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어머니가 이번주나 다음주내로 차를 바꾸게 되었습니다.
그동안 시간을 갖고 다른차들도 둘러봤지만 부모님도 그렇고 저도 벤츠 C클레스가 마음에 들어서 집에선 거의 이차로 결정나는 분위기입니다.
다만 가솔린모델을 사고싶었는데 얼마전에 페이스리프트를 하면서 지금은 c220d밖에 없다고 합니다.
으음... 요즘 정부에서 경유차 죽이기 정책을 밀고 있는데 과연 이차를 사서 몇년이나 타고다닐 수 있을까 걱정됩니다.
나중에 중고차로 되팔려고 해도 값이 많이 떨어지지 않을까도 걱정입니다.
그리고 이번에 차를 알아보러 다니면서 폭스바겐, bmw, 벤츠, 아우디 다 돌아다녀 봤지만 가솔린차를 고르려고 해도 쉽지가 않았습니다.
유럽이나 한국이나 경유차를 보는 눈이 좋지 않는데 우리나라에 팔리는 독일 브랜드들 차들은 왜 디젤차들을 주력으로 팔고 있는지도 의문입니다.
그동안 시간을 갖고 다른차들도 둘러봤지만 부모님도 그렇고 저도 벤츠 C클레스가 마음에 들어서 집에선 거의 이차로 결정나는 분위기입니다.
다만 가솔린모델을 사고싶었는데 얼마전에 페이스리프트를 하면서 지금은 c220d밖에 없다고 합니다.
으음... 요즘 정부에서 경유차 죽이기 정책을 밀고 있는데 과연 이차를 사서 몇년이나 타고다닐 수 있을까 걱정됩니다.
나중에 중고차로 되팔려고 해도 값이 많이 떨어지지 않을까도 걱정입니다.
그리고 이번에 차를 알아보러 다니면서 폭스바겐, bmw, 벤츠, 아우디 다 돌아다녀 봤지만 가솔린차를 고르려고 해도 쉽지가 않았습니다.
유럽이나 한국이나 경유차를 보는 눈이 좋지 않는데 우리나라에 팔리는 독일 브랜드들 차들은 왜 디젤차들을 주력으로 팔고 있는지도 의문입니다.
2019.02.26 18:31:15 (*.62.215.105)
디젤 차량은 미세먼지와 질소산화물이 가장 큰 문제라 하지만, 그보다 현실적인 문제는 정부 정책이네요. 비단 최근 뿐만이 아니라, 과거 클린 디젤이라며 국가가 디젤 차량을 권하던 시절이 무색하게 지금은 유로4가 서울시 운행규제 대상인 5등급을 간신히 면할 정도로 정부 정책이 일관성이 없어 차량 유지에 불확실성을 남기는게 문제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지금도 유로6 디젤차들은 생각보다 잘 팔리고 있으니...
제 경우는 모험이나 리스크를 좋아하지 않아 불확실성을 피하기 위해 디젤 탄압이 시작된 이후로는 가솔린만 타고 있습니다. 제 체질엔 발빠른 반응과 우악스런 토크의 최신 전자식 디젤 터보 엔진이 딱인데, 어쩔 수 없지요. 디젤 맛을 보고 나니 가솔린은 준중형에 2.0 이상, 중형에 2.4 이상이 아니면 답답하더군요.
제 경우는 모험이나 리스크를 좋아하지 않아 불확실성을 피하기 위해 디젤 탄압이 시작된 이후로는 가솔린만 타고 있습니다. 제 체질엔 발빠른 반응과 우악스런 토크의 최신 전자식 디젤 터보 엔진이 딱인데, 어쩔 수 없지요. 디젤 맛을 보고 나니 가솔린은 준중형에 2.0 이상, 중형에 2.4 이상이 아니면 답답하더군요.
2019.02.26 23:32:23 (*.249.156.110)
디젤의 배출가스가 가솔린 대비 더티하여 환경 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부가적인 장비가 많이 붙을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한 유지보수 비용 증가는 어쩔 수 없이 감수해야 하는 면이 있으니... 전면 과급화된 최신 디젤 엔진은 과급기와 재순환 계통의 사소한 고장이나 노후화가 적게는 미립자 여과장치부터 심하게는 엔진 본체를 작살내는 악순환이 가장 큰 리스크인 것 같습니다. 그냥 타도 고장나는 일이 그렇게 많지는 않지만, 문제는 장기간 운행하거나 중고를 사는 경우 무슨 일이 생길지 장담할 수가 없다는게...
편하게 타기에는 말씀하신대로 아직까지는 가솔린이 디젤보다 나은 것 같습니다. 엔진오일도 더 적게 들어가고 부가장비도 덜 들어가니...
편하게 타기에는 말씀하신대로 아직까지는 가솔린이 디젤보다 나은 것 같습니다. 엔진오일도 더 적게 들어가고 부가장비도 덜 들어가니...
2019.02.26 21:09:45 (*.176.66.39)

개인적으로 디젤 승용의 시대는 완전히 끝났다고 보고 있습니다. OEM에서는 서둘러 디젤라인업을 정리하고 있고 국내에서 연료비 역시 휘발유 대비 메리트카 점점 줄어들 것입니다. 제 주변 지인이 수천만원짜리 수입차로 디젤 신차를 구매하겠다고 하면 만류할것 같습니다.
2019.02.26 22:57:30 (*.100.166.135)

디젤이 가진 장점은 가솔린 하이브리드 및 전기차 보급이 확대되면서 의미를 잃었습니다.
어느쪽이 진짜 친환경이냐는 뭐 또 다른 문제지만요.
어머니 차량이라면 조금 더 보태서 e 클래스 가솔린은 어떠신지요,
당장은 몰라도 장기적으로 디젤유에 대한 세금이 오르는 것은 명약관화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