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9
안녕하세요.
이번 겨울은 기온도 그리 낮지 않고 눈도 안와서 기쁩니다 ㅎㅎ
다름이 아니라 네이버를 보다가 스톤칩 관련 기사가 있길래
여름에 겪었던 해프닝에 대해 간략하게 말씀드리고 싶어서 한 자 적어봅니다.
지방 출장을 잘 다녀와서 웬 경찰서에서 전화가 온겁니다.
뒷차에서 찍은 제 차 사진을 보고 조회를 해서 휴대폰 번호를 알아냈나 봅니다.
뒤에서 신고를 했는데 연락처를 알려드릴테니 원만히 해결하라고 합니다.
뒷차 차주와 연락을 나눠보니
고속도로에서 고속주행중 제 차 뒷바퀴에서 튄 돌맹이때문에 전면유리에 금이 갔으니 보상해달라는 내용입니다.
스톤칩 관련하여 보상을 받기 위해선
선행차 뒷바퀴에서 돌맹이가 튀어서 유리로 날라오는 영상이 찍혀야 한다고 들었습니다.
영상을 몇번 돌려보니 제 차 뒷바퀴에서 돌맹이가 튀어날라오는 듯한 모습이 찍히긴 했습니다.
저희 회사 직원들은 스톤칩은 에잇- 이러고 마는데 이 사람, 끈질기게 보험접수 해달랍니다.
문득 이런 생각이 듭니다.
'내가 이걸 보상해주면 내가 고속도로에서 돌맹이를 밟은것이 잘못이라는 것을 인정해버리는 꼴인데..?'
'앞으로 이런 상황을 막으려면 고속 주행중에 손톱만한 돌맹이를 피해다녀야 하는 것인가?'
짜증나지만 보험 접수 했습니다.
그런데 저희 보험사 직원도 며칠을 알아보더니 결국엔 보상이 어렵다고 합니다..
저도 지방 출장이 잦고 고속 주행이 많아 제 차만 해도 전면유리에 스톤칩이 2개나 있고,
회사차는 물론이요 심지어 화물차는 쉽게 금이 가기도 합니다.
짜증나는 마음 충분히 이해는 하지만, 똥 밟았다 생각해야지 선행차가 보상을 해 줄 책임도 없고 방법도 없는겁니다..
그리고 웬만한 스톤칩은 초기에 적절히 대처하면 감쪽같이 원상복구할수도 있고, 최소한 더 커지는 건 막을 수 있다고 합니다.
회원님들 항상 안전운전하시고, 운행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이번 겨울은 기온도 그리 낮지 않고 눈도 안와서 기쁩니다 ㅎㅎ
다름이 아니라 네이버를 보다가 스톤칩 관련 기사가 있길래
여름에 겪었던 해프닝에 대해 간략하게 말씀드리고 싶어서 한 자 적어봅니다.
지방 출장을 잘 다녀와서 웬 경찰서에서 전화가 온겁니다.
뒷차에서 찍은 제 차 사진을 보고 조회를 해서 휴대폰 번호를 알아냈나 봅니다.
뒤에서 신고를 했는데 연락처를 알려드릴테니 원만히 해결하라고 합니다.
뒷차 차주와 연락을 나눠보니
고속도로에서 고속주행중 제 차 뒷바퀴에서 튄 돌맹이때문에 전면유리에 금이 갔으니 보상해달라는 내용입니다.
스톤칩 관련하여 보상을 받기 위해선
선행차 뒷바퀴에서 돌맹이가 튀어서 유리로 날라오는 영상이 찍혀야 한다고 들었습니다.
영상을 몇번 돌려보니 제 차 뒷바퀴에서 돌맹이가 튀어날라오는 듯한 모습이 찍히긴 했습니다.
저희 회사 직원들은 스톤칩은 에잇- 이러고 마는데 이 사람, 끈질기게 보험접수 해달랍니다.
문득 이런 생각이 듭니다.
'내가 이걸 보상해주면 내가 고속도로에서 돌맹이를 밟은것이 잘못이라는 것을 인정해버리는 꼴인데..?'
'앞으로 이런 상황을 막으려면 고속 주행중에 손톱만한 돌맹이를 피해다녀야 하는 것인가?'
짜증나지만 보험 접수 했습니다.
그런데 저희 보험사 직원도 며칠을 알아보더니 결국엔 보상이 어렵다고 합니다..
저도 지방 출장이 잦고 고속 주행이 많아 제 차만 해도 전면유리에 스톤칩이 2개나 있고,
회사차는 물론이요 심지어 화물차는 쉽게 금이 가기도 합니다.
짜증나는 마음 충분히 이해는 하지만, 똥 밟았다 생각해야지 선행차가 보상을 해 줄 책임도 없고 방법도 없는겁니다..
그리고 웬만한 스톤칩은 초기에 적절히 대처하면 감쪽같이 원상복구할수도 있고, 최소한 더 커지는 건 막을 수 있다고 합니다.
회원님들 항상 안전운전하시고, 운행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19.02.11 02:49:43 (*.74.87.175)
글 보다가 문득 궁금한 점이 있어서 답글 남깁니다. 만약 뒷차 입장이라면 혹시 도로관리책임 등의 사유로 도로공사를 상대로 보상신청을 할수는 없을까요?
2019.02.11 09:59:04 (*.33.164.120)

상식적으로 도로에 조그마한 돌이있다한들 발견하기도 어렵고 안밟고 피할수있는경우는 또 얼마나있나요.. 이런걸 누군가의책임인지 따지기가 가능하다고 여겨지질않네요.,
2019.02.11 12:52:41 (*.62.178.126)
차간거리 유지 때문에 뜻대로 안 될 때가 많은데, 맘먹고 앞차에서 멀찍이 떨어져 다닐 땐
돌빵이 확실히 잘 안 생기더군요.
다만 이것도 때때로 도로 여건이나 운에 따르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 자석차 타고 다닐 땐
앞쪽 멀리 떨어진 트럭 뒷바퀴에서 볼트 하나가 날아와 유리를 팍 찍힌 적도 있었습니다.
돌빵이 확실히 잘 안 생기더군요.
다만 이것도 때때로 도로 여건이나 운에 따르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 자석차 타고 다닐 땐
앞쪽 멀리 떨어진 트럭 뒷바퀴에서 볼트 하나가 날아와 유리를 팍 찍힌 적도 있었습니다.
2019.02.11 13:27:08 (*.2.133.128)
이런걸 그나마 방지하려면 차간거리도 띄우고, 엔진후드 스포일러 추가 장착하시면 유리 보호는 좋습니다.
단지 연비 하락이라는 크리티컬한....
단지 연비 하락이라는 크리티컬한....
2019.02.11 13:58:26 (*.74.110.103)

전면유리 PPF 추천드립니다......값은 꽤 하지만 만족도는 대박입니다.
고속도로 쏘다가 생긴 스톤칩이 두달후 큰 크랙이되어 결국 수십만원들여 전면유리 교체할때 PPF 같이해줬는데.......그후 몇년간 쏘고 다니며 투두툭 투두둑 돌맞는 소리 연타로 들려도 필름 표면에 살짝 돌먼지만 남을 뿐(크랙날 정도의 큰 소음에도 버티더군요) 유리는 멀쩡합니다!!!!
고속도로 쏘다가 생긴 스톤칩이 두달후 큰 크랙이되어 결국 수십만원들여 전면유리 교체할때 PPF 같이해줬는데.......그후 몇년간 쏘고 다니며 투두툭 투두둑 돌맞는 소리 연타로 들려도 필름 표면에 살짝 돌먼지만 남을 뿐(크랙날 정도의 큰 소음에도 버티더군요) 유리는 멀쩡합니다!!!!
2019.02.12 09:04:45 (*.138.100.232)

방탄필름재질의 앞유리 보호필름은 그냥 필수죠. 잠실 오토글로시 같은데가 최고수준샾입니다. 여기저기 알아보시길.
제 차5대는 모두 되어 있습니다.
제 차5대는 모두 되어 있습니다.
2019.02.12 09:31:10 (*.62.173.19)

전면유리보호필름 1세대부터 써왔으나 전 우글거리는 느낌과 투과성은 여전히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전 돌빵좀 모았다가 유리교체를 합니다.
2019.02.13 08:06:59 (*.221.238.7)
저는 동일한 상황에서 피해자 입장이었는데 블박에도 정확히 찍혀서 그랬는지 보상에 큰 문제가 없었습니다.
당연히 보험처리 됐고요. 인터넷에서 다른 분들도 보상 받는데 큰 어려움 없었다란 글을 봤는데 케이스 바이 케이스인가봐요. 상식적으로도 전 보상이 당연한거라고 생각합니다만.. (확실하다라는 가정아래..)
당연히 보험처리 됐고요. 인터넷에서 다른 분들도 보상 받는데 큰 어려움 없었다란 글을 봤는데 케이스 바이 케이스인가봐요. 상식적으로도 전 보상이 당연한거라고 생각합니다만.. (확실하다라는 가정아래..)
2019.02.14 13:04:43 (*.223.32.182)
비슷한 사망사고도 있었는데
밟은차량은 보상해줄의무없고
도로교통공단도 책임없다고 한다더군요
피해입으신분만 똥밟은격인..
밟은차량은 보상해줄의무없고
도로교통공단도 책임없다고 한다더군요
피해입으신분만 똥밟은격인..
2019.02.14 21:46:34 (*.9.170.143)
밟은차가 장애물을 "인지할 수 있었다면" 뒷차 파손을 전액 보상해줘야하며 판례도 있네요.
기사 중간쯤에 보시면
누군가 떨구고(특정 불가), 다른차가 밟고(특정 가능), 뒷차가 얻어맞은 사례가 나옵니다.
http://mn.kbs.co.kr/mobile/news/view.do?ncd=4014360
기사 중간쯤에 보시면
누군가 떨구고(특정 불가), 다른차가 밟고(특정 가능), 뒷차가 얻어맞은 사례가 나옵니다.
http://mn.kbs.co.kr/mobile/news/view.do?ncd=4014360
2019.02.15 10:41:01 (*.21.233.238)

고속주행 중 도로의 장애물을 인지할 수 있다면(피할 수 있다면) 당연히 피하여 불의의 사고를 방지해야겠죠.
피해자는 있고 가해자는 없는 안타까운 상황 줄여야 합니다..
특히 화물차 운전자가 인식을 바꿔야 한다고 봅니다. 저부터가 1톤 화물차 몰 때, 적재함에서 날릴만한게 있는지 수시로 확인하고 웬만한거는 캐빈 안에 넣어야 마음이 놓입니다. 적재함도 수시로 빗자루로 쓸어주고요.
대형 화물차 운전자는 정비 견적이 세다는 현실때문에 타이어를 터질 때 까지 쓴다거나, 예방정비가 미흡한 경우가 허다한데 인식이 많이 바뀌어야 할 것 같습니다.
피해자는 있고 가해자는 없는 안타까운 상황 줄여야 합니다..
특히 화물차 운전자가 인식을 바꿔야 한다고 봅니다. 저부터가 1톤 화물차 몰 때, 적재함에서 날릴만한게 있는지 수시로 확인하고 웬만한거는 캐빈 안에 넣어야 마음이 놓입니다. 적재함도 수시로 빗자루로 쓸어주고요.
대형 화물차 운전자는 정비 견적이 세다는 현실때문에 타이어를 터질 때 까지 쓴다거나, 예방정비가 미흡한 경우가 허다한데 인식이 많이 바뀌어야 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