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 A
글 수 25,388
유럽 세그먼트를 분류하는 기준이 어떻게 되는지 알고싶습니다.
문서화된 내용이면 더욱 감사하겠습니다.
문서화된 내용이면 더욱 감사하겠습니다.
2009.06.16 09:43:15 (*.87.60.95)
세그먼트라는 것이 상당히 자의적이기 때문에...명확하게 라는 말은 힘든 것 같습니다.
게다가 시장상황에 따라 차급이 생기기도 하고 합쳐지기도 하고, 요새 미국 시장은 IHS가 주장하는
'CUV'라는 세그먼트가 대세로 자리잡고 있기도 합니다.
따라서 각 메이커에서도 어느 공신력있는 회사의 세그먼트분류를 지정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구요.
유럽은 이전에는 EIU라는 회사의 기준이 대세였습니다만, 최근에는 POLK나 IHS쪽이 주류인 듯 합니다.
기준은 대게 차의 크기와 가격으로 "전문가"들에 의해 결정이 됩니다...
기준은 요걸 보시면 될 듯...
게다가 시장상황에 따라 차급이 생기기도 하고 합쳐지기도 하고, 요새 미국 시장은 IHS가 주장하는
'CUV'라는 세그먼트가 대세로 자리잡고 있기도 합니다.
따라서 각 메이커에서도 어느 공신력있는 회사의 세그먼트분류를 지정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구요.
유럽은 이전에는 EIU라는 회사의 기준이 대세였습니다만, 최근에는 POLK나 IHS쪽이 주류인 듯 합니다.
기준은 대게 차의 크기와 가격으로 "전문가"들에 의해 결정이 됩니다...
기준은 요걸 보시면 될 듯...
굳이 참고를 하시자면 EURO Ncap 에서 충돌 테스트시 사용하는 세그먼트를
Superminis (스마트 포투등의 시티카 포함)
Small family cars (세단형 수퍼미니-다시아 로간이나 국내의 칼로스 4도어등 포함)
Large family cars (Executive 차량이지만 길이가 4.8 미터가 안되는 차량 포함)
Executive cars (길이가 4.80 m 이상인 차량)
Roadsters
Small off-roaders (소형 SUV 사이즈로서 이스케이프,투싼,CR-V등)
Large off-roaders (쏘렌토 모하비 이상의 SUV들)
Small MPVs (카렌스와 고상형의 스테이션 웨건-스바루 포레스터등)
Large MPV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