) 이런 외부나 내장재 마감이라면 엔진과 미션, 조향 장치 등도 제대로 조립했을까하는 의구심이 드네요.
차가 나왔을때 검수후 왠만하면 인수하지만 아니면 그냥 인수거부후 계약 취소하고 캠리나 아발론 하브나 그랜저 하브로 바꿀까도 생각도 드네요.
여러분들 생각은 어떠세요?
일본차는 처음이라 혼다 어코드 카페에서 이거저것 검색으로 정보를 보고있는중 유독 신차 검수 문제가 이슈가 되더군요.
초기 품질이 엉망이라 인수거부가 꽤 되고, pdi에서 대리점으로 출고되면 개인 검수가 필수인것 같네요.
대표적으로는 대시보드 조립불량 단차, 앞문과 뒷문 단차, 앞뒤휀다 단차, 가죽시트 주름, 본넷이나 트렁크 재도색, 하부 녹 등등
지금까지 그 어떤 브랜드의 자동차에도 없을뿐한 얘기들이 있습니다. 오죽했으면 검수리스트가 카페에서 돌고 있고 단차와 녹은 감안하고 그냥 타라는 얘기가 많습니다.
아무리 미국산이라도 품질관리에 문제가 있는것 같은데요. 2년전 가까운 지인이 미북산 캠리 하이브리드를 구매했기때문에 같은 미국산이지만 캠리는 괜찮았거든요.
또 저번주 직장후배가 그랜저하이브리드를 출고했기때문에 더더욱 비교가 됩니다.
현재 혼다가 하이브리드 경쟁에서 캠리를 압도적으로 제치고 승기를 잡은것 같은데요(최소한 우리나라에서는 요. 전 세계적으로는 모르겠습니다) 이런 외부나 내장재 마감이라면 엔진과 미션, 조향 장치 등도 제대로 조립했을까하는 의구심이 드네요.
차가 나왔을때 검수후 왠만하면 인수하지만 아니면 그냥 인수거부후 계약 취소하고 캠리나 아발론 하브나 그랜저 하브로 바꿀까도 생각도 드네요.
여러분들 생각은 어떠세요?
2018.12.03 13:40:14 (*.223.38.87)
자동차 카페라면 제조사, 모델 불문하고 결국 그런 분위기로 흐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극도로 민감한 사람이 원래 정상범주 내에 해당하는 것들까지도 죄다 불량으로 싸잡아 몰면서 불안감을 조성하면, 기출고자들도 멀쩡히 잘 타다가 자기차 확인해보고 불량 내차에도 있다면서 글 올리고, 거기에 블박/틴팅 장착점 등이 판촉수단으로 신차검수니 뭐니 하는걸 하면서 유용한 척 하려고 오만 트집을 다 잡는 글을 올리기 시작하면 불량이 엄청 많아보입니다. 불량이라고 하는 것들의 대부분은 그냥 탔으면 차 팔때까지 몰랐을만한 것이죠(본인이 그렇게 극도로 민감한 사람이 아닌 이상).
원래 공장에서 막 찍어내는 물건은 생산성 때문에 극도로 민감한 사람의 기준을 맞출 수가 없습니다. 들어가는 부품 수가 몇개 안되는 폰 같은 물건도 동일모델을 10개 나란히 놓고 하나하나 아주 까다롭게 비교해보면 개체간 편차가 굉장히 큰데, 차 같은건 말할 필요도 없죠. 외장패널이나 인테리어 마감 같은 부분에서만 조금씩 차이나는게 아니라 무게나 출력 같은 부분에서도 개체편차가 꽤 있고, 이건 어느 회사차나 마찬가지입니다. 상태가 나쁜 개체도 나름의 기준에 따라 정상범주 내에 들어오니까 출고된건데, 에이스 개체랑 비교하면서 조금이라도 떨어지는 부분을 모조리 불량이라고 하기 시작하면 거의 모든 차가 다 불량입니다. 그냥 그러려니 하고 타는게 정신건강에 좋습니다.
원래 공장에서 막 찍어내는 물건은 생산성 때문에 극도로 민감한 사람의 기준을 맞출 수가 없습니다. 들어가는 부품 수가 몇개 안되는 폰 같은 물건도 동일모델을 10개 나란히 놓고 하나하나 아주 까다롭게 비교해보면 개체간 편차가 굉장히 큰데, 차 같은건 말할 필요도 없죠. 외장패널이나 인테리어 마감 같은 부분에서만 조금씩 차이나는게 아니라 무게나 출력 같은 부분에서도 개체편차가 꽤 있고, 이건 어느 회사차나 마찬가지입니다. 상태가 나쁜 개체도 나름의 기준에 따라 정상범주 내에 들어오니까 출고된건데, 에이스 개체랑 비교하면서 조금이라도 떨어지는 부분을 모조리 불량이라고 하기 시작하면 거의 모든 차가 다 불량입니다. 그냥 그러려니 하고 타는게 정신건강에 좋습니다.
2018.12.03 22:28:34 (*.17.2.22)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자동차 카페들 중에 상업적인 목적으로 운영되는 경우가 너무 많은데, 그런데서 결함 아닌 것도 결함으로 몰아가는것 같아요. 저는 켄터키 공장제 캠리만 두대 구입했었는데, 딱히 품질 문제는 없었습니다. 자동차라는게 CNC 가공으로 통으로 깎아서 나오는 물건도 아닌데, 도대체 얼마나 완전 무결한 제품을 원하는건지 너무하다 싶더군요. 특히 언더코팅 업체 같은데서 유튜브에 동영상 올린거 보면 답답하죠. 철판이 그대로 드러나 있다, 볼트가 이미 부식되었다는 둥 당장 코팅 해야할것 처럼 떠들기는 하는데, 눈으로 보고 아연도금 되었는지도 구분이 가는 것도 아닌데 말입니다. 제 경험상 10년 이상 제설제 맞아 가면서 운행해도 부식이 진행되지는 않더란 말이죠.
2018.12.05 08:59:20 (*.176.212.118)

그런 것이었군요. 부모님 차량의 출고일이 다가오다보니 관련 정보를 혼자서 알아보고 있었는데..
신차검수는 꼭 해야한다는 분위기로 흘러가던 중,
신차 출고 경험이 많으신 친척분께 여쭈어보니 '검수는 자신이 하면 된다. 업체 맡길 필요 없다.'고 하시더라구요.
그래도 업체가 낫지 않나.. 라는 생각이 잠깐 들었었는데, 새삼 친척분께 죄송하네요.
생각을 바꾸어보면 제 스마트폰도 마찬가지였네요. 처음엔 하나하나가 다 불량같아 보이더니,
쓰다보니까 흠집에도 무감각해지고, 떨어뜨려도 작동만 잘 되면 된다라는 마인드로 바뀌었거든요ㅎㅎ
이 글을 통해 배워갑니다. 감사합니다.
신차검수는 꼭 해야한다는 분위기로 흘러가던 중,
신차 출고 경험이 많으신 친척분께 여쭈어보니 '검수는 자신이 하면 된다. 업체 맡길 필요 없다.'고 하시더라구요.
그래도 업체가 낫지 않나.. 라는 생각이 잠깐 들었었는데, 새삼 친척분께 죄송하네요.
생각을 바꾸어보면 제 스마트폰도 마찬가지였네요. 처음엔 하나하나가 다 불량같아 보이더니,
쓰다보니까 흠집에도 무감각해지고, 떨어뜨려도 작동만 잘 되면 된다라는 마인드로 바뀌었거든요ㅎㅎ
이 글을 통해 배워갑니다. 감사합니다.
2018.12.03 14:55:50 (*.119.108.204)
18년초 혼다 CRV 신차를 계약하여 인수받았습니다.
같은 브랜드이여도 타 차종이지만 현재 타고 있는 차량.... 문제가 많습니다. 거즘 품질문제입니다.
검수 확실하게 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문제가있으면 사측에서도 해결을 해줘야하는데....
단차 발생은 차 받고 보자마자 티가나는데 이런 그렇다 쳐도
변속기 기어셀렉터 버튼이 부러져 빠집니다. 빠지면 버튼이 눌리지 않아 기어위치를 바꿀수가 없습니다.
일주일에 1~3대는 부러졌다고 얘기나오고 센터입고시 부품입고 몇 주 걸린답니다. 부품입고 후에 입고가능하답니다
고장보고가 이렇게 올라오는데도
사측은 어떠한 조치도 없습니다. 센터페시아 네비게이션 먹통증상도 종종있습니다.
1.5 가솔린 터보엔진 엔진오일증가 결함이있으나 해외에서는 판매중단에 리콜이 모두 들어간 상황이나
국내사는 묵묵부답입니다. 국내에서 몇사례 보고된바 있습니다.
최근에는 연비표기 오류로 오차로인한 배상금준다고 연락도 오더라구요.
차는 좋을지 모르나, 국산 현대 기아차보다 못한 서비스 품질입니다.
4300만원에 혼다센싱이 빠진것도 그저 아쉬울 따름입니다.
같은 브랜드이여도 타 차종이지만 현재 타고 있는 차량.... 문제가 많습니다. 거즘 품질문제입니다.
검수 확실하게 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문제가있으면 사측에서도 해결을 해줘야하는데....
단차 발생은 차 받고 보자마자 티가나는데 이런 그렇다 쳐도
변속기 기어셀렉터 버튼이 부러져 빠집니다. 빠지면 버튼이 눌리지 않아 기어위치를 바꿀수가 없습니다.
일주일에 1~3대는 부러졌다고 얘기나오고 센터입고시 부품입고 몇 주 걸린답니다. 부품입고 후에 입고가능하답니다
고장보고가 이렇게 올라오는데도
사측은 어떠한 조치도 없습니다. 센터페시아 네비게이션 먹통증상도 종종있습니다.
1.5 가솔린 터보엔진 엔진오일증가 결함이있으나 해외에서는 판매중단에 리콜이 모두 들어간 상황이나
국내사는 묵묵부답입니다. 국내에서 몇사례 보고된바 있습니다.
최근에는 연비표기 오류로 오차로인한 배상금준다고 연락도 오더라구요.
차는 좋을지 모르나, 국산 현대 기아차보다 못한 서비스 품질입니다.
4300만원에 혼다센싱이 빠진것도 그저 아쉬울 따름입니다.
2018.12.03 17:17:58 (*.177.232.189)

검수리스트 등등 신차 검수 지대로 못하면 엄청난 하자 차 받는 것 처럼 겁을 주고 난후
" 자 이제 우리 신차 검수 및 신차 패키지 이용하면 꼼꼼 하게 신차 검수 해주고, 패키지로 싸게 용품 해줄게"
가 카페의 분위기라 생각됩니다.
심지어 패키지에는 정말 이것 까지 해야되나? 하는 품목과, 덤핑성 썬팅필름이 대부분이더군요
" 자 이제 우리 신차 검수 및 신차 패키지 이용하면 꼼꼼 하게 신차 검수 해주고, 패키지로 싸게 용품 해줄게"
가 카페의 분위기라 생각됩니다.
심지어 패키지에는 정말 이것 까지 해야되나? 하는 품목과, 덤핑성 썬팅필름이 대부분이더군요
2018.12.04 14:00:10 (*.226.208.186)
물 건너 오는 차는 캐비티 왁스 등 기초 방청은 되어있는게 좋겠죠.
시트 프레임이나 나사류 부식은 사소하지만 잠재적인 문제 가능성은 분명 있다고 봅니다.
나사가 고정된 부위는 대부분 바디의 강한 구조물에 고정되는데, 이런 강한 구조물 쪽으로
부식이 전이되면 나중에 수리할 때 고착되어 안 풀리는 정비성 문제와 구조물의 강성 저하
문제가 동반될 수 있을테니까요.
특히 나사류 부식에서 시작된 갈바닉 부식은 아연도금이 되어있는 부위라 해도 퍼져나가는
속도가 조금 늦을 뿐, 부식이 안 되는 건 아니더군요.
다만 셀렉터 레버가 부러지는 건 좀 황당한 일이네요.
이 외 각종 조립부위간의 단차나 리페어를 위한 부분적인 경미한 재도장 혹은 터치업, 가죽시트 주름, 대대적인 탈거를
동반하지 않는 일부 부품 오사양 조립 같은 건 그렇게 큰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도어나 휀더는 나사 체결부의 도장면 손상을 유발해서 추후 중고 매각시 패널 교환 흔적으로 오인될 소지를 제외하면
그리 큰 문제는 아니며, 범퍼는 설령 고정부위 파손이더라도 교환하면 되니까요. 기분은 상쾌하지 않겠지만...
아무리 철저하게 관리하더라도 신차 초기 양산이나 조립공장 이전 초기 등 변화가 생기면 조립공장이나 부품 공급사의
작업자나 검사자의 숙련도, 그리고 각 차종별 공통적인 문제가 아닌 각기 다른 품질 이슈 정보가 충분히 축적되지 않아,
작업간 문제점을 미처 발견하지 못하여 합격 판정을 받고 나갈 수도 있습니다.
여기서 관건은, 처음 발견된 문제점에 대해 제조사가 얼마나 초기 대응을 잘 하느냐가 아닐까 싶습니다.
정말 별 문제가 아닌 걸로 난리가 나든, 심각한 문제든 소비자가 납득할만한 논리와 대안 제시를 해야 하겠지요.
특히 요즘처럼 월급은 안 올랐는데 차 값이 많이 오른데다 인터넷 커뮤니티로 인한 의견 교환이 활발해진 시점에서는
비싼 비용을 들여 구매하는 자동차라는 물건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건 어쩔 수 없는 것 같아요.
한두해 쓰는 물건도 아니고, 본인과 가족의 안전과 건강에 밀접한 영향이 있으니.
지금과 같이 카페 등에서 문제점에 대한 성토가 나오는 건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문제점을 조기에 해결하고
다음에 재발할 수 있는 여지를 줄여나가는데에 분명 도움이 되니까요.
다만, 그런 성토 분위기에 너무 휩쓸려서 개개인이 감정적으로 받아들이는 건 문제가 있어 보여요.
문제점의 경중과 영향 정도를 따져보고 요구사항을 정리해서 냉철하게 협의하는 태도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네요.
시트 프레임이나 나사류 부식은 사소하지만 잠재적인 문제 가능성은 분명 있다고 봅니다.
나사가 고정된 부위는 대부분 바디의 강한 구조물에 고정되는데, 이런 강한 구조물 쪽으로
부식이 전이되면 나중에 수리할 때 고착되어 안 풀리는 정비성 문제와 구조물의 강성 저하
문제가 동반될 수 있을테니까요.
특히 나사류 부식에서 시작된 갈바닉 부식은 아연도금이 되어있는 부위라 해도 퍼져나가는
속도가 조금 늦을 뿐, 부식이 안 되는 건 아니더군요.
다만 셀렉터 레버가 부러지는 건 좀 황당한 일이네요.
이 외 각종 조립부위간의 단차나 리페어를 위한 부분적인 경미한 재도장 혹은 터치업, 가죽시트 주름, 대대적인 탈거를
동반하지 않는 일부 부품 오사양 조립 같은 건 그렇게 큰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도어나 휀더는 나사 체결부의 도장면 손상을 유발해서 추후 중고 매각시 패널 교환 흔적으로 오인될 소지를 제외하면
그리 큰 문제는 아니며, 범퍼는 설령 고정부위 파손이더라도 교환하면 되니까요. 기분은 상쾌하지 않겠지만...
아무리 철저하게 관리하더라도 신차 초기 양산이나 조립공장 이전 초기 등 변화가 생기면 조립공장이나 부품 공급사의
작업자나 검사자의 숙련도, 그리고 각 차종별 공통적인 문제가 아닌 각기 다른 품질 이슈 정보가 충분히 축적되지 않아,
작업간 문제점을 미처 발견하지 못하여 합격 판정을 받고 나갈 수도 있습니다.
여기서 관건은, 처음 발견된 문제점에 대해 제조사가 얼마나 초기 대응을 잘 하느냐가 아닐까 싶습니다.
정말 별 문제가 아닌 걸로 난리가 나든, 심각한 문제든 소비자가 납득할만한 논리와 대안 제시를 해야 하겠지요.
특히 요즘처럼 월급은 안 올랐는데 차 값이 많이 오른데다 인터넷 커뮤니티로 인한 의견 교환이 활발해진 시점에서는
비싼 비용을 들여 구매하는 자동차라는 물건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건 어쩔 수 없는 것 같아요.
한두해 쓰는 물건도 아니고, 본인과 가족의 안전과 건강에 밀접한 영향이 있으니.
지금과 같이 카페 등에서 문제점에 대한 성토가 나오는 건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문제점을 조기에 해결하고
다음에 재발할 수 있는 여지를 줄여나가는데에 분명 도움이 되니까요.
다만, 그런 성토 분위기에 너무 휩쓸려서 개개인이 감정적으로 받아들이는 건 문제가 있어 보여요.
문제점의 경중과 영향 정도를 따져보고 요구사항을 정리해서 냉철하게 협의하는 태도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네요.
미국에서 구매한 시빅 페인트 문제있어서 교환한 적 있고,
오딧세이 실내 B 필러 플라스틱 기둥이 완전히 조립되지 않고 튀어나와서 서비스 받고, 트렁크 충격완화용 고무 봉(?) 처럼 생긴거 조립이 풀려서 직접 끼워넣고, 여기 저기 패널간 단차있는건 너무 당연하게 느껴져셔 그러려니 합니다. 테드에서 말이 나왔던 페인트 오렌지 필이라고 하나요? 오딧세이에 그 현상도 있더군요. 중요 부품도 이따구로 만든 건 아닌지 우려했지만 2대 각각 6년, 2년동안 고장은 없었습니다.
미국산 한국차도 한 대 있는데 얘도 단차가 하자급으로 하나 있구요. 페인트 현상 똑같이 있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