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자주 운행하지 않는 차량이라 그런지 배터리 성능이 많이 저하된 것 같아 교체 예정입니다.
배터리 교체를 아주 쉽게만 생각했었는데 소유 중인 차량 카페에 간혹 배터리 교체하다가 ECU가 나갔다,
배터리 교체하고 각종 경고등 점등 등 무시무시한 사고? 사례들을 볼 수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몇 가지 교체 방법을 찾아봤는데,
첫 번째가 시동 및 모든 전원 off 후에 교체하는 방법
(제가 알고 있는 상식의 배터리 교체 방법)
두 번째가 시동만 걸어놓고 교체하는 방법
(첨 듣는 방법이긴 한데 창문이라든지 선루프 등등 편의장치 초기화 방지)
세 번째가 시동 및 모든 전원 off 후에 ECU 세이버란 장치를 설치하여 교체하는 방법
(두 번째와 동일한 이유)
이렇게 3가지 방법을 찾을 수가 있었는데
위 3가지 교체 방법 중 제일 안전한 방법은 몇 번일까요?
2019.01.04 21:41:53 (*.226.208.60)

무슨 차종이고 어떤 배터리타입인지라도 알려주시면 좋을텐데요
저도 국산차 일반(AGM아님)타입때는
2번 시동걸고 교환합니다
저도 국산차 일반(AGM아님)타입때는
2번 시동걸고 교환합니다
2019.01.05 04:32:07 (*.120.157.121)

다른 차입니다만(미니) 배터리 세이버라는거 OBD에 꼽고 교체해주길래 그런가보다 했더니 시동걸었는데 깜빡이랑 공조기쪽에 불이 안들어와서 깜짝놀랐습니다. 첨엔 FRM 모듈이 나간줄알고 덜덜 떨었는데 퓨즈라서 다행히 금방 해결했습니다.
이방식으로 이번이 두번째였는데 첫번째 교체했을때는 아무런 문제가 없었습니다.
센터에서는 1번이 원칙이라고 하더군요.
준용님이 말씀하신 개복치 미니는 종종 배터리 갈다가 FRM모듈이 나갑니다... 센터에서 안전하게 30만원 넘게 주고 배터리를 가느냐... 사제로 10만원에 갈다가 복불복으로 40만원 넘어가는 모듈이 나가느냐... 어려운 선택을 해야합니다ㅠ.ㅜ
이방식으로 이번이 두번째였는데 첫번째 교체했을때는 아무런 문제가 없었습니다.
센터에서는 1번이 원칙이라고 하더군요.
준용님이 말씀하신 개복치 미니는 종종 배터리 갈다가 FRM모듈이 나갑니다... 센터에서 안전하게 30만원 넘게 주고 배터리를 가느냐... 사제로 10만원에 갈다가 복불복으로 40만원 넘어가는 모듈이 나가느냐... 어려운 선택을 해야합니다ㅠ.ㅜ
2019.01.05 07:20:13 (*.39.145.176)
어제 gs250 80r 로케트 배터리 교체한 사람입니다
출장배터리로 8.5만원에 10분만에 교체했습니다
시동끈 상태에서 교체하심 별탈없습니다
참고로
저는 배터리 성능저하로 가끔 trc off + engine check 경고등이
들어왔으나 배터리 교환하자마자 곧 경고등은 사라졌습니다
그리고 배터리 교체후 계기판 주행연비 및 계기판 조명밝기 리셋만 있었으며 나머지 차량 설정들은 살아 있었습니다
출장배터리로 8.5만원에 10분만에 교체했습니다
시동끈 상태에서 교체하심 별탈없습니다
참고로
저는 배터리 성능저하로 가끔 trc off + engine check 경고등이
들어왔으나 배터리 교환하자마자 곧 경고등은 사라졌습니다
그리고 배터리 교체후 계기판 주행연비 및 계기판 조명밝기 리셋만 있었으며 나머지 차량 설정들은 살아 있었습니다
2019.01.05 07:36:28 (*.239.183.33)
최근 i30(GD) 배터리 교체했습니다.
얼마 전 한 번 방전되어 점프하여 계속 쓰고 있었는데, 블랙박스 상시녹화에 날이 추워지니
두 번째 방전된 이후로는 충전을 해도 한나절이 지나서 다시 시동을 거니 안 걸리더군요.
계기판 바늘이 널뛰기를 하고, 비상등이 엄청난 스피드로 점멸할 정도로 맛이 갔었습니다.
배터리 교체 후 오디오, 공조기 셋팅이 초기화 되는 건 원래 그러려니 했는데,
계기판의 연료계가 바닥에 달라붙어 꼼짝을 안 하고 연료 경고등이 들어왔습니다.
무시하고 그냥 타고 다니니 알아서 원상복구 되더군요.a;;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교체를 했고, 지금은 별 문제 없이 잘 타고 있습니다.
얼마 전 한 번 방전되어 점프하여 계속 쓰고 있었는데, 블랙박스 상시녹화에 날이 추워지니
두 번째 방전된 이후로는 충전을 해도 한나절이 지나서 다시 시동을 거니 안 걸리더군요.
계기판 바늘이 널뛰기를 하고, 비상등이 엄청난 스피드로 점멸할 정도로 맛이 갔었습니다.
배터리 교체 후 오디오, 공조기 셋팅이 초기화 되는 건 원래 그러려니 했는데,
계기판의 연료계가 바닥에 달라붙어 꼼짝을 안 하고 연료 경고등이 들어왔습니다.
무시하고 그냥 타고 다니니 알아서 원상복구 되더군요.a;;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교체를 했고, 지금은 별 문제 없이 잘 타고 있습니다.
2019.01.06 00:39:35 (*.117.191.171)

14년된 캠리인데, 7년, 13년 되었을때 배터리 교체했는데, 두번 다 그냥 OFF 상태에서 했었습니다. 말씀하신 전장계 오류로 썬루프 개폐가 이상해지는 경우가 있다고 들었었는데, 제 차는 희안하게도 배터리 교체와 무관한 상황에서 발생하더군요. 만에 하나 리셋을 필요로 하는 상황이라면 렉서스/토요타는 전장계 리셋 요령이 구글 검색하면 TSB 문서로도 잘 나와 있고, 유튜브에도 리셋 요령이 많이 공개되어 있습니다. 단 영어로 검색 하셔야 해요.
2019.01.06 11:39:54 (*.7.53.177)
답변주신 회원님들 감사합니다.
어제 배터리 교체 완료하였구요~
3번 ecu세이버란 장치를 연결하고 교체했습니다~
교체후 경고등나 편의장치 초기화는 되지않았네요~^^
어제 배터리 교체 완료하였구요~
3번 ecu세이버란 장치를 연결하고 교체했습니다~
교체후 경고등나 편의장치 초기화는 되지않았네요~^^
2019.01.07 01:42:25 (*.62.178.66)

두번째나 세번째의 전원유지상태에서 배터리를 교환하는 목적은
편의장치 초기화 방지보다는
ecu tcu 등의 운전자 학습값을 유지하기
위한 목적이 더 크다고 생각해주시면 좋을것같습니다^^
편의장치 초기화 방지보다는
ecu tcu 등의 운전자 학습값을 유지하기
위한 목적이 더 크다고 생각해주시면 좋을것같습니다^^
물론 최근 독일차들 같이 변태적 특성이 심화된 차들은 배터리 하나 갈았다고 코딩해줘야 합니다만... 어쨌든 원칙은 1이죠. 어차피 에러코드 소거하지 않는 이상 또 난리피울 거고요, 코딩해줘야 하는 차들은 배터리 교체를 인식시켜 주지 않는 한 멍청하게 동작할 텐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