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저는 조용히 형편 되는 대로 자동차 생활 즐기고 있는 유령회원입니다.
본래 12년도부터 92년식 스쿠프를 거의 순정상태로 생활형으로 운용하고 있다가, 2016년부터는 세컨카 개념으로 거의 세워두고 카렌스1 1.8 수동, 라비타 1.8 수동, 세라토 유로 2.0 수동, 싼타모 2.0 수동을 거쳐 현재는 푸조307sw 오토6단과 함께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차를 운용하는데 비용부담이 크게 느껴지는 형편이어서 유지비가 저렴한 차량들을 골라가며 타 왔고, 푸조307sw의 경우, 유지비에서는 큰 만족감을 느끼며 타고 있는데요.
그러나 (특히 디젤차량에서) 마일리지와 연식을 무시할 수 없는 만큼, 정비를 계속 하며 탈지 아니면 처분할지 고민하던 상황이었습니다.
또한 스쿠프의 경우에도, 가벼운 리스토어를 통해 좋은 컨디션을 유지하고 싶은 욕심이 있었습니다만 생각보다 점점 환경조성이 되지 않습니다. 방치에 가깝다보니 이것도 이제는 내려놓아야 하나 싶고요.
대신 똘똘한 한 대(?)를 아껴줘야 겠다는 생각이 강해지던 찰나 엔카 서핑중 이런 차를 만나게 된 겁니다.
아우디 A3 (8P) 2.0T 수동 북미버전
(직물시트 / 보스오디오시스템 / 파노라마 선루프)
마일리지는 13만키로정도.. 가격은 1000만원 초반대.
8월 중순경에 직접 차를 보게 되었는데요. 키로수가 아주 높지 않은 만큼 상태는 준수했습니다.
최근 타이밍벨트 작업을 했다는 점도 메리트가 있었고요.
다만 마음에 걸리는 건 클러치가 새차 상태 수준의 스쿠프(!)와 비교할때 많이 무겁고 작동유격이 꽤 커서 시내 운전이 쉽지 않겠다는 것, 그리고 다운스프링 및 휠튜닝이 마음에 들지 않는 것 정도였네요.
내일모레 정도에 차량을 다시 보고 양해를 구해 리프트에 올려보려고 하는데요.
저는 아우디에 대한 경험이 1도 없어서 정말 어떤 걸 중점에 두고 봐야 할지 전혀 모르겠습니다.
검색을 통해 알게 된 건
1. 엔진 누유
2. 터보에 대한 점검
3. 전기장치 작동상태 확인
정도 인것 같은데, 같은 구동계를 사용하는 골프 운용경험이 있거나 아우디 차량의 고질병에 대해 잘 아시는 분의 고견을 구하려 합니다. (차량 전반/메이커 전반/장기 운용에 대한 의견 등...)
비슷한 가격에서 유지비를 아낄 수 있는 수동차량이 좀 되더군요. 그와도 함께 고민중입니다..
(14-16년식 올뉴카렌스 수동 / 18년식 올뉴모닝 수동 / 15-6년식 아반떼 AD 1.6 등등...)
그럼 선선해진 날씨 감기 조심하시고요.
본래 12년도부터 92년식 스쿠프를 거의 순정상태로 생활형으로 운용하고 있다가, 2016년부터는 세컨카 개념으로 거의 세워두고 카렌스1 1.8 수동, 라비타 1.8 수동, 세라토 유로 2.0 수동, 싼타모 2.0 수동을 거쳐 현재는 푸조307sw 오토6단과 함께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차를 운용하는데 비용부담이 크게 느껴지는 형편이어서 유지비가 저렴한 차량들을 골라가며 타 왔고, 푸조307sw의 경우, 유지비에서는 큰 만족감을 느끼며 타고 있는데요.
그러나 (특히 디젤차량에서) 마일리지와 연식을 무시할 수 없는 만큼, 정비를 계속 하며 탈지 아니면 처분할지 고민하던 상황이었습니다.
또한 스쿠프의 경우에도, 가벼운 리스토어를 통해 좋은 컨디션을 유지하고 싶은 욕심이 있었습니다만 생각보다 점점 환경조성이 되지 않습니다. 방치에 가깝다보니 이것도 이제는 내려놓아야 하나 싶고요.
대신 똘똘한 한 대(?)를 아껴줘야 겠다는 생각이 강해지던 찰나 엔카 서핑중 이런 차를 만나게 된 겁니다.
아우디 A3 (8P) 2.0T 수동 북미버전
(직물시트 / 보스오디오시스템 / 파노라마 선루프)
마일리지는 13만키로정도.. 가격은 1000만원 초반대.
8월 중순경에 직접 차를 보게 되었는데요. 키로수가 아주 높지 않은 만큼 상태는 준수했습니다.
최근 타이밍벨트 작업을 했다는 점도 메리트가 있었고요.
다만 마음에 걸리는 건 클러치가 새차 상태 수준의 스쿠프(!)와 비교할때 많이 무겁고 작동유격이 꽤 커서 시내 운전이 쉽지 않겠다는 것, 그리고 다운스프링 및 휠튜닝이 마음에 들지 않는 것 정도였네요.
내일모레 정도에 차량을 다시 보고 양해를 구해 리프트에 올려보려고 하는데요.
저는 아우디에 대한 경험이 1도 없어서 정말 어떤 걸 중점에 두고 봐야 할지 전혀 모르겠습니다.
검색을 통해 알게 된 건
1. 엔진 누유
2. 터보에 대한 점검
3. 전기장치 작동상태 확인
정도 인것 같은데, 같은 구동계를 사용하는 골프 운용경험이 있거나 아우디 차량의 고질병에 대해 잘 아시는 분의 고견을 구하려 합니다. (차량 전반/메이커 전반/장기 운용에 대한 의견 등...)
비슷한 가격에서 유지비를 아낄 수 있는 수동차량이 좀 되더군요. 그와도 함께 고민중입니다..
(14-16년식 올뉴카렌스 수동 / 18년식 올뉴모닝 수동 / 15-6년식 아반떼 AD 1.6 등등...)
그럼 선선해진 날씨 감기 조심하시고요.
2019.09.17 19:54:47 (*.116.69.141)
저라면 뒤도 돌아보지 않고 아이오닉 Q 트림 + LDWS, FCW, SCC 붙은 초기형 모델 삽니다. 예산이 1순위라면 아이오닉 I 트림이라도 삽니다. 트랜스미션이 수동이어야만 한다면 가능한 선택지는 아닙니다만, 하이브리드 중고를 1000만원대 중반 선에 구할 수 있는데 경차는 살 필요가 없겠고, 카렌스 수동은... 음... 그리고, AD 수동은 뭐 취향 문제이긴 하겠습니다만, AD 스포츠 아닌 이상 리어 토션빔 달려있는데 저라면 당연히 아이오닉을...
2019.09.18 18:30:24 (*.226.208.20)

DSG 달린 같은 차량을 오랫동안 타고 있습니다. 엔카에 가서 보고 왔는데 일단 06년식이면 8P 전기형이고 수동인데 13만km에 천이백만원이면 수동의 희소성을 고려해도 좀...(혹시 여기 차주분이 계시다면 죄송합니다) 11-12년 풀모델체인지 직전 년식에 깨끗하고 마일리지도 적은 아우디코리아 정식출고 DSG차량이 1500 이하입니다. 또는 6세대 GTI도 있구요.
많이들 아시겠지만 VAG 2.0T 엔진이 오일소모와 누유가 흔하구요, 이 차종에 그외 특별한 문제는 없습니다. 그외엔 정비주기에 맞춰 플러그와 점화코일, 저/고압펌프, 인젝터 등등 교환하며 유지하면 됩니다. 가끔 좀 쏘시는 분들 헤드작업 하는 경우 봤구요. 골프와 같은 차대이고 동일 부품이 많아 정비는 어렵지 않은 편입니다. 그리고 보신 차량은 수동이니 DSG 밸브바디나 클러치팩 문제도 없겠네요. 터빈 나간 차는 국내외 커뮤니티에서 거의 못 봤고 전기장치도 특별한 이슈는 없습니다. 저 포함 창문 스위치 고장난 차량은 많이 봤는데 이정도야 애교죠.
순정 200마력이고 맵핑시 250, 흡배기하면 280마력정도 나오는데 요즘은 워낙 흔한 출력이라...DSG차들은 비슷한 출력의 타 차량 대비 가속이 꽤나 경쾌하고 빠른편인건 장점입니다. 2003년부터 2012년까지 동일 차대로 생산됐는데 후기형은 미국 IIHS 탑 세이프티 픽 차량일 정도로 탄탄하게 잘 만든것 같긴 합니다.
사실 부품대, 정비 접근성, 고질병, 정비 포인트 등이 다르니 어느정도 상태 유지하며 타실 계획이라면 아래 언급하신 카렌스, 모닝, 아반떼와 유지비 비교는 어렵습니다. 고급유 넣어야 하고 시내연비 7-8km/l 인것도 참고하시구요. 수동차만 고집하시는 것이 아니라면 8P 후기형 국내 정식차량이나 6세대 GTI 사시는게 훨씬 나으실 거에요.
많이들 아시겠지만 VAG 2.0T 엔진이 오일소모와 누유가 흔하구요, 이 차종에 그외 특별한 문제는 없습니다. 그외엔 정비주기에 맞춰 플러그와 점화코일, 저/고압펌프, 인젝터 등등 교환하며 유지하면 됩니다. 가끔 좀 쏘시는 분들 헤드작업 하는 경우 봤구요. 골프와 같은 차대이고 동일 부품이 많아 정비는 어렵지 않은 편입니다. 그리고 보신 차량은 수동이니 DSG 밸브바디나 클러치팩 문제도 없겠네요. 터빈 나간 차는 국내외 커뮤니티에서 거의 못 봤고 전기장치도 특별한 이슈는 없습니다. 저 포함 창문 스위치 고장난 차량은 많이 봤는데 이정도야 애교죠.
순정 200마력이고 맵핑시 250, 흡배기하면 280마력정도 나오는데 요즘은 워낙 흔한 출력이라...DSG차들은 비슷한 출력의 타 차량 대비 가속이 꽤나 경쾌하고 빠른편인건 장점입니다. 2003년부터 2012년까지 동일 차대로 생산됐는데 후기형은 미국 IIHS 탑 세이프티 픽 차량일 정도로 탄탄하게 잘 만든것 같긴 합니다.
사실 부품대, 정비 접근성, 고질병, 정비 포인트 등이 다르니 어느정도 상태 유지하며 타실 계획이라면 아래 언급하신 카렌스, 모닝, 아반떼와 유지비 비교는 어렵습니다. 고급유 넣어야 하고 시내연비 7-8km/l 인것도 참고하시구요. 수동차만 고집하시는 것이 아니라면 8P 후기형 국내 정식차량이나 6세대 GTI 사시는게 훨씬 나으실 거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