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안녕하세요. ^^
늘 궁금했던 것인데.... 혼자 경험하여 알아보고자 했지만...
시간상, 비용상 어려워... 결국 이렇게 질문글을 올리고 마네요. ^^
다름이 아니라...
브레이크의 사용방법... 에 대한 궁금증입니다.
저는 가능하면 브레이크 답력을 약하게... 그리고 밟는 속도를 느리게 해서
가능하면 부드럽게 감속하거나 정차시키려고 하는 편입니다.
물론 디스크 변형을 억제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는편이구요...
그럼에도... 일명 저더현상... 브레이킹시 핸들떨림 증상... 이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 레간자 과급 300마력대... XG 2P + 엘리사 12인치 타공디스크 + 하드론Z(and PAGID)
- e36 m3 ... 순정상태에서 패드만 HALK HP+
상기 차량 모두에게서 동일하게 나타나는 증상인데...
디스크와 패드... 새것으로 교환하고 1만~2만키로정도 주행하면 핸들이 떨기 시작합니다.
(주로 150 이상의 고속주행 브레이킹시에 발생합니다. 저속에서는 전혀 이상 없습니다)
m3의 경우 혹시나싶어 디스크연마를 해봤고, 당장은 아주 좋았으나 여기 몇천키로 주행후
동일 증상이 반복되더군요. 아무리 고민하고 생각해봐도... 디스크의 변형때문은 아닌듯 합니다.
거의 노이로제가 걸릴 지경인데...
이번에 m3의 패드교환시기도 되었고 해서... ebc 디스크와 옐로우 패드를 주문하면서...
주문하면서 걱정부터 앞섭니다. 얼마 못타고 또 저더현상이 생기면 어쩌지... 라는 걱정...
그러면서 항상 머리 뒷꼭지에서 맴돌던 것인데...
아주 예전에 들었던 이야기입니다...
'브레이크는 다소 거칠게 사용해야 한다....'
... 라는 말이 늘 귓가에 맴돕니다.
브레이크 성능유지를 위해서는 다소 강하고 거칠게 사용해줘야 한다... 라는 이야기를
어디선가 누군가에게 들은 적이 있습니다. 제가 평소 사용하는 브레이크 사용하고는
거리가 먼 사용법이었죠.
과연 이 말이 신빙성이 있는 말인지 궁금합니다.
일정거리 주행후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고속브렝킹시 핸들떨림... 이것이 점차 심해지면서
차체떨림으로까지 발전합니다.... 아무리 생각해보고 주변 이야기를 들어봐도...
'저에게만 발생하는 문제'인것 같고... 그렇다면 저의 브레이킹 사용에 문제가 있는것은 아닐까...
하는 고민에 밤잡을 못이루고 있습니다. ^^
물론 일반적으로 하는 브레이크 관리... 세차시 주행 후 물뿌리는 것 금지... 비오는 날에도
물고인 웅덩이가 보이면 브레이크에 아예 발도 안가져가며... 정기적으로 브레이크액, 패드 교환에...
...등은 항상 신경 쓰면서 해오는 편입니다.
^^
이제 남은건 브레이크 사용방법만 남은 듯 합니다.
부디 조언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늘 궁금했던 것인데.... 혼자 경험하여 알아보고자 했지만...
시간상, 비용상 어려워... 결국 이렇게 질문글을 올리고 마네요. ^^
다름이 아니라...
브레이크의 사용방법... 에 대한 궁금증입니다.
저는 가능하면 브레이크 답력을 약하게... 그리고 밟는 속도를 느리게 해서
가능하면 부드럽게 감속하거나 정차시키려고 하는 편입니다.
물론 디스크 변형을 억제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는편이구요...
그럼에도... 일명 저더현상... 브레이킹시 핸들떨림 증상... 이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 레간자 과급 300마력대... XG 2P + 엘리사 12인치 타공디스크 + 하드론Z(and PAGID)
- e36 m3 ... 순정상태에서 패드만 HALK HP+
상기 차량 모두에게서 동일하게 나타나는 증상인데...
디스크와 패드... 새것으로 교환하고 1만~2만키로정도 주행하면 핸들이 떨기 시작합니다.
(주로 150 이상의 고속주행 브레이킹시에 발생합니다. 저속에서는 전혀 이상 없습니다)
m3의 경우 혹시나싶어 디스크연마를 해봤고, 당장은 아주 좋았으나 여기 몇천키로 주행후
동일 증상이 반복되더군요. 아무리 고민하고 생각해봐도... 디스크의 변형때문은 아닌듯 합니다.
거의 노이로제가 걸릴 지경인데...
이번에 m3의 패드교환시기도 되었고 해서... ebc 디스크와 옐로우 패드를 주문하면서...
주문하면서 걱정부터 앞섭니다. 얼마 못타고 또 저더현상이 생기면 어쩌지... 라는 걱정...
그러면서 항상 머리 뒷꼭지에서 맴돌던 것인데...
아주 예전에 들었던 이야기입니다...
'브레이크는 다소 거칠게 사용해야 한다....'
... 라는 말이 늘 귓가에 맴돕니다.
브레이크 성능유지를 위해서는 다소 강하고 거칠게 사용해줘야 한다... 라는 이야기를
어디선가 누군가에게 들은 적이 있습니다. 제가 평소 사용하는 브레이크 사용하고는
거리가 먼 사용법이었죠.
과연 이 말이 신빙성이 있는 말인지 궁금합니다.
일정거리 주행후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고속브렝킹시 핸들떨림... 이것이 점차 심해지면서
차체떨림으로까지 발전합니다.... 아무리 생각해보고 주변 이야기를 들어봐도...
'저에게만 발생하는 문제'인것 같고... 그렇다면 저의 브레이킹 사용에 문제가 있는것은 아닐까...
하는 고민에 밤잡을 못이루고 있습니다. ^^
물론 일반적으로 하는 브레이크 관리... 세차시 주행 후 물뿌리는 것 금지... 비오는 날에도
물고인 웅덩이가 보이면 브레이크에 아예 발도 안가져가며... 정기적으로 브레이크액, 패드 교환에...
...등은 항상 신경 쓰면서 해오는 편입니다.
^^
이제 남은건 브레이크 사용방법만 남은 듯 합니다.
부디 조언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2009.06.09 14:30:05 (*.48.36.181)

저더를 막는 방법이라 확신은 할 수 없으나, 제가 모는 차량에선 저더를 볼 수 없으니, 저의 저더를 막는 브레이크 사용법을 적어 볼께요.
심한 저더의 원인은 디스크 변형이라는 가정하에,
디스크가 변하는 원인은,
첫째로, 한곳은 차갑고, 한곳은 뜨거운 열 불균형 상태가 있고,
둘째로, 차갑거나 뜨거워 질 시에 외부에서 물리적인 힘이 가해질때
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고로, 엄청난 하드 브레이킹 후 디스크에 물을 뿌리는 행위를 딱히 하시지 않는 일반 운전자 분들이 디스크 변형을 일으키는 가장 가능성 있는 경우는,
브레이킹 후 정차시 차가 앞이나 뒤로 흐르는 정도를 막는 수준 이상으로 브레이크를 꾹 밟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다시 말해, 평지에서 중립시 차가 브레이크를 안 밟아도 가만히 있는데 브레이크를 밟고 있는 경우일 것이며, 살짝 언덕에서 브레이크 패드와 디스크의 최대 정지 마찰력 가까이 쓰지 않는 여유로운 '하드(?)' 브레이킹으로 정차해 있기 등이 디스크 변형의 주요 원인이라 판단하고 이를 피하려고 노력하는 편입니다.
브레이크를 살살 밟는다 하여도, 언젠간 어느정도 꾹 밟을 일이 생기고, 그때 디스크는 아주 얇게든 깊게든 열을 받게 되고, 그 당시의 브레이크 답력 그대로 밟고 있으면 디스크가 다시 식는 과정에서 패드로 디스크를 계속 꾹 눌르고 있는 꼴이 되기 때문에 패드와 접촉면은 계속 온도가 높고, 압력을 받고있고, 나머지 디스크 면은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아지게 되어, 정차시 식는 디스크는 변형이 올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과거에 제차도 고속에서 저더 현상이 생기는듯하여 저더가 잘 안생기는 저속영역에서 하드한 브레이킹 몇번 해주고, 위의 원리에 입각해 잘 식혀주는걸 좀 주의하였더니 저더가 없어졌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 후론 제가 모는 차량은 저더가 생긴적이 없습니다.
오히려 집에서 쓰는 오토매틱 차량을 한동안 제가 안몰고 가족들이 몰다가 제가 문뜩 몰아보면 저더 현상이 생겨 있더군요. 오토매틱 특성상 평지에서도 D 에 놓고 브레이크를 밟고만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무의식적으로 필요 이상의 답력으로 브레이크를 밟고 있게 된다고 봅니다. 더군다나 여름때는 딱히 하드한 브레이킹을 안해도 엄청 뜨거워졌다가, 산들바람에 지혼자 식었다를 반복하게 되죠.
혹시나 제 생각이 범주형님께도 적용되길 기대해 봅니다. ^^
심한 저더의 원인은 디스크 변형이라는 가정하에,
디스크가 변하는 원인은,
첫째로, 한곳은 차갑고, 한곳은 뜨거운 열 불균형 상태가 있고,
둘째로, 차갑거나 뜨거워 질 시에 외부에서 물리적인 힘이 가해질때
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고로, 엄청난 하드 브레이킹 후 디스크에 물을 뿌리는 행위를 딱히 하시지 않는 일반 운전자 분들이 디스크 변형을 일으키는 가장 가능성 있는 경우는,
브레이킹 후 정차시 차가 앞이나 뒤로 흐르는 정도를 막는 수준 이상으로 브레이크를 꾹 밟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다시 말해, 평지에서 중립시 차가 브레이크를 안 밟아도 가만히 있는데 브레이크를 밟고 있는 경우일 것이며, 살짝 언덕에서 브레이크 패드와 디스크의 최대 정지 마찰력 가까이 쓰지 않는 여유로운 '하드(?)' 브레이킹으로 정차해 있기 등이 디스크 변형의 주요 원인이라 판단하고 이를 피하려고 노력하는 편입니다.
브레이크를 살살 밟는다 하여도, 언젠간 어느정도 꾹 밟을 일이 생기고, 그때 디스크는 아주 얇게든 깊게든 열을 받게 되고, 그 당시의 브레이크 답력 그대로 밟고 있으면 디스크가 다시 식는 과정에서 패드로 디스크를 계속 꾹 눌르고 있는 꼴이 되기 때문에 패드와 접촉면은 계속 온도가 높고, 압력을 받고있고, 나머지 디스크 면은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아지게 되어, 정차시 식는 디스크는 변형이 올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과거에 제차도 고속에서 저더 현상이 생기는듯하여 저더가 잘 안생기는 저속영역에서 하드한 브레이킹 몇번 해주고, 위의 원리에 입각해 잘 식혀주는걸 좀 주의하였더니 저더가 없어졌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 후론 제가 모는 차량은 저더가 생긴적이 없습니다.
오히려 집에서 쓰는 오토매틱 차량을 한동안 제가 안몰고 가족들이 몰다가 제가 문뜩 몰아보면 저더 현상이 생겨 있더군요. 오토매틱 특성상 평지에서도 D 에 놓고 브레이크를 밟고만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무의식적으로 필요 이상의 답력으로 브레이크를 밟고 있게 된다고 봅니다. 더군다나 여름때는 딱히 하드한 브레이킹을 안해도 엄청 뜨거워졌다가, 산들바람에 지혼자 식었다를 반복하게 되죠.
혹시나 제 생각이 범주형님께도 적용되길 기대해 봅니다. ^^
2009.06.11 02:58:31 (*.48.33.177)

사이드를 세게 당겨서 후륜 디스크가 휜건 아닐까요? ㅎㅎ. 저는 그정도 까진 아니고 정차시킨후 평지면 발을 떼거나 살짝 언덕이면 뿌드득 소리나며 미끄러지기 바로 전까지 브레이크를 밟고 있습니다. 불편할땐 미끄러지는 것보다 살짝 많은 힘으로 사이드를 땡겨놓구요.
사실 식을때 외적인 힘을 과하게 받지 않게 하는 것 말곤 저는 별로 신경 쓰는게 없습니다.
김순익님 링크대로라면 신품상태일때 열로 내성을 변형시키는게 중요한듯 싶습니다. 저는 평소에 간간히 쌔려밟아 슬때가 있으니까 그럴때 길들이기가 끝났을 수도 있네요. ^^ 쌔려밟아 슨후에 식히기는 항상 주의 하니까요.
사실 식을때 외적인 힘을 과하게 받지 않게 하는 것 말곤 저는 별로 신경 쓰는게 없습니다.
김순익님 링크대로라면 신품상태일때 열로 내성을 변형시키는게 중요한듯 싶습니다. 저는 평소에 간간히 쌔려밟아 슬때가 있으니까 그럴때 길들이기가 끝났을 수도 있네요. ^^ 쌔려밟아 슨후에 식히기는 항상 주의 하니까요.
2009.06.10 07:53:31 (*.140.140.177)

보통 저더의 경우는...
신호대기시의 브레이킹이 가장 큰듯 하더라구요..
그래서 신호대기등의 브레이크를 써야할 일이 있을땐,
애당초 브레이크가 열오를만한 브레이킹은 무조건 피해버리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위에서도 말씀하셨듯, 웬만하면 신호대기에서 브레이킹을 피하구요.
(특히나 강하게 밟고있는건 완전 금물. 로터에 낙인을 찍어버리니까요)
특히, 신호대기시에 기다렸다가 한방에 끼익 하고 멈춰서 대기하는 습관은 최악인듯도 싶습니다.
한번 로터를 보세요..
신호대기시에 브레이크를 강하게 밟는 분들은,
로터에 육안으로 보이는 선명한 패드자국이 찍혀있는 분들도 많더군요.
신호대기시의 브레이킹이 가장 큰듯 하더라구요..
그래서 신호대기등의 브레이크를 써야할 일이 있을땐,
애당초 브레이크가 열오를만한 브레이킹은 무조건 피해버리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위에서도 말씀하셨듯, 웬만하면 신호대기에서 브레이킹을 피하구요.
(특히나 강하게 밟고있는건 완전 금물. 로터에 낙인을 찍어버리니까요)
특히, 신호대기시에 기다렸다가 한방에 끼익 하고 멈춰서 대기하는 습관은 최악인듯도 싶습니다.
한번 로터를 보세요..
신호대기시에 브레이크를 강하게 밟는 분들은,
로터에 육안으로 보이는 선명한 패드자국이 찍혀있는 분들도 많더군요.
길들이기에 관한 글입니다.
저더가 나타나는 이유 중 하나는 로터의 (영구적) 열변형도 있겠지만, 패드 레진이 로터 표면에 불균일하게 도포되어 발생하기도 하고, 이걸 막을 수 있는 방법은 길들이기(=레진 골고루 입히기)를 잘 하는 것이라고 주장하는 글을 대충 요약해서 퍼온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