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검정색 바디와 베이지 인테리어는 깨끗한 상태로 관리하기에 가장 어려운 조합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실버외장과 비교하면 쉽게 더러워지는 이 검정이 깨끗했을 때의 만족도는 더 큰 것 같습니다.

G3청담점에 정기적으로 들르는 이유는 이차의 실내클리닝은 물론 실내 탈취를 완벽하게 해결한 실력 뿐 아니라 직원들이 이 차에 익숙하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실내 클리닝, 아우토아티스트에서의 실내 복원 이후 전혀 오염되지 않아 운전석 시트를 제외하고는 특별한 가죽오염이 없어 실내는 비교적 수월하게 세차를 마무리할 수 있었습니다.

정말 훌륭한 뒷좌석입니다.


W12에만 적용된 밝은 색 우드는 볼수록 고급스럽고 감촉이 너무 좋습니다.


페이톤 W12 6.0이 순정출력이 450마력(전기형 모델은 420마력)과 동일한 최고출력의 955 카이엔 터보입니다.
한창 복원중인데, 웬만큼 완성단계이기 때문에 정말 오랜만에 제대로 씻겨주려고 G3청담점에 데리고 왔습니다.

957터보 순정휠인 21인치 휠타이어와 아이젠만 배기, 그리고 SKN ECU튜닝이 되어 있는데, 500마력이 넘는 현재의 출력이 아니더라도 정말 매력적인 차입니다.

쥐색은 관리하기 가장 수월한 색상이기는 합니다만 그래도 깨끗하면 특유의 펄 느낌이 잘 연출됩니다.

유리의 유막은 발견하면 빨리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인 방법으로 이 유막을 제거하는 것이 매우 어렵지만 G3청담점에서 전용약품으로 쉽게 제거했습니다.

유막을 제거한 쪽과 그렇지 않은쪽의 차이를 한번 보시기 바랍니다.


앞 6피스톤, 뒤 4피스톤 브렘보가 기본인 카이엔은 하드웨어적으로 정말 강인한 차입니다.

아이젠만 스포츠 머플러의 팁도 깨끗이 닦았습니다.


폭스바겐에서는 4.2 V8을 주로 사용했고 4.5리터 트윈터보 유닛은 957이 나오면서 4.8로 커졌고 직분사화되었습니다.
근데 이 4.5유닛이 정말 매력적인 이유는 MPI 트윈터보라 좀 더 꽝터보다운 가속력이 나오고 사운드가 정말 좋습니다.
2.3톤이 넘는 무게를 감안했을 때 정말 너무나 쉽게 200이상의 속도를 넘나들며, 고속도로에서의 핸들링 역시 SUV로는 사기에 가까운 수준입니다.








아직 완성단계가 아니기 때문에 완성이 되면 여러가지 복원 스토리를 공유할 예정입니다.
1세대이고 투아렉과 상당히 많은 부분을 공유했는데, 1세대라서 받은 특권들도 많은 차입니다.
환경친화와는 거리가 멀지만 내연기관을 장착한 차량 중 무게 대비 이렇게 강력하게 달릴 수 있는 차들은 많지 않다는 점에서 찐하게 경험할 수록 느끼는 것이 많은 차입니다.
중국발 미세먼지가 극성인 날씨지만 그래도 세차는 항상 기분이 좋습니다.
-testkwon-
- IMG_8297.jpg (263.7KB)(1)
- IMG_8299.jpg (222.2KB)(2)
- IMG_8300.jpg (265.3KB)(0)
- IMG_8301.jpg (243.3KB)(0)
- IMG_8302.jpg (242.0KB)(1)
- IMG_8303.jpg (263.4KB)(0)
- IMG_8304.jpg (185.3KB)(0)
- IMG_8556.jpg (299.8KB)(0)
- IMG_8557.jpg (284.2KB)(0)
- IMG_8558.jpg (307.3KB)(1)
- IMG_8560.jpg (277.1KB)(0)
- IMG_8561.jpg (248.6KB)(0)
- IMG_8562.jpg (338.1KB)(0)
- IMG_8563.jpg (299.0KB)(0)
- IMG_8564.jpg (238.1KB)(0)
- IMG_8565.jpg (256.3KB)(0)
- IMG_8566.jpg (227.4KB)(0)
- IMG_8569.jpg (302.1KB)(0)
- IMG_8570.jpg (277.2KB)(0)
- IMG_8571.jpg (335.9KB)(0)
- IMG_8572.jpg (193.1KB)(0)
- IMG_8574.jpg (210.0KB)(0)
- IMG_8575.jpg (283.7KB)(0)
- IMG_8577.jpg (260.8KB)(0)
- IMG_8578.jpg (282.0KB)(0)
- IMG_8578-1.jpg (322.8KB)(0)
- IMG_8579.jpg (244.4KB)(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