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바퀴당 5ㅡ6키로씩 무거워져서 총 20ㅡ24키로 정도 무거워졌는데 얼마나 영향을 미칠까요?
차무게로 환산하면 글마다 3ㅡ10배까지 있어서 뭐가 맞는지 모르겠네요
답변에 미리 감사드립니다
차무게로 환산하면 글마다 3ㅡ10배까지 있어서 뭐가 맞는지 모르겠네요
답변에 미리 감사드립니다
2018.12.20 03:12:14 (*.127.34.110)
정지상태에서 출발시나 재가속이 굼뜨거나 순발력이 조금 떨어질꺼고 항속과 탄력주행에 좋아질껍니다. 연비로 따지면 시내연비가 미세하게 떨어질테고 고속연비가 미세하게 좋아지겠죠.
2018.12.22 00:27:20 (*.143.146.101)
인간에게 운동에너지를 저장하는 역활을 하는 부분이 없다니요ㅎㅎㅎ 질량을 가지고 움직이는 모든 물체는 운동에너지를 가집니다.
한가지 더 설명 드리자면 휠이 무거워지든 플라이휠이 무거워지든 고속 연비가 좋아지거나 고속 가속력이 좋아지지 않습니다. 말씀하시는 운동에너지 라는것은 결국 더 많은 에너지를 이용해서 만들어진것 입니다.
일단 일정 속도로 가속한 이후에는 무거운 휠이 더 멀리 굴러 가겠지만 일정속도로 가속하기 까지 더 큰 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에 결국 연비는 무거운 휠이 더 떨어집니다.
거두절미하고 더 무거운 물체를 같은 거리를 옮겼는데 에너지가 더 조금 들었다(연비가 좋다)는 것은 기본적인 물리법칙을 벗어나는 이론입니다.
한가지 더 설명 드리자면 휠이 무거워지든 플라이휠이 무거워지든 고속 연비가 좋아지거나 고속 가속력이 좋아지지 않습니다. 말씀하시는 운동에너지 라는것은 결국 더 많은 에너지를 이용해서 만들어진것 입니다.
일단 일정 속도로 가속한 이후에는 무거운 휠이 더 멀리 굴러 가겠지만 일정속도로 가속하기 까지 더 큰 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에 결국 연비는 무거운 휠이 더 떨어집니다.
거두절미하고 더 무거운 물체를 같은 거리를 옮겼는데 에너지가 더 조금 들었다(연비가 좋다)는 것은 기본적인 물리법칙을 벗어나는 이론입니다.
2018.12.20 18:12:12 (*.23.186.69)
가볍게 고등학교 물리 수준의 상식으로 생각해 봤을때(F=ma), 평지 정속주행중인 차량만 놓고 본다면 공기저항 등 항력과 엔진 내부 부품들의 마찰 등등 종합해서 진행 반대방향으로의 힘들만 합한 알짜힘이 있을것이고 속도를 유지하기 위해선 악셀을 밟아서 그와 같은 만큼의 힘을 진행 방향으로 만들어(?) 전체 알짜힘이 0인 상태를 만들어야되니까.. 로터 무게가 증가한 상황에선 타이어 구름저항이나 부하도 커지고 이에 따라 진행 반대방향으로 힘이 커지니 악셀을 더 밟아야 같은 속도가 유지된다 생각하면 기름은 더 먹는게 아닐까요?
가감속시는 질량 분포나 회전체의 관성 모멘트 등등 생각해야 될게 더 많을거같으니...자세한건 고수님들께 패스합니다.
가감속시는 질량 분포나 회전체의 관성 모멘트 등등 생각해야 될게 더 많을거같으니...자세한건 고수님들께 패스합니다.
2018.12.20 10:10:34 (*.244.225.168)

바퀴당 5 kg 정도의 질량이면 운동성능이나 내구성능 영향은 체감상 없지 않을까요?
정량적으로 계산 가능한 상황은 아니라 모르겠지만...
스트럿이나 컨트롤암 제외하고 대충~, 휠 12 kg, 타이어 10 kg, 너클 5 kg, 로터 9kg, 캘리퍼 6kg, 허브베어링 6 kg 정도 될 것 같은데요, 총 48kg 정도인데, 5 kg 이면 10% 거든요...
많다면 많고 적다면 적은... 자동차 전체적으로는 20 kg 이면 기름 채울때랑 바닥났을때랑 무게차이 정도 일까요?
정량적으로 계산 가능한 상황은 아니라 모르겠지만...
스트럿이나 컨트롤암 제외하고 대충~, 휠 12 kg, 타이어 10 kg, 너클 5 kg, 로터 9kg, 캘리퍼 6kg, 허브베어링 6 kg 정도 될 것 같은데요, 총 48kg 정도인데, 5 kg 이면 10% 거든요...
많다면 많고 적다면 적은... 자동차 전체적으로는 20 kg 이면 기름 채울때랑 바닥났을때랑 무게차이 정도 일까요?
2018.12.20 13:02:52 (*.42.78.210)

무슨 로터로 교체하였는데 5-6키로씩이나 증가하였나요? 1-2키로 감량하고자 몇백씩 들여서 경량휠로 바꾸는 걸 감안하면 마이너스 튠인거 같네요 ㅎ
2018.12.21 01:12:52 (*.33.181.197)
현가하 질량 증가는 로드홀딩에 분명 마이너스 요소이긴 한데, 댐퍼 리바운드 감쇄력 상향조정으로 어느 정도까지는 커버가 가능한 것 같고, 연비는 아주 정체구간만 아니면 별반 차이가 없었습니다. 시내에서 스타트 가속은 아무래도 가벼운 쪽이 경쾌하기는 한데, 항속 또는 고속 주행시에는 일장일단이 있더군요. 차량 세 대 정도로 삽질을 했었는데, 공통적인 부분은 댐퍼 조합만 잘 되면 로드홀딩이 나쁘지 않고 고속 안정성이 더 좋아지기도 했으며, 고속 영역에서의 가속은 오히려 소폭 나았던 점입니다. 다만 저와는 결과가 다른 분들도 계실 것 같아 이 점은 감안이 필요해 보입니다.
2018.12.21 08:16:42 (*.131.37.94)

스포티지r 에 순정품 12.6인치 로터와 경량 12.6인치 로터를 종종 바꿔서 주행해봤습니다.
둘의 무게차이는 2.5kg 정도이고요.
일단 로드홀딩과 초반 가속력 저하가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쇽 스피드가 많이 떨어진 느낌이며 전체적으로 차의 하체반응이 상당히 둔탁하고 무겁게 느껴집니다.
가속력의 경우 초기 스타트 대쉬 때의 저알피엠 부분, 고단으로 변속 직후 클러치를 미트시키고 난 다음의
미세한 토크감 저하입니다.
썸머휠타 -> 윈터용휠타(순정휠)로 갔을 때도 동일한 느낌입니다.
참고로 연비저하는 체감하지 못했으며, 고속에서의 항속력 증가(?)도 오히려 정 반대의 체감이었습니다.
둘의 무게차이는 2.5kg 정도이고요.
일단 로드홀딩과 초반 가속력 저하가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쇽 스피드가 많이 떨어진 느낌이며 전체적으로 차의 하체반응이 상당히 둔탁하고 무겁게 느껴집니다.
가속력의 경우 초기 스타트 대쉬 때의 저알피엠 부분, 고단으로 변속 직후 클러치를 미트시키고 난 다음의
미세한 토크감 저하입니다.
썸머휠타 -> 윈터용휠타(순정휠)로 갔을 때도 동일한 느낌입니다.
참고로 연비저하는 체감하지 못했으며, 고속에서의 항속력 증가(?)도 오히려 정 반대의 체감이었습니다.
2018.12.23 21:02:35 (*.7.58.28)
젠쿱 노 브램보 브레이크시스템에서 브램보로 전후모두 업글하였습니다. 확실히 노면추종성이 체감될정도로 떨어집니다. 노면단차를 넘어갈때 확실히 둔탁해지고 허둥대는 느낌이 추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