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ards

국내 시장에 W220중 상태가 좋은 차들이 급속도로 사라지는 요즘이라 상태가 훌륭한 W220을 보면 아주 반갑습니다.
특히 S280은 엔트리급이면서 개체수가 정말 적은데, 숏바디만 있고 상위버젼과 옵션에서 큰 차이가 없어 아주 훌륭한 고속도로 크루져이기도 합니다.

엔진오일을 교환하기 전에 차뽕 클리너를 넣고 500~1000km를 달리고 오일 교환후 트리트먼트를 넣는 것이 차뽕 시공의 정석이지만 오일교환과 교환 주기 사이에는 원스탭을 넣는 것도 매우 유익합니다.

클리너와 트리트먼트가 섞인 조합이고, 아무때나 넣어도 되는데, 세정능력과 윤활능력이 보강되어 만족도가 매우 높습니다.


장거리를 출발하기 전에 250cc 원스탭을 넣고 계기판의 연비를 확인했는데, 약 8.3km/리터 였습니다.
리셋을 한 후 장거리를 달리고 어떻게 달라지나 관찰했는데, 차주가 보낸 사진은 아래와 같습니다.

316km를 달리면서 찍은 연비는 11.9km/리터로 장거리를 제법 빠른 패턴으로 달렸을 때 10km정도의 연비를 보이고 11km이상은 한번도 찍어보지 못한 차였는데, 12km가까운 연비를 발휘했다고 합니다.
달리면서 부드러운 질감과 가벼운 액셀감각은 항상 따라오는 기본이지요.
큰 엔진과 비교하면 작은 엔진이 연비에 대한 효과는 더 크게 나타납니다.

폭스바겐이 역사상 더이상 생산을 하지 않을 페이톤 W12입니다.

6리터 W12 12기통 엔진은 엔진오일 교체할 때 12리터의 오일을 들이 부어야 합니다.
사실 70cc짜리 두병의 차뽕 클리너가 큰 역할을 할 까하는 생각드 들지만 막상 저 작은 용량이 12리터의 엔진오일과 섞였을 때의 결과는 상당히 뚜렷합니다.




냉간 시동 직후의 태핏 소리가 짧게 나타나는 현상도 사라지고, 12기통 엔진의 음색이 한장 더 더꺼운 방음벽을 뚫고 실내로 들어오는 느낌으로 회전질감의 부드러움은 이루 말할 수가 없습니다.
6리터 엔진이 뿜어내는 배기가스와 그곳을 통과하는 배기관의 청결해지는 정도는 비록 엔드머플러를 통해서 확인할 수 밖에 없지만 가장 끝단이 이 정도이면 그 안쪽은 얼마나 깨끗해졌는지 상상은 쉽게 할 수 있습니다.
봄이 다가오는데, 드라이빙의 속도가 붙고 노면에 대한 걱정도 줄어드는 시점이라 오일 교환을 고려하시는 시점에 차뽕 시공은 분명히 장점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testkwon-
- 1.jpg (251.8KB)(0)
- 2.jpg (249.4KB)(2)
- IMG_0344.jpg (204.4KB)(4)
- IMG_0345.jpg (186.1KB)(1)
- IMG_0350.jpg (189.7KB)(1)
- IMG_350.jpg (160.3KB)(0)
- IMG_0700 (1).jpg (462.1KB)(1)
- IMG_0700 (2).jpg (242.3KB)(1)
- IMG_0700 (3).jpg (260.0KB)(2)
- IMG_0700 (4).jpg (201.4KB)(0)
- IMG_0723.jpg (275.5KB)(3)
- IMG_0725.jpg (273.7KB)(0)