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맥스크루즈 2.2 유로5 오너입니다..
지금 하려고 하는게 pwr인쿨600*200(하단배치) pwr미션쿨러,배기는 중통엔드 직관, 흡기는 순정 상태로 맵핑만 해서 타려고 합니다.
터빈업은 아직 생각중이긴 한데 하지 않을것 같습니다^^;;
달리기 보다는 내구성과 약간의 출력의 목마름 정도..?
저 위에 항목만 했을 경우 문제점이라던지.. 추가로 보강해야 한다거나 구지 안해도 된다 하는게 있나요?? 회원님들의 의견 궁금합니다!
지금 하려고 하는게 pwr인쿨600*200(하단배치) pwr미션쿨러,배기는 중통엔드 직관, 흡기는 순정 상태로 맵핑만 해서 타려고 합니다.
터빈업은 아직 생각중이긴 한데 하지 않을것 같습니다^^;;
달리기 보다는 내구성과 약간의 출력의 목마름 정도..?
저 위에 항목만 했을 경우 문제점이라던지.. 추가로 보강해야 한다거나 구지 안해도 된다 하는게 있나요?? 회원님들의 의견 궁금합니다!
2019.04.13 21:32:51 (*.33.181.65)
dpf달린 디젤에 배기튜닝을 권하는 샵이라면 믿고 거르세요.
언급하신 하드웨어적 튜닝이 의미있는 차가 아닙니다.
그 예산으로 오일류 좋은거로 교체하시고 브레이크와 타이어에
투자하심이... 성능면에서는 검증된 맵핑 정도면 충분하실듯..
언급하신 하드웨어적 튜닝이 의미있는 차가 아닙니다.
그 예산으로 오일류 좋은거로 교체하시고 브레이크와 타이어에
투자하심이... 성능면에서는 검증된 맵핑 정도면 충분하실듯..
2019.04.13 22:13:27 (*.76.155.216)
R엔진은 하드웨어 변경없이 맵핑만으로 충분합니다. 매연 쏟아낼 각오 아니면 배기 변경해도 출력 의미 없고요. 순정 배기가 출력 제일 잘 나옵니다. 본문에서 말씀하신 하드웨어 변경은 터빈 바꾸지 않으면 의미 없습니다.
2019.04.14 12:39:44 (*.82.249.130)
디젤은 맵핑만 하는게 제일 가성비 좋고 마음도 편합니다. 저라면 언급하신 아이템 중에 밋션오일 쿨러+맵핑만 하고 즐겁게 탈 것 같습니다. dpf탈거를 권하는 샵이면 일단 뒤도 보지 마시고 돌아 나오시고요, dpf 탈거 안 하고 배기 튜닝 권하는 샵도 그냥 돌아 나오시면 되겠습니다. dpf달린 디젤차는 배기 작업 해봤자 의미가 없습니다 dpf 가 다 막고 있어서 중통 및 엔드 직관해도 소리도 안 납니다. 그리고 인터쿨러도 참으시고 그 돈으로 타이어 괜찮은거 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저는 타사 2.0 디젤 승용 타는데 딱 맵핑만 해서 지지고 볶고 즐겁게 타고 있습니다 ^^
2019.04.16 21:05:57 (*.148.119.10)
13년식 DM 2.2 터빈업을 세컨으로 운용중입니다.
인터쿨러(볼트온 전면배치), 베라주조터빈, 엔진오일쿨러, 대용량라디에이터, 메탄올인젝션, 브리더탱크
이렇게 인스톨 되어있습니다.(수동이라 미션쿨러는 없습니다)
흡기와 배기는 순정 그대로 사용중입니다.
맵핑만 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맵팽만으로 부족하시면 + 메탄올인젝션을 고려해보시는건 어떨가 싶네요(메탄올대신 에탄올 써도 됩니다)
R엔진 수온에 약합니다. 헤드열변형으로 교체 2번 했습니다.
맵핑만으로도 풀악셀 30초만에 수온뜰꺼예요
이런점을 볼때 인터쿨러 전면배치는 주행풍을 방해해 수온상승 요인이 되므로
하단배치는 좋은 선택입니다.
그런데 하단배치하면 라인길어져서 리스폰스 떨어집니다.
디젤에 인터쿨러 자체가 출력상승도 미미하구요.
제차량(4륜수동)기준 다이노 휠마력
순정 167마력
맵핑 208마력
K04터빈 253마력 (후빨은 괜찮으나 스풀업이 뒤로 밀려 시내주행 거의 불가수준이라 2천키로주행후 교환)
베라주조터빈 232마력
베라주조터빈+메탄올(노즐 소-247마력, 노즐-중268마력, 노즐-대 281마력)
이렇게 나왔습니다.
터빈업하시면 대용량 라디해도 수온뜹니다.
저는 수온을 잡기위해서
기존 전면배치된 삼코인터쿨러를 볼트온 인터쿨로러 교환하고(두께가 얇아서 라디까지 주행풍이 잘 갑니다.)
엔진오일쿨러로 수온부담을 줄여주고
브리더탱크달고
대용량라디에 부동액비율 8:2로 해서 수온잡았습니다.
R엔진 튜닝은 수온과의 싸움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터빈업으로 운용중에 헤드교체2번 쇼트엔진1번 교체했습니다.
디젤 터빈업은 스풀업이 뒤로밀려서 시내주행시 많이 답답합니다.
굳이 터빈업을 계획하신다면 베라주조(단조보다 임펠러가 가벼워 스풀업이 조금더 빠릅니다.)를 추천하구요
그래도 스풀업이 뒤로밀려서 순정터빈 만큼의 빠릿함은 없습니다.
터빈업을 계획하실때는 위에서 말씀드린것처럼
다른 하드웨어보다 수온쿨링에 많은 예산을 쓰셔야 만들어 놓은 출력을 사용할수 있습니다.
인터쿨러(볼트온 전면배치), 베라주조터빈, 엔진오일쿨러, 대용량라디에이터, 메탄올인젝션, 브리더탱크
이렇게 인스톨 되어있습니다.(수동이라 미션쿨러는 없습니다)
흡기와 배기는 순정 그대로 사용중입니다.
맵핑만 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맵팽만으로 부족하시면 + 메탄올인젝션을 고려해보시는건 어떨가 싶네요(메탄올대신 에탄올 써도 됩니다)
R엔진 수온에 약합니다. 헤드열변형으로 교체 2번 했습니다.
맵핑만으로도 풀악셀 30초만에 수온뜰꺼예요
이런점을 볼때 인터쿨러 전면배치는 주행풍을 방해해 수온상승 요인이 되므로
하단배치는 좋은 선택입니다.
그런데 하단배치하면 라인길어져서 리스폰스 떨어집니다.
디젤에 인터쿨러 자체가 출력상승도 미미하구요.
제차량(4륜수동)기준 다이노 휠마력
순정 167마력
맵핑 208마력
K04터빈 253마력 (후빨은 괜찮으나 스풀업이 뒤로 밀려 시내주행 거의 불가수준이라 2천키로주행후 교환)
베라주조터빈 232마력
베라주조터빈+메탄올(노즐 소-247마력, 노즐-중268마력, 노즐-대 281마력)
이렇게 나왔습니다.
터빈업하시면 대용량 라디해도 수온뜹니다.
저는 수온을 잡기위해서
기존 전면배치된 삼코인터쿨러를 볼트온 인터쿨로러 교환하고(두께가 얇아서 라디까지 주행풍이 잘 갑니다.)
엔진오일쿨러로 수온부담을 줄여주고
브리더탱크달고
대용량라디에 부동액비율 8:2로 해서 수온잡았습니다.
R엔진 튜닝은 수온과의 싸움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터빈업으로 운용중에 헤드교체2번 쇼트엔진1번 교체했습니다.
디젤 터빈업은 스풀업이 뒤로밀려서 시내주행시 많이 답답합니다.
굳이 터빈업을 계획하신다면 베라주조(단조보다 임펠러가 가벼워 스풀업이 조금더 빠릅니다.)를 추천하구요
그래도 스풀업이 뒤로밀려서 순정터빈 만큼의 빠릿함은 없습니다.
터빈업을 계획하실때는 위에서 말씀드린것처럼
다른 하드웨어보다 수온쿨링에 많은 예산을 쓰셔야 만들어 놓은 출력을 사용할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