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얼마전 유압게이지 관련 질문을 올렸던 2013년식 시로코R 오너입니다.
APR stage II+에 흡배기튜닝되어 있습니다.
서킷에서의 유온 관리 및 라디에이터 관련된 질문입니다.
오일쿨러를 새로 다는 것은 공사가 커져서 원치 않고 다른 방법으로 유온관리를 하고 싶은데
일반적으로 추천하는 방법이 대용량 라디에이터로 업글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과연 제 상황에서도 도움이 될지 궁금합니다.
시로코R은 기본 라디에이터외에 보조 라디에이터가 달려있습니다.
(제가 이게 오일쿨러라고 착각하고 있었고 일부 미디어에서도 그렇게 시승기를 작성하기도 했습니다.)

얼마전 유압게이지 관련 질문을 올렸던 2013년식 시로코R 오너입니다.
APR stage II+에 흡배기튜닝되어 있습니다.
서킷에서의 유온 관리 및 라디에이터 관련된 질문입니다.
오일쿨러를 새로 다는 것은 공사가 커져서 원치 않고 다른 방법으로 유온관리를 하고 싶은데
일반적으로 추천하는 방법이 대용량 라디에이터로 업글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과연 제 상황에서도 도움이 될지 궁금합니다.
시로코R은 기본 라디에이터외에 보조 라디에이터가 달려있습니다.
(제가 이게 오일쿨러라고 착각하고 있었고 일부 미디어에서도 그렇게 시승기를 작성하기도 했습니다.)

서킷 영상을 캡쳐한 것이라 좀 흐리지만
유온 130C에서 왼쪽 RPM 게이지 아래 작은 바늘인 냉각수 바늘이 정중앙(90C)을 가리키고 있습니다.
즉 오일 온도가 130C까지 올라가도 냉각수의 수온은 90도로 변동이 없습니다.
그래서 궁금한 점이 생깁니다.
냉각수의 온도센서는 써모스탯 위치에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유온이 130C까지 올라갔지만 엔진의 워터재킷을 거쳐 나와서 써모스탯에 도달한 냉각수의 온도가
90C로 유지되고 있는 상황이라면 과연 라디에이터의 용량을 크게 하는 것이 유온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혹시 이미 현재 라디에이터와 보조 라디에이터가 써모스탯을 통해 나온 90도의 냉각수를
충분히 온도를 낮춰서 다시 엔진으로 보내주고 있는 상황이라면 라디에이터 용량을 더 늘리는 것이 의미가 없는것 아닐지요?
우매한 질문에 회원분들의 답변 부탁 드립니다.
2019.09.23 13:49:28 (*.62.22.133)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워셔 노즐로 인터쿨러에 물을 뿌려 기화열을 이용하여 온도를 낮추는 방법이군요. 그런데 궁금한 것은 인터쿨러는 압축공기를 냉각시키는 장치인데 유온이나 수온에 영향을 많이 주나요? 잘 몰라서 다시 여쭤봅니다.
(추가) 어느 사이트의 intercooler관련 질문 답글에는 아래와 같은 내용도 있습니다.^^
A bigger intercooler reduces the temp of the air going into the engine, which means more power, which means the engine will run hotter. It will not decrease oil temps, quite the opposite actually."
(추가) 어느 사이트의 intercooler관련 질문 답글에는 아래와 같은 내용도 있습니다.^^
A bigger intercooler reduces the temp of the air going into the engine, which means more power, which means the engine will run hotter. It will not decrease oil temps, quite the opposite actually."
2019.09.23 13:47:39 (*.38.24.245)
계기판상 수온게이지는 정밀 정확한 수치를 가르키지는 않더군.
대용량 인쿨은 하셨을테고
라지에이터 물분사는 앞서 말씀하셨고
대용량 라지에이터는 안해봐서 모르겠습니다만.
메탄올 인젝션과 오일쿨러는 서킷에서 효과가 명확히 나타났습니다.
고려해보세요
대용량 인쿨은 하셨을테고
라지에이터 물분사는 앞서 말씀하셨고
대용량 라지에이터는 안해봐서 모르겠습니다만.
메탄올 인젝션과 오일쿨러는 서킷에서 효과가 명확히 나타났습니다.
고려해보세요
2019.09.24 11:16:24 (*.246.168.21)
저는 시로코 알라인인데 히터 켜고 탑니다 ㅠ 아주 약간의 리커버리 속도 향상은 있어요.
그리고 수온 게이지바늘 가운데 있어도 obd 꽂아서 확인 해 보면 82~94도 사이 왔다갔다 하더라고요.
멋모르고 지지기만 할 땐 인제에서 저도 유온 138도까지 본 적도 있습니다 ㅠ
유온 때문에 외장 오일 쿨러도 알아 보고, 언더커버 탈거 및 오일팬 인슐레이션 탈거까지 다 해 봤는데 방법이 없습니다. 그냥 1랩 어택 1랩 쿨링 이렇게 탔었습니다. 언더커버하고 오일팬 인슐레이션 탈거하면 한 7도 정도 내려 가긴 합니다. 지금은 그냥 헝그리하게 히터만 풀로(제일 높은 온도로) 틀어 놓고 탑니다.
그리고 수온 게이지바늘 가운데 있어도 obd 꽂아서 확인 해 보면 82~94도 사이 왔다갔다 하더라고요.
멋모르고 지지기만 할 땐 인제에서 저도 유온 138도까지 본 적도 있습니다 ㅠ
유온 때문에 외장 오일 쿨러도 알아 보고, 언더커버 탈거 및 오일팬 인슐레이션 탈거까지 다 해 봤는데 방법이 없습니다. 그냥 1랩 어택 1랩 쿨링 이렇게 탔었습니다. 언더커버하고 오일팬 인슐레이션 탈거하면 한 7도 정도 내려 가긴 합니다. 지금은 그냥 헝그리하게 히터만 풀로(제일 높은 온도로) 틀어 놓고 탑니다.
2019.09.23 16:44:08 (*.239.68.135)

개인적인 의견입니다만,
유온이 문제면 오일쿨러를 다시는게 맞습니다.
오일쿨러+서모스탯을 이용한 시스템을 구성하시는 것이 유온 관리에 제일 좋습니다.
수온을 통한 유온 관리는 정확한 콘트롤이 어려운 부분도 있고, 필요 이상의 냉각수 과냉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유온이 문제면 오일쿨러를 다시는게 맞습니다.
오일쿨러+서모스탯을 이용한 시스템을 구성하시는 것이 유온 관리에 제일 좋습니다.
수온을 통한 유온 관리는 정확한 콘트롤이 어려운 부분도 있고, 필요 이상의 냉각수 과냉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2019.09.23 21:08:08 (*.38.198.50)
경험상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방식의 수냉식 엔진오일쿨러가 장착된 차량은 대용량 라디에이터로 어느정도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원하시는 효과를 보려면 별도의 엔진오일쿨러 장착을 권하고 싶습니다.
2019.09.23 23:43:29 (*.54.22.122)

오일 냉각이 필요하다면 오일 쿨러를 장착하시는게 중복 투자를 피하는 길입니다.. 돌아가지마시고 작업이 좀 크더라도 오일 냉각이 필요하시다면 오일쿨러 장착을 강력히 추천합니다. 그리고.. 냉각수온 게이지.. 실제 오차범위가 너무 크더군요(센서가 어디 달려있느냐에따라 좀 다르긴 하겠지만).
2019.09.24 11:18:48 (*.246.168.21)
2.0 tsi 엔진이시면 공냉식 오일쿨러 킷트도 구하실 수 있을겁니다.
순정 열교환기 뜯어 버리고 그자리에 달거나 아니면 오일필터 하우징에 장착 할 수 잇는 제품요.
유온만 잡을 목적이시면 공냉식 오일쿨러 장착 하시면 되는데 아마 여러가지 부작용들(유압 하락, 오일량 증대, 오일펌프 부하증대, 이상소음등등)이 있을 수도 있을겁니다.
순정 열교환기 뜯어 버리고 그자리에 달거나 아니면 오일필터 하우징에 장착 할 수 잇는 제품요.
유온만 잡을 목적이시면 공냉식 오일쿨러 장착 하시면 되는데 아마 여러가지 부작용들(유압 하락, 오일량 증대, 오일펌프 부하증대, 이상소음등등)이 있을 수도 있을겁니다.
우선 기아 엘란 터보로 말씀드리겠습니다.
유온, 수온은 공업용 게이지, 센서로 장착되어 있습니다.
서킷에서 달려보면 수온이 약 128도 이상되어야 계기판에 있는 수온게이지가 올라갑니다.
유온은 수온 기준으로 약 3도 정도 낮게 표시됩니다.
그리고
6월 중순에 현대트랙데이 행사가 있었는데 오전 11시, 오후 1시에 30분씩 두타임을 달렸는데
전혀 유온, 수온 문제 없이 주행을 했습니다.
제 해결 방법은 인터쿨러 앞에 워셔 노즐을 장착하는 것입니다.
수온이 125도 정도되면 워셔 노즐을 작동시키면 약 5 ~ 10도 정도 수온이 내려가서 조금더
안정적인 주행을 할 수 있습니다.
https://ysc7360.tistory.com/468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