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보드란을 보다가, 포르테의 2010년형 연비 부분을 보고 질문을 드립니다.
"세타Ⅱ 2.0 엔진은 준중형 차급에 가장 적합하도록 개발한 엔진으로 연비 리터당 13.6km를 구현했다."
라고 써있는데요, 자동 4단의 연비가 13.6km/l 라는 얘기라 생각 되어집니다.
기아 홈페이지에 명시된 포르테 1.6의 연비는 자동이 15.2km/l 수동 5단이 16.1km/l, 디젤 1.6 자동 4단이 16.5km/l
라고 합니다.
어떤 사람들은 국내 기업에서 표기해놓은 연비가 실제완 틀리다고 많이들 이야기 하는데요,
시간상으로 고속화도로(래봤자 서울바닥 막혀서 시속 60 정도가 평균이겠네요) 와 시내 주행 반 정도씩 섞는다고 할 경우 저기 표기된 포르테 연비가 보통 나오는지 궁금합니다.
클릭 드라이버들의 경우 고속도로 쌔려밟아도 14키로 이상 나온다! 라고 하기도 하고, 깃털 악샐링하면 16키로 근처도 가능하다고 하던데요. 그 말을 들으면 공인연비 표기가 어느정도 신빙성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실제 포르테 소유주분들의 리플도 볼 수 있었으면 합니다.
"세타Ⅱ 2.0 엔진은 준중형 차급에 가장 적합하도록 개발한 엔진으로 연비 리터당 13.6km를 구현했다."
라고 써있는데요, 자동 4단의 연비가 13.6km/l 라는 얘기라 생각 되어집니다.
기아 홈페이지에 명시된 포르테 1.6의 연비는 자동이 15.2km/l 수동 5단이 16.1km/l, 디젤 1.6 자동 4단이 16.5km/l
라고 합니다.
어떤 사람들은 국내 기업에서 표기해놓은 연비가 실제완 틀리다고 많이들 이야기 하는데요,
시간상으로 고속화도로(래봤자 서울바닥 막혀서 시속 60 정도가 평균이겠네요) 와 시내 주행 반 정도씩 섞는다고 할 경우 저기 표기된 포르테 연비가 보통 나오는지 궁금합니다.
클릭 드라이버들의 경우 고속도로 쌔려밟아도 14키로 이상 나온다! 라고 하기도 하고, 깃털 악샐링하면 16키로 근처도 가능하다고 하던데요. 그 말을 들으면 공인연비 표기가 어느정도 신빙성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실제 포르테 소유주분들의 리플도 볼 수 있었으면 합니다.
2009.06.09 15:02:13 (*.250.38.136)

2000년인가 공인 연비 측정 방법이 변경된걸로 압니다.
그 이후 차량들은 대략 잘맞더군요.
제차 같은 경우 1.6승용디젤인 데 공인연비 18.8입니다.
정속주행하면 20까지도 나오구요 시내만 주행시 평균 17정도 나옵니다.
과속을 하면 다르겠지만요..
과속하면 고속에서는 15정도까지 나오더군요..^^;;
그 이후 차량들은 대략 잘맞더군요.
제차 같은 경우 1.6승용디젤인 데 공인연비 18.8입니다.
정속주행하면 20까지도 나오구요 시내만 주행시 평균 17정도 나옵니다.
과속을 하면 다르겠지만요..
과속하면 고속에서는 15정도까지 나오더군요..^^;;
2009.06.09 15:47:13 (*.132.65.25)

요즘 표시되는 연비는 고속도로 시내 반반 정도 운행시 대충 맞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시내만 주행시에는 공인연비이하로, 고속도로만 주행시 공인연비 이상나오죠. 2000년대 초반만 해도 고속도로 정속주행해도 공인연비 안나오는 차 많았습니다.
2009.06.09 16:08:41 (*.223.118.53)

저는 클릭R을 타고 있는데 5km 미만의 초단거리, 일반 시내, 장거리 주행 비율이 각각 50%, 20%, 30% 정도 됩니다. 공인 연비는 14.6km/L나 14.8km/L로 적혀있으며 2년반 누적 평균 연비가 13km/L정도 됩니다. 규원님께서 말씀하시는 것처럼 장거리 주행 비율이 높아져 단거리, 장거리의 비가 반반이 될때면 평균 연비가 14~5km/L정도로 공인 연비 비슷하게 나옵니다.
2009.06.09 17:27:24 (*.117.121.44)
고속도로에서 쌔려밟는데 14km/l 나온다는 드라이버는 대체 누굽니까? 경험상 '쌔려밟으면' 4km/l로 떨어졌고, 실제로 kmsa게시판에서도 '클릭 서킷연비는 포르쉐 급이다!'라는 내용으로 글이 올라왔고, 많은 분들이 공감했었습니다.....
2009.06.09 17:34:59 (*.133.99.122)

2000년대 초반까지의 차들은 공인연비기준이 덜 엄격해서(신차 출고 후 6400km 주행한 차로 테스트) 공인연비를 맞추려면 고속도로 정속주행만이 가능했습니다. 그러다 2000년대 중반부터 연비기준이 엄격해져서(신차출고후 거의 바로 테스트) 신형엔진 달고나오는 차들은 안막히는 시내 50%, 고속도로/안막히는 국도 50% 해도 맞는 듯 합니다.
i30의 경우 연비개선전 모델이 13.6km/l 인데 고속도로는 14~14.5 나왔고 시내는 12 정도 나오더군요. TG의 경우 구형 5단은 항상 에어콘 켜고 시내 다니니까 7.5 정도 고속도로/국도는 10 정도 나왔고.. NF LPI도 공인연비 9km/l인데
평균시속 150으로 달려도 8.6, 정속주행은 9.8 정도, 기타 나머지 현대차들도 다 이정도 수준이 나오더군요.
i30의 경우 연비개선전 모델이 13.6km/l 인데 고속도로는 14~14.5 나왔고 시내는 12 정도 나오더군요. TG의 경우 구형 5단은 항상 에어콘 켜고 시내 다니니까 7.5 정도 고속도로/국도는 10 정도 나왔고.. NF LPI도 공인연비 9km/l인데
평균시속 150으로 달려도 8.6, 정속주행은 9.8 정도, 기타 나머지 현대차들도 다 이정도 수준이 나오더군요.
2009.06.09 18:30:50 (*.253.218.64)
람다 3.3 엔진의 경우도 공인연비는 9.2km/l인데 실제로 신경써서 시내주행만 하다보면 8km/l 은 나와주는것 같아요~ 고속정속주행은 조금 더 나오기도 하고요.
2009.06.09 18:57:18 (*.46.122.32)

연구실 선배도 한달전 포르테 오토 (미션 업글) 사셨는데 아직 천km도 안 뛴데다가 출퇴근 거리가 짧아 공인연비까진 한참 모자라는 모양이더군요.. 아직까지 미션업글되서 1등급으로 올라간 포르테, 아반떼, i30들은 출고된지 얼마 안 되어 제대로 연비 측정할만할 차가 별로 없지 않나 싶습니다. 제가 조만간 신차를 구입하는데, 출퇴근 편도 19km에 비교적 안 막히는 시간대에 시내주행을 하므로, 연비 측정 한 번 제대로 해서 글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2009.06.09 18:58:22 (*.34.71.42)

우리나라도 연비 정보를 (시외/시내)로 나누어서 제공해줬으면 좋겠습니다. 그게 훨씬 실용적인 정보가 될텐데요.
제 HD 연비는 시내 12, 고속도로 100~110km 주행 시에 17~18 정도 나옵니다. 자매(?) 차종인 Ceed의 유럽 연비와 거의 비슷한걸로 봐서는 이 정도가 적정 수준인 것 같아요.
제 HD 연비는 시내 12, 고속도로 100~110km 주행 시에 17~18 정도 나옵니다. 자매(?) 차종인 Ceed의 유럽 연비와 거의 비슷한걸로 봐서는 이 정도가 적정 수준인 것 같아요.
2009.06.09 22:07:47 (*.46.122.32)

저도 김윤성님 말씀에 전적으로 동감합니다.
어차피 연비모드라는게 모든 사람과 지역에 현실적일순 없습니다. 다만 도심연비/고속연비로 나눈다면 시내 위주로 타는 사람과 고속도로 위주로 타는 사람에게 각각 그나마 조금이라도 더 참고적일 수 있을 것입니다.
EURO ECE 연비모드, 미국 EPA 연비모드 모두 도심과 고속을 나누어 측정합니다. A 차종이 B 차종보다 도심 연비는 더 좋은 반면 고속 연비는 더 나쁜 경우도 꽤 있습니다.
게다가 이제는 국내에도 하이브리드가 굴러다니는 시대입니다. 하이브리드의 경우 도심연비가 고속연비와 비슷하거나 오히려 더 높은 차종도 있습니다.(포드 이스케이프 등) 따라서 이제 국내 연비기준도 도심과 고속을 나누어야 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어차피 연비모드라는게 모든 사람과 지역에 현실적일순 없습니다. 다만 도심연비/고속연비로 나눈다면 시내 위주로 타는 사람과 고속도로 위주로 타는 사람에게 각각 그나마 조금이라도 더 참고적일 수 있을 것입니다.
EURO ECE 연비모드, 미국 EPA 연비모드 모두 도심과 고속을 나누어 측정합니다. A 차종이 B 차종보다 도심 연비는 더 좋은 반면 고속 연비는 더 나쁜 경우도 꽤 있습니다.
게다가 이제는 국내에도 하이브리드가 굴러다니는 시대입니다. 하이브리드의 경우 도심연비가 고속연비와 비슷하거나 오히려 더 높은 차종도 있습니다.(포드 이스케이프 등) 따라서 이제 국내 연비기준도 도심과 고속을 나누어야 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2009.06.09 20:39:34 (*.238.82.101)

sm520 수동은 공인연비 12.0km/l
-> 제가 운전하면 10.5~11.0 km/l 정도 나오고 집사람이 운전하면 9.X km/l 정도 나오는군요..
i30 vgt 수동은 공인연비 20.5km/l
이 차는 주유소를 많이 가리더군요.. 어떤 주유소는 19km/l 정도 나오고, 다른 어떤 주유소는 17.X km/l 정도 나옵니다.
주로 다니는 두 곳의 주유소에 대한 평균치입니다... 결국 "구성이마트셀프주유소"만 이용하게 되네요..^^;
-> 제가 운전하면 10.5~11.0 km/l 정도 나오고 집사람이 운전하면 9.X km/l 정도 나오는군요..
i30 vgt 수동은 공인연비 20.5km/l
이 차는 주유소를 많이 가리더군요.. 어떤 주유소는 19km/l 정도 나오고, 다른 어떤 주유소는 17.X km/l 정도 나옵니다.
주로 다니는 두 곳의 주유소에 대한 평균치입니다... 결국 "구성이마트셀프주유소"만 이용하게 되네요..^^;
2009.06.09 21:41:18 (*.177.80.131)

크흠... 1.5 so 오토 가지고 고속도로에서 연비 20도 가능하고요... 시내에서 7키로도 가능합니다 ㅡㅡ;;;
공인 연비는 10.9km/l 이고요... 그냥 되는대로 시내국도고속도로 섞어서 편하게 타면 12~3키로 수준...
마음먹고 바닥까지 뚫어져라 밟고 다니면 국도,고속도로는 공인연비정도 나옵니다 ^^;;
요즘 차는 편차가 적은거 같아요. 제껀 요즘께 아니라 극과 극... ㅡㅡ;
공인 연비는 10.9km/l 이고요... 그냥 되는대로 시내국도고속도로 섞어서 편하게 타면 12~3키로 수준...
마음먹고 바닥까지 뚫어져라 밟고 다니면 국도,고속도로는 공인연비정도 나옵니다 ^^;;
요즘 차는 편차가 적은거 같아요. 제껀 요즘께 아니라 극과 극... ㅡㅡ;
2009.06.11 02:44:02 (*.48.33.177)

많은 답변들 감사합니다.
2000년 이후 차량들은 거의 믿을만한 연비 측정법을 거쳤다 라고 귀결지을 수 있겠네요.
포르테 참 이쁜거 같은데, 10년 넘은차량 변경 할인에 주식할인에 딜러 할인에 여러개 합쳐서 가장 싼 깡통 모델로 다해서 800만원 정도에 한번 뽑고 싶은 욕망만 있습니다.(?) 중고차량은 가격이 떨어지려면 멀은 것 같군요.
2000년 이후 차량들은 거의 믿을만한 연비 측정법을 거쳤다 라고 귀결지을 수 있겠네요.
포르테 참 이쁜거 같은데, 10년 넘은차량 변경 할인에 주식할인에 딜러 할인에 여러개 합쳐서 가장 싼 깡통 모델로 다해서 800만원 정도에 한번 뽑고 싶은 욕망만 있습니다.(?) 중고차량은 가격이 떨어지려면 멀은 것 같군요.
깃털처럼 밟아도 회사 출퇴근만 하면 7km를 넘길수가 없네요...
오히려 주말에 멀리 드라이브를 갔다오면 8km정도로 올라가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