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여태 눈팅하다가 처음 질문글로 인사드리는 윤문홍입니다.
제가 출퇴근하는 루트가 돌발상황이 많고 계기판이 빽빽하다보니 헤드업디스플레이 A100S를 구매하였고
그 뒤로 한 4-5개월 타니 헤드업에 적응이 되어서 이젠 없으면 타기 힘드네요.
그런데, 차령이 차령이다보니 (2007 볼보 C30 2.4) 관리 해 줘야 할 구석이 많아지기도 하고,
뭐라도 알고 있다가 두들겨 맞고(?) 나면 대처하기 쉽겠다는 생각도 들었고,
하루 왕복 출퇴근이 70km하는 데일리카다 보니 지금하는 관리에서 더 신경 써 주고싶은 부분이 많이 생기네요.
예전에 구매했던 ELM327과 동시사용을 위해 OBD II Y분기잭을 구매해서 설치 해 봤었습니다.
근데, 헤드업디스플레이는 속도가 잘 올라가는데,
ELM327은 업데이트 속도가 굉장히 더디더군요.
특히 실시간으로 변하는 데이터는 거의 안보는게 속편할정도로.. 불편해서 Y잭은 트렁크 바닥에 던져버리고
헤드업으로만 다니고 있습니다.
토크프로에서 "더 빠른 통신"(이거 맞나요?) 해제도 해 보고, 켜기도 해 보고
휴대폰도 바꿔 사용 해 봤는데 진전은 없더군요.
꽁돈(?) 이 좀 생긴 김에 모니터링 장비 좀 보고 있는데,
울트라게이지 같은 장비도 OBD II Y분기잭 사용하면 문제가 많을런지 궁금합니다.
고견 부탁드립니다.
2019.09.20 22:54:01 (*.223.30.207)

관련정보를 조금 찾아보니 기본적으로 OBD의 베이스가 되는 CAN통신은 1:1 통신이 기본이며, CAN통신에서는 여러 기기가 동시에 연결된 것을 알 수 없다고 합니다. 두 장비가 하나의 버스에 동시에 통신을 하려고 하면 문제가 생기게 되며, 두 장비의 통신 빈도가 잦지 않아 충돌이 잦지 않으면 큰 문제가 되지는 않지만, 6개의 게이지를 로드시킨 토크프로와 같이 한쪽에서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갱신하게 되면 결과적으로 지속적으로 충돌이 일어난다고 합니다. (출처는 https://forums.tdiclub.com/showpost.php?p=4380622&postcount=7 참조하였습니다)
근데 이 또한 이해가 잘 안가는 점은, 위 글의 내용에 의하면 통신빈도가 낮은 장비가 불안정해질거라고 하는데, 저도 윤문홍님도 HUD 디스플레이는 잘 작동하는데 ELM327 은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니 말이죠... HUD의 업데이트 속도 자체만 봐도 ELM327보다 빨라보이지는 않는데 말이죠... HUD가 더 빠른 빈도로 통신하는걸까요?
근데 몬스터게이지와 HUD를 동시에 문제없이 사용중이신 분도 있다는걸 보아하니... 명확하게는 모르겠습니다.
아니면 개인적인 의견입니다만 통신간 충돌 발생시 ELM327은 일정시간 지연이 생기는걸지도 모르겠습니다. 저희가 사용중인 HUD나 다른 스캐너류들은 충돌시 바로바로 스킵후 다음 명령을 진행하고요. 갱신 속도가 서로 다르다면 통신중에 충돌이 아주 많지는 않을것이고, 충돌이 일어나도 그 순간은 몇 ns도 안될거라 생각합니다. 충돌이 일어난 뒤 멈추는지(얼어버리는지) 그냥 무시하는지의 차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이런 경우라면 다른 스캐너의 사용으로 동시 사용에 문제가 없을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근데 이 또한 이해가 잘 안가는 점은, 위 글의 내용에 의하면 통신빈도가 낮은 장비가 불안정해질거라고 하는데, 저도 윤문홍님도 HUD 디스플레이는 잘 작동하는데 ELM327 은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니 말이죠... HUD의 업데이트 속도 자체만 봐도 ELM327보다 빨라보이지는 않는데 말이죠... HUD가 더 빠른 빈도로 통신하는걸까요?
근데 몬스터게이지와 HUD를 동시에 문제없이 사용중이신 분도 있다는걸 보아하니... 명확하게는 모르겠습니다.
아니면 개인적인 의견입니다만 통신간 충돌 발생시 ELM327은 일정시간 지연이 생기는걸지도 모르겠습니다. 저희가 사용중인 HUD나 다른 스캐너류들은 충돌시 바로바로 스킵후 다음 명령을 진행하고요. 갱신 속도가 서로 다르다면 통신중에 충돌이 아주 많지는 않을것이고, 충돌이 일어나도 그 순간은 몇 ns도 안될거라 생각합니다. 충돌이 일어난 뒤 멈추는지(얼어버리는지) 그냥 무시하는지의 차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이런 경우라면 다른 스캐너의 사용으로 동시 사용에 문제가 없을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2019.09.21 20:10:15 (*.248.224.182)
댓글 감사드립니다..
어떤 내용에는 obd2 통신선이 속도 / rpm 등등 담당하는 선이 있는데 그 선을 동시에 두 장비가 사용하면 충돌이 발생한다.. 이런 얘기도 있더라구요.
그래서 조작이 쉬운 elm327에서 위젯 전부 없애고 하나하나 hud와 관계가 비교적 적어보이는 위젯(게이지) 활성화해서 써 봤으나 결과는 마찬가지더군요.
꽁돈 남는 김에 게이지 구매하게 된다면 테스트 해 보고, 잘 되면 뭐 좋지만 안되면 비교적 업데이트 속도가 느려도 되는것 위주로 사용해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어떤 내용에는 obd2 통신선이 속도 / rpm 등등 담당하는 선이 있는데 그 선을 동시에 두 장비가 사용하면 충돌이 발생한다.. 이런 얘기도 있더라구요.
그래서 조작이 쉬운 elm327에서 위젯 전부 없애고 하나하나 hud와 관계가 비교적 적어보이는 위젯(게이지) 활성화해서 써 봤으나 결과는 마찬가지더군요.
꽁돈 남는 김에 게이지 구매하게 된다면 테스트 해 보고, 잘 되면 뭐 좋지만 안되면 비교적 업데이트 속도가 느려도 되는것 위주로 사용해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결국은 그래도 미션오일 온도는 원할때 편하게 봐야겠다 싶어서 Y자 스플리터의 양쪽끝을 따서 전원선을 각각 자른뒤에 푸쉬 스위치로 각각의 장비를 선택할 수 있게 개조를 하였습니다. 스위치가 나와있으면 OBD 에 연결, 스위치가 눌려있으면 ELM327에 연결... 하는김에 스위치로 들어가는 전원을 상시전원인 OBD 단자가 아닌 퓨즈박스의 시거짹퓨즈에 물려 시동이 꺼졌을때도 대기전력을 소모하는 문제도 해결하였었습니다.
OBD에 연결된 장비에 사용된 칩셋에 따라 또 차종 등에 호환성이 많이 갈릴 것 같긴 합니다만, 직접 울트라게이지와 같은 장비를 구매하여 동시 연결을 직접 해보지 않는 이상 알 방법이 없어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