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글 수 27,478
맘에 드는데요.. 요런 기사는... 맨날 국산차 안전성 별로라는 스포*지 기사같은거와는 상반되게 이런 내용도 좀 있어줘야... 좋을것 같네요..... ^^
라세티 프리미어 안정성 `★★★★★`
라세티 프리미어 안정성 `★★★★★`
호주서 최고점수 받아
![]() |
회사는 호주 자동차 성능평가 기준인 `ANCAP(Australasian New Car Assessment Program)'의 충돌 안전성 평가 결과, 라세티 프리미어(호주 현지 판매명 `홀덴 크루즈')가 정면, 측면 모두 최고 등급인 별 5개를 받았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실시된 ANCAP 차량 안전성 평가에서 라세티 프리미어는 37점 만점에 35.04점을 기록, 최근 수 년간 평가 대상이었던 동급 차종 중 최고 점수를 획득해 안전성을 인정받았다.
특히 시속 64㎞ 속도로 벽면 정면을 충돌했을 경우, 운전자와 조수석 승객의 상해 정도를 측정하는 차량 `정면 충돌(Frontal Offset) 시험'에서 라세티 프리미어는 16점 만점에 15.04점을 기록했으며, 이는 ANCAP 평가 동급 차종 중 역대 최고 점수다.
측면 충격 시 상해 정도를 측정하는 `측면 대차 충돌(Side MDB)' 시험에서도 16점 만점을 받았으며, 도로변의 나무나 전신주와 같은 장애물과의 차량 측면 충돌(29km/h)을 재현한 `전주 충돌(Side Pole) 시험'에서도 2점 만점을 획득했다.기술개발부문 스티브 클락(Steve L. Clarke) 부사장은 "라세티 프리미어는 초고장력 강판을 64% 이상 적용했고, 광범위한 안전사양을 채택하는 등 개발 초기부터 안전을 최우선으로 개발됐다"라며 "매력적인 스타일 뿐 아니라 세계 최고 수준의 안전성까지 겸한 글로벌 준중형차임이 다시 한번 확인됐다"고 소감을 밝혔다.
2009.05.13 11:59:13 (*.107.33.194)

음... 평가들이 대체로 다 좋은편이네요.. 앞으로 실제 사용자들의 내구성부분의 검증만 이뤄진다면 될듯...
근데 대우차라는 원죄로 인해 판매가 생각보다 적은건 좀 아쉽네요..
근데 대우차라는 원죄로 인해 판매가 생각보다 적은건 좀 아쉽네요..
2009.05.13 13:44:07 (*.217.28.29)

몇년 전까지 ANCAP은 어수선하고 번잡했는데 세월이 흐르니 꽤 많이 손질이 됐군요.
유럽지향의 오펠에서 만든 차이니 어련하리라 생각은 했는데 결과가 제 예상 외로 좋게 나왔네요.
유럽지향의 오펠에서 만든 차이니 어련하리라 생각은 했는데 결과가 제 예상 외로 좋게 나왔네요.
2009.05.13 13:50:27 (*.114.184.252)

대우는 마가 씌인것 같아요.. 예전 매그너스도 평이 참 좋아서 초기에 잘나갔는데.... IMF로 회사 죽고 이미지 죽고 차도 죽었죠.. 이번 라세티 프리미어도 기대도 많았고, 차도 좋고, 평도 좋은데... 모회사가 간당간당해서 참...
2009.05.13 13:59:06 (*.151.234.9)
최근에 우리나라 테스트기관( 이름은 잘 모릅니다.--;;)이 호주정부와 자동차안전검사에 관해 위탁계약은 맺었다는 기사를 본적이 있는데 혹시 위의 테스트를 국내에서 시행한 것은 아닐까 합니다. 요즘 손해보험협회에서도 비슷한 테스트를 하고 있는데 비교적 객관적인 결과물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2009.05.13 14:10:22 (*.7.52.139)
원죄라는 것은 본래 모든사람에게 해당하는 건데, 그럼 우리나라 자동차회사나 해외 유수 자동차도 다 해당되겠네요..
대우라는 이름이 같는 마이너적 요소는 애국적인 차원에서 볼 때 해외에서 인수한 기업이라는 점과, 요즘 그 모기업인 GM이 경영위기에 몰려 회사가 어찌 될 줄 모른다는 점, 그리고 예전에 대우차를 타 본 소비자들의 안 좋은 기억등
이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세 번째 요소인 자동차의 품질 부분은 소비자들의 주관이 많이 개입되어 있다고 봅니다...
국내 메이커 중 품질부분에서 안 좋은 기억이 없는 회사가 어디있겠습니까?
또 최근의 지엠대우 차량은 타사에 비해 품질 부분에서 앞서면 앞섰지 뒤져 있는 부분은 없다고 봅니다...
대우라는 이름이 같는 마이너적 요소는 애국적인 차원에서 볼 때 해외에서 인수한 기업이라는 점과, 요즘 그 모기업인 GM이 경영위기에 몰려 회사가 어찌 될 줄 모른다는 점, 그리고 예전에 대우차를 타 본 소비자들의 안 좋은 기억등
이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세 번째 요소인 자동차의 품질 부분은 소비자들의 주관이 많이 개입되어 있다고 봅니다...
국내 메이커 중 품질부분에서 안 좋은 기억이 없는 회사가 어디있겠습니까?
또 최근의 지엠대우 차량은 타사에 비해 품질 부분에서 앞서면 앞섰지 뒤져 있는 부분은 없다고 봅니다...
2009.05.13 14:14:53 (*.226.116.1)

그냥 주어들은 이야기로는 라프..사이드 에어백 없이도 별4~5개 나올 정도라 하던데요.^^
하지만 막상 제 주변의 지엠대우 아저씨들은 대우차를 안좋아하는거 같습니다.
라프 디젤은 정말 감동이던데 말이죠..
하지만 막상 제 주변의 지엠대우 아저씨들은 대우차를 안좋아하는거 같습니다.
라프 디젤은 정말 감동이던데 말이죠..
2009.05.13 14:17:57 (*.94.1.38)
GM이 만약에 대우를 팔고.... 그 대우를 삼성이 인수한다면 좋을것 같습니다.. 그럼 사람들이 대우의 안좋은 기억들이 많이 사라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저도 라세티 프리미어 참 좋다고 생각하지만... 와이프나 주변사람들이 대우차라면 일단 타보지도 않았으면서 절레절레 그러는게 싫더라구여.. 실제로 대우차 타보면 꽤 괜찮은데 말이죠..
저도 라세티 프리미어 참 좋다고 생각하지만... 와이프나 주변사람들이 대우차라면 일단 타보지도 않았으면서 절레절레 그러는게 싫더라구여.. 실제로 대우차 타보면 꽤 괜찮은데 말이죠..
2009.05.13 18:04:16 (*.36.98.170)
이 차의 문짝과 A필러, B필러의 두께가 참 믿음직스럽더라구요. 절대로 현기차에서 볼 수 없는 두께였습니다. 솔직히 동력성능만 제외하면 아반떼나 포르테와 같은 급의 차로 보이지는 않습니다.
2009.05.14 08:52:07 (*.51.221.208)

디자인도 참 좋던데요?
아반떼나 포르테보다 절대적인 안전성이 확실히 뛰어나다면, 선택을 마다할 이유가 없을것 같습니다.
저도 대우차라면 이유없이 고개부터 젓는 쪽이었는데... 이번 라세티는 확실히 눈이 많이 가더군요.
아반떼나 포르테보다 절대적인 안전성이 확실히 뛰어나다면, 선택을 마다할 이유가 없을것 같습니다.
저도 대우차라면 이유없이 고개부터 젓는 쪽이었는데... 이번 라세티는 확실히 눈이 많이 가더군요.
2009.05.14 10:19:56 (*.71.86.17)

오토조인스 리뷰를 보았는데 김기태 기자가 라세티 프리미어의 핸들링 성능을 아주 극찬 하더군요.
푸조의 핸들링 운동성능과 비교했을때도 떨어지지 않는다고 하더라구요.
그리고 초고장력 강판 64%에 주목할 필요가 있을거 같습니다.
샤시나 엔진 각각 힘을 받는 주요부위에 초고장력 강판소재를 사용하면
강하고 단단하고 부드럽고 질긴 성질을 가진 합금강의 경우 경량은
물론이고 바디의 비틀림 강성을 높일수있죠
그리고 충돌 안전성면에서 같은 두께의 철판을 사용했을 때
일반 탄소강이 아닌 초고장력 강판을 사용하면 같은 설계를 하더라도
소재가 좋으면 충돌 안전성이 높을수 밖에 없지요
확인해보지 않았지만 범버안쪽 프래임 바를 독일산을 사용한다고 들었습니다.
국내산 프래임 바의 충격흡수면에서 있으나 마나한 허접함을 자주 접했는데
라세티 프리머어는 설계와 구조가 어떤지 궁금해지네요.^^
푸조의 핸들링 운동성능과 비교했을때도 떨어지지 않는다고 하더라구요.
그리고 초고장력 강판 64%에 주목할 필요가 있을거 같습니다.
샤시나 엔진 각각 힘을 받는 주요부위에 초고장력 강판소재를 사용하면
강하고 단단하고 부드럽고 질긴 성질을 가진 합금강의 경우 경량은
물론이고 바디의 비틀림 강성을 높일수있죠
그리고 충돌 안전성면에서 같은 두께의 철판을 사용했을 때
일반 탄소강이 아닌 초고장력 강판을 사용하면 같은 설계를 하더라도
소재가 좋으면 충돌 안전성이 높을수 밖에 없지요
확인해보지 않았지만 범버안쪽 프래임 바를 독일산을 사용한다고 들었습니다.
국내산 프래임 바의 충격흡수면에서 있으나 마나한 허접함을 자주 접했는데
라세티 프리머어는 설계와 구조가 어떤지 궁금해지네요.^^
2009.05.14 10:45:39 (*.254.112.153)

개인적으로 궁금한데..정말 고장력 강판에도 등급이 있는건 알겠는데..대우가 과연 현대/기아보다 더 좋은 강판을 국내에서 구할 능력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현대도 HD부터 포스코와 공동 연구개발해서 새로운 고장력 아연 도금 강판 적용하는건데.. 국내에서 포스코 이외에 더 좋은 강판을 납품할 기업이 있는걸까요? 그리고, 또 궁금한 점은 이런 강판은 일반 강판보다 더 가볍거든요. 근데, 라프의 무게는 알려지다시피 동급차 대비 10% 가량이 무겁습니다. 더 가벼운 강판을 사용했는데도 무게가 10% 더 무겁다는 건 이해하기가 힘듭니다. 추측컨데, 뛰어난 섀시 설계 + 두터운 프레임 + 일반적인 고장력 강판의 조합이 라세티 프리미어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이러한 조합도 엔진 힘만 받쳐준다면 꽤 좋다고 생각하구요. 그래서 라프 2.0 디젤을 꼭 타보고 싶네요.
2009.05.14 20:14:44 (*.71.86.17)

GM대우의 강판 공급처가 어딘지 잘 모르겠네요 그래도 GM이라는 거대한 그룹 밑에 있으므로 그런 능력은 있다고 생각됩니다. 국내 기업이 아닐까 싶네요? 현대기아도 유럽에 판매되는 모델의 경우 강판 주요 공급처는 유럽의 강판을 사용하듯이 GM대우도 마찬가지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차체무게에 있어서 쇠를 어떻게 얼마나 사용하느냐 그리고, 차체크기 각종 장비에 따라서 차체무게가 결정되겠지요. 충돌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서 빔의 사용이 많거나 강성을 높이기 위해서 쇠를 많이 사용한다면 무게는 아무래도 무거워지는거겠죠. 또 다른 이유로 HD나 I30가 많이 가벼워졌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무거운것도 있을 거 같습니다. 저도 시승 기회가 있으면 라세티 프리미어 2.0 디젤 모델을 타보고 싶어요.^^
1. 모델 데뷔 년도가 최근일수록..(최근의 A클라스는 모델 체인지를 앞둔 E클보다 안전하다. i30가 소나타/그랜저보다 안전하다.)
2. 유럽에 주력으로 수출하는 차..(i30는 HD보다 안전하다.)
3. 안전장치 옵션을 최대한 고를 수 있는 차
HD와 i30의 안전도가 유로 NCAP을 그대로 차용하는 호주의 안전도 결과에서 안드로메다 차이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