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작년부터 같은 문제로 이곳에 몇번의 글을 올렸지만 결국
지금까지 잡지못하고 있습니다
16년식 벨로스터 터보 수동을 구입하였고 현재 11만이 넘어갔습니다 10만쯤 부터 증상이 보이기 시작했으며 다음과 같습니다
주행중 차가 미세하게 살짝씩 우측으로 흐르는것 같습니다
좌우측 거동이 차이가 나며 전체적으로 고속으로 갈수록
밸런스가 무너집니다
증세가 시작하면서 평소 겪어보지 못한일들이 종종 보이는데요
Vdc개입이 잦아지고 예민해졌습니다 타이어폭에 손바닥만한 이상
편마모가 발생되기도 하고 새타이어에서 반도 못쓰고 중고속
넘어가면 핸들과 차체가 엄청 떨기 시작합니다
우회전은 처음과 차이가 없는데 좌회전시 거동이 불안하고
밸런스가 깨집니다 주행중 우측이 살짝 주저앉은 느낌이 오며
핸들을 본의아니게 좌측으로 힘이들어가고 있다는것을 느낍니다
차가 없을때 꽤나 속도를 즐기며 주로 코스가 정해져 있기에
예전과 확실히 다르다는걸 느낍니다
예로 코너에서 180이라는 한계로 몰아붙히는 구간에서
지금은 160넘기가 불안합니나
전체적인 코스를 수없이 테스트 해봤지만 확실히 차량밸런스가
안나와서 한계주행을 할수가 없습니다 특히 차선변경시에도
좌측변경은 무언가 거동이 불안하게 움직여집니다
일반 정비사 분들께 설명드리거나 간단하게 시운전 하시면
잘 모르겠다고 합니다
큰사고는 없으며 마땅히 원인을 찾을수가 없습니다
그동안 교환한 부품은
새타이어 네짝 두번 쇼바댐퍼 앞뒤 스테빌링크 스테빌라이져
허브베어링 너클 허브 엔드볼 로어암 리어부싱 등속조인트
하부에 부속품이란 다 갈아봤지만 조금 호전되 보인것같지만
근본적 증상은 나아지질 않았습니다
얼라이먼트 너무많이 봤고 너무 잘나옵니다 또 어디를
손봐야 할까요?
더이상 손볼때도 마땅히 생각이 안납니다
일반주행에선 큰 불편은 없지만 고속주행이나 핸들링이
불안합니다
휠 쇼바등 하부는 모두 순정입니다 공도에서만 운행합니다
소음진동은 딱히 없고 차가 우측으로 살짝 기울어지고 흐른다는거
스포츠주행은 불안해서 할수도 없으며 고속에서 급감속시 자체가
차선을 이탈하기도 합니다
모든 답변 조언 충고등 기다리겠니다
더블어 추천해주실 정비관련 업체도 있으시면 감사드립니다
1년동안 엄한 부품만 갈고있고 증상은 그대로네요
지금까지 잡지못하고 있습니다
16년식 벨로스터 터보 수동을 구입하였고 현재 11만이 넘어갔습니다 10만쯤 부터 증상이 보이기 시작했으며 다음과 같습니다
주행중 차가 미세하게 살짝씩 우측으로 흐르는것 같습니다
좌우측 거동이 차이가 나며 전체적으로 고속으로 갈수록
밸런스가 무너집니다
증세가 시작하면서 평소 겪어보지 못한일들이 종종 보이는데요
Vdc개입이 잦아지고 예민해졌습니다 타이어폭에 손바닥만한 이상
편마모가 발생되기도 하고 새타이어에서 반도 못쓰고 중고속
넘어가면 핸들과 차체가 엄청 떨기 시작합니다
우회전은 처음과 차이가 없는데 좌회전시 거동이 불안하고
밸런스가 깨집니다 주행중 우측이 살짝 주저앉은 느낌이 오며
핸들을 본의아니게 좌측으로 힘이들어가고 있다는것을 느낍니다
차가 없을때 꽤나 속도를 즐기며 주로 코스가 정해져 있기에
예전과 확실히 다르다는걸 느낍니다
예로 코너에서 180이라는 한계로 몰아붙히는 구간에서
지금은 160넘기가 불안합니나
전체적인 코스를 수없이 테스트 해봤지만 확실히 차량밸런스가
안나와서 한계주행을 할수가 없습니다 특히 차선변경시에도
좌측변경은 무언가 거동이 불안하게 움직여집니다
일반 정비사 분들께 설명드리거나 간단하게 시운전 하시면
잘 모르겠다고 합니다
큰사고는 없으며 마땅히 원인을 찾을수가 없습니다
그동안 교환한 부품은
새타이어 네짝 두번 쇼바댐퍼 앞뒤 스테빌링크 스테빌라이져
허브베어링 너클 허브 엔드볼 로어암 리어부싱 등속조인트
하부에 부속품이란 다 갈아봤지만 조금 호전되 보인것같지만
근본적 증상은 나아지질 않았습니다
얼라이먼트 너무많이 봤고 너무 잘나옵니다 또 어디를
손봐야 할까요?
더이상 손볼때도 마땅히 생각이 안납니다
일반주행에선 큰 불편은 없지만 고속주행이나 핸들링이
불안합니다
휠 쇼바등 하부는 모두 순정입니다 공도에서만 운행합니다
소음진동은 딱히 없고 차가 우측으로 살짝 기울어지고 흐른다는거
스포츠주행은 불안해서 할수도 없으며 고속에서 급감속시 자체가
차선을 이탈하기도 합니다
모든 답변 조언 충고등 기다리겠니다
더블어 추천해주실 정비관련 업체도 있으시면 감사드립니다
1년동안 엄한 부품만 갈고있고 증상은 그대로네요
2019.03.16 08:51:17 (*.65.173.166)
증상이 비슷한거 같기도 하고. , 제차는 비정상적인 코너안에서의 vdc개입으로 한참 고생하다가 abs모듈을 통채로 갈고 해결했었습니다. 진단기에 물려 abs모듈과 관련된 코드들을 확인하기도 했구요
2019.03.16 13:35:19 (*.39.150.108)
혹시 브레이크가 물려있는 문제는 아닐까요? 호스의 꺾임이나 뭐 그런 이유로든..
야매로 수리된 오토바이에서 핸들 틀떄마다 호스 라우팅이 미묘하게 꺾여서 커브 돌때마다 묘한 위화감이 느껴지는 그런 케이스도 있어서..
2019.03.17 10:22:49 (*.138.24.83)
작성자 입니다 도움의 댓글에 다들 감사드립니다
예전에 하부에 충격이 좀 있었는데 크로스멤버의 변형이
의심되긴 합니나 주차장에서 칸마다 설치된 고무를
발견하지 못하고 하부로 통과한적 있었는데 그때 나름
큰 충격이 유일한 충격인것 같습니다 멤버의 변형 증상과도
일치하는 부분도 있는것 같습니다
예전에 하부에 충격이 좀 있었는데 크로스멤버의 변형이
의심되긴 합니나 주차장에서 칸마다 설치된 고무를
발견하지 못하고 하부로 통과한적 있었는데 그때 나름
큰 충격이 유일한 충격인것 같습니다 멤버의 변형 증상과도
일치하는 부분도 있는것 같습니다
2019.03.17 14:11:40 (*.7.59.14)
이런 식의 미묘한 문제는 일반적으로 포기하고 새차를 사는 것이 가장 빠른 해결방법이고, 그게 저렴한 해결방법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2019.03.17 17:01:14 (*.62.215.172)
주차장 스토퍼를 그냥 통과할 정도면 관건은 속력일 듯 한데, 크로스멤버는 물론 사이드멤버와 휀더에이프런 앗세이의 틀어짐까지 점검을 해보심이 좋을 듯 합니다. 차체라는게 초고장력 강판을 쓰더라도 절대 강체가 아닌 탄성체이고, 탄성으로 원복될만한 한계를 벗어난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는 되돌아오지 않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크로스멤버는 바디 구조물에 비해 작으면서 철판도 두껍고, 변형보다도 찢어지는 경우가 많다고 하네요. 그런데 그렇게 될 정도면 크로스멤버가 붙는 부위 주변으로 바디 구조물의 꺾임이 없는지 필히 체크를 해봐야 한다고 합니다.
크로스멤버는 바디 구조물에 비해 작으면서 철판도 두껍고, 변형보다도 찢어지는 경우가 많다고 하네요. 그런데 그렇게 될 정도면 크로스멤버가 붙는 부위 주변으로 바디 구조물의 꺾임이 없는지 필히 체크를 해봐야 한다고 합니다.
2019.03.20 16:40:50 (*.99.38.18)
예전에 제차량 증상과 비슷한것 같네요. 저도 테드에 질문 올린 적 있구요. k5터보를 운행중입니다만...어느순간 이차가 좌회전은 부드럽게 잘되나 우회전시 밸런스가 무너지고... 주행 중 좌측(특히 후륜쪽)이 주저앉은 느낌이 심했습니다. 약간 사선으로 진행한다는 느낌도 있었구요. 작성자분과 같이 얼라이먼트는 정확했었죠. 근 3년을 이증상 때문에 골머리를 앓았습니다.
효과가 있었던 정비사항만 적어보겠습니다.
1. 공차정렬 : 리프트에 올려서 하중받는 상태로 하부 볼트(앞뒤서브프레임, 앞뒤쇼버너클, 트레일링암볼트..등
하중을 받는 모든 부분의 볼트류)를 모두 풀고 차량을 두어번 흔들고 재조립
=> 100%는 아니나 한층 좋아졌고(70%수준).. 특히 차량 거동과 접지력이 좋아진 느낌을 받음..
2. 하부 볼트 규정토크 재조임 : 서브프레임, 트레일링암 등 다소 굵은 볼트류를 신품으로 교체후 규정토크로
재조임
=> 규정토크 조임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이렇게 작업하니 좌우 밸런스가 잡히더군요.
이점이 좀 이상하여 볼트류 조임토크가 얼마나 영향이 있을까 실험을 해봤습니다.
우측을 좌측보다 강하게 조이면 ... 차량의 좌측이 무너지고.. 반대로 조이면 반대증상이 나타났습니다.
특히...각종 언더바류 탈착(제차량의 경우)이나... 하부부품 교환이력이 많다면... 부품교환시 양쪽 균일한
토크로 조이지 않았다면 밸런스가 무너진다고 나름 결론을 내렸습니다.
특히, 서브프레임 고정볼트, 트레일리암 고정볼트 등 다소 굵은 볼트류가 영향을 많이 줬습니다.
저는 위 두가지를 따로 했으나... 공차정렬시 함께 작업하는 것이 여러모로 좋겠죠.
많은 시행착오를 거쳐 지금은 좌우회전 비슷한 느낌으로 돌아나갑니다. 한쪽 무너짐 증상도 없구요.
저도 많이 답답했었는데, 작성자님께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효과가 있었던 정비사항만 적어보겠습니다.
1. 공차정렬 : 리프트에 올려서 하중받는 상태로 하부 볼트(앞뒤서브프레임, 앞뒤쇼버너클, 트레일링암볼트..등
하중을 받는 모든 부분의 볼트류)를 모두 풀고 차량을 두어번 흔들고 재조립
=> 100%는 아니나 한층 좋아졌고(70%수준).. 특히 차량 거동과 접지력이 좋아진 느낌을 받음..
2. 하부 볼트 규정토크 재조임 : 서브프레임, 트레일링암 등 다소 굵은 볼트류를 신품으로 교체후 규정토크로
재조임
=> 규정토크 조임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이렇게 작업하니 좌우 밸런스가 잡히더군요.
이점이 좀 이상하여 볼트류 조임토크가 얼마나 영향이 있을까 실험을 해봤습니다.
우측을 좌측보다 강하게 조이면 ... 차량의 좌측이 무너지고.. 반대로 조이면 반대증상이 나타났습니다.
특히...각종 언더바류 탈착(제차량의 경우)이나... 하부부품 교환이력이 많다면... 부품교환시 양쪽 균일한
토크로 조이지 않았다면 밸런스가 무너진다고 나름 결론을 내렸습니다.
특히, 서브프레임 고정볼트, 트레일리암 고정볼트 등 다소 굵은 볼트류가 영향을 많이 줬습니다.
저는 위 두가지를 따로 했으나... 공차정렬시 함께 작업하는 것이 여러모로 좋겠죠.
많은 시행착오를 거쳐 지금은 좌우회전 비슷한 느낌으로 돌아나갑니다. 한쪽 무너짐 증상도 없구요.
저도 많이 답답했었는데, 작성자님께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혹시 크로스멤버가 충격으로 인한 변형이나 멤버 불량시
어떤 증상이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마지막으로 크로스멤버 교환을 생각하고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