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9
(16년식 벨로스터 터보 수동 순정)
주행중 주저앉음,쏠림 밸런스 문제등 문의했던 글쓴이 입니다
1년동안 증상을 잡아보려 거의 모든 하부 부품을 교환해 봤지만
호전이 없어 오늘 마지막 심정으로 전륜 멤버를 교환해 봤습니다
조금 교환이 끝나고 바로 테스트차 50km 구간을 주행하고 왔는데요 아쉽게도 증상은 그대로입니다
증상 감지 후 벌써 새타이어를 두번째 교환함에도 중속부터
핸들과 차체가 파다닥 조금씩 떨기 시작합니다
이대로 타다간 전 타이어처럼 반도 못쓰고 편마모로 교환할께
뻔합니다 휠얼라이먼트는 모두 정상으로 잘 나오는데
유난히 우측이 살짝 주저앉고 중고속에서 약간에 급브레이킹시에도 좌측으로 차선 이탈하려는 증상을 보이며 양쪽 두바퀴의
접지력이 일정한 느낌이 아닌 어느 한쪽이 접지력을 잃어 차가
한쪽으로 쏠리는 증상이 발생되고 있습니다
간헐적으로 정차후 핸들을 많이 돌리면 가볍게 딱!하는
소리는 들렸지만 오늘 처음 편의점서 나오면서 이빠이 핸들을
꺽으니 전륜 하부쪽에서 목탁소리처럼 둔탁한 탁! 소리가
제법 크게 들리더군요
이전에 제법 마모된 타이어 상태에서 조심히 유턴하는데도 좌회전을 하면 드드득? 뿌드득?같은 타이어가 밀리는 소리가 간헐적으로
발생했습니다
정비업소에선 시운전을 해도 잘 모르겠다 하는데
이상없이 10만을 타면서 제 몸에 베인 느낌은
분명히 차가 이상해졌다라는걸 어렵지 않게 느낍니다
굴곡진 노면에서도 좌측과 우측 바퀴에서 전달해오는
진동 또한 확연히 차이납니다 우측이 유난히 충격이 심하고
접지력을 쉽게 놓치는듯 합니다
각종 암 부싱 링크 볼 쇼바 조인트 활대 넉클앗세이 멤버등 이젠 모든 부품은
교환해 봤네요 확실한건 100키로도 안된 새타이어임에도
중고속에서 핸들이 떨리기 시작하며 키로수가 누적될수록
증상은 더욱 심해질것이며(휠발란스 얼라이먼트 정상)
고속 브레이킹시 우측이 유난히 푹 꺼지며 차체가 좌측으로
이동하려는 성질이 강합니다
주행중 차가 살짝살짝 미세하게 사선으로 가려는 성질도
있네요 특히 좌측 차선변경시 더 명확히 느껴지고요
평소 고속주행을 즐겨했고 한달에 몇번씩 휠스핀이 날정도로 급출발을 하고다녔습니다
큰 사고나 충격은 딱히 없습니다
쓰다보니 주저리주저리 두서없이 작성하게 된점 죄송합니다
주행중 주저앉음,쏠림 밸런스 문제등 문의했던 글쓴이 입니다
1년동안 증상을 잡아보려 거의 모든 하부 부품을 교환해 봤지만
호전이 없어 오늘 마지막 심정으로 전륜 멤버를 교환해 봤습니다
조금 교환이 끝나고 바로 테스트차 50km 구간을 주행하고 왔는데요 아쉽게도 증상은 그대로입니다
증상 감지 후 벌써 새타이어를 두번째 교환함에도 중속부터
핸들과 차체가 파다닥 조금씩 떨기 시작합니다
이대로 타다간 전 타이어처럼 반도 못쓰고 편마모로 교환할께
뻔합니다 휠얼라이먼트는 모두 정상으로 잘 나오는데
유난히 우측이 살짝 주저앉고 중고속에서 약간에 급브레이킹시에도 좌측으로 차선 이탈하려는 증상을 보이며 양쪽 두바퀴의
접지력이 일정한 느낌이 아닌 어느 한쪽이 접지력을 잃어 차가
한쪽으로 쏠리는 증상이 발생되고 있습니다
간헐적으로 정차후 핸들을 많이 돌리면 가볍게 딱!하는
소리는 들렸지만 오늘 처음 편의점서 나오면서 이빠이 핸들을
꺽으니 전륜 하부쪽에서 목탁소리처럼 둔탁한 탁! 소리가
제법 크게 들리더군요
이전에 제법 마모된 타이어 상태에서 조심히 유턴하는데도 좌회전을 하면 드드득? 뿌드득?같은 타이어가 밀리는 소리가 간헐적으로
발생했습니다
정비업소에선 시운전을 해도 잘 모르겠다 하는데
이상없이 10만을 타면서 제 몸에 베인 느낌은
분명히 차가 이상해졌다라는걸 어렵지 않게 느낍니다
굴곡진 노면에서도 좌측과 우측 바퀴에서 전달해오는
진동 또한 확연히 차이납니다 우측이 유난히 충격이 심하고
접지력을 쉽게 놓치는듯 합니다
각종 암 부싱 링크 볼 쇼바 조인트 활대 넉클앗세이 멤버등 이젠 모든 부품은
교환해 봤네요 확실한건 100키로도 안된 새타이어임에도
중고속에서 핸들이 떨리기 시작하며 키로수가 누적될수록
증상은 더욱 심해질것이며(휠발란스 얼라이먼트 정상)
고속 브레이킹시 우측이 유난히 푹 꺼지며 차체가 좌측으로
이동하려는 성질이 강합니다
주행중 차가 살짝살짝 미세하게 사선으로 가려는 성질도
있네요 특히 좌측 차선변경시 더 명확히 느껴지고요
평소 고속주행을 즐겨했고 한달에 몇번씩 휠스핀이 날정도로 급출발을 하고다녔습니다
큰 사고나 충격은 딱히 없습니다
쓰다보니 주저리주저리 두서없이 작성하게 된점 죄송합니다
2019.03.19 08:37:10 (*.39.150.68)
그 동안 올리신 글들과 주차장 스토퍼를 타고 넘으신 적 있다는 내용으로 종합해보면, 급작스럽고 큰 충격이 로워암과 쇽타워를 타고 들어온 걸로 보입니다. 서스펜션의 스트로크가 크고 쇽 반응이 빠른 랠리카가 아닌 로드카라면 상대물이 주차장 스토퍼인 이상 날카롭게 치는 충격은 타이어에서 걸러졌겠지만, 쇽에서 충분히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고 우측 휀더 에이프런(속칭 휠하우스) 앗세이가 통째로 틀어졌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듯 합니다.
마지막으로 우측 전륜 휠의 틀어짐 유무만 확인해보신 뒤 이상이 없다면 바디 얼라인먼트를 보시는게 맞을 것 같습니다. 교체할 수 있는 섀시 부품을 다 교체하고도 동일 증상이 나온다면 남은게 바디 밖에 없네요.
제 경우, 그간 타온 차들 중 바디가 틀어진 것이 3대이며 전륜 쪽으로 큰 충격이 들어와 캐빈 앞쪽이 내려앉은 차들은 전륜 접지가 불안하거나 전륜 쪽으로의 하중 이동량이 큰 느낌이었고, 브레이킹을 세게 걸어 턴인을 시도하면 심한 언더 혹은 생뚱맞은 오버스티어가 발생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제가 운전은 영 못하지만, 제 운전 미숙과는 별개로 차가 그런 경향이 있음은 확실히 알 수 있었습니다.
매우 조심스럽고 쉽게 권할 사항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만, 저라면 아래와 같은 방법을 시도해볼 것 같습니다.
1. 바디 얼라인먼트 측정
2. 1번에서 바디 틀어짐 확인시
1) 바디 교정을 시도한다.
2) 혹은 변형된 부위의 바디 구조물을 부분 절단이 아닌 앗세이 통째로 교환한다.
3. 수리 후 경과를 지켜보고 불만족스러울 시 휀더보강킷 등을 설치하여 보완하고 경과를 더 지켜본다.
바디가 틀어진 차는 섀시 쪽에서 얼라인먼트로 최대한 잡더라도 한계가 있고, 정차 상태에서의 얼라인먼트는 정상 범위로 나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주행 중 발생되는 문제는 원인을 찾고 대책을 세우기가 참 어렵더군요.
차량이 그리 오랜 차량도 아니고, 장기 유지하실 상황이라면 안전을 위해서도 바디 점검을 받아보시는게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혹은 차량 타입상 오래 유지할 것 같지 않다면 차량 교체를 해야겠지요.
마지막으로 우측 전륜 휠의 틀어짐 유무만 확인해보신 뒤 이상이 없다면 바디 얼라인먼트를 보시는게 맞을 것 같습니다. 교체할 수 있는 섀시 부품을 다 교체하고도 동일 증상이 나온다면 남은게 바디 밖에 없네요.
제 경우, 그간 타온 차들 중 바디가 틀어진 것이 3대이며 전륜 쪽으로 큰 충격이 들어와 캐빈 앞쪽이 내려앉은 차들은 전륜 접지가 불안하거나 전륜 쪽으로의 하중 이동량이 큰 느낌이었고, 브레이킹을 세게 걸어 턴인을 시도하면 심한 언더 혹은 생뚱맞은 오버스티어가 발생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제가 운전은 영 못하지만, 제 운전 미숙과는 별개로 차가 그런 경향이 있음은 확실히 알 수 있었습니다.
매우 조심스럽고 쉽게 권할 사항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만, 저라면 아래와 같은 방법을 시도해볼 것 같습니다.
1. 바디 얼라인먼트 측정
2. 1번에서 바디 틀어짐 확인시
1) 바디 교정을 시도한다.
2) 혹은 변형된 부위의 바디 구조물을 부분 절단이 아닌 앗세이 통째로 교환한다.
3. 수리 후 경과를 지켜보고 불만족스러울 시 휀더보강킷 등을 설치하여 보완하고 경과를 더 지켜본다.
바디가 틀어진 차는 섀시 쪽에서 얼라인먼트로 최대한 잡더라도 한계가 있고, 정차 상태에서의 얼라인먼트는 정상 범위로 나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주행 중 발생되는 문제는 원인을 찾고 대책을 세우기가 참 어렵더군요.
차량이 그리 오랜 차량도 아니고, 장기 유지하실 상황이라면 안전을 위해서도 바디 점검을 받아보시는게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혹은 차량 타입상 오래 유지할 것 같지 않다면 차량 교체를 해야겠지요.
바디 얼라인먼트를 점검하는게 좋을것 같네요
https://www.testdrive.or.kr/qna/741494
이런 내용도 있구요
gsw.hyundai.com에 가셔서 차체치수도 출력하셔서
리프트에 띄워놓고 하부 바디를 줄자로라도 측정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